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인성교육 내용 분석 = Analysis of Personality Education Contents in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82075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 , 2021. 2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61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정연

      • UCI식별코드

        I804:24011-200000361642

      • 소장기관
        • 조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content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presented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and the Basic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content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presented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and the Basic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to analyze the achievement criteria of social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by personality factors.
      First, what about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Personality Education' presented in the basic social studies curriculum?
      Second, what about the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presented in middle school social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books for the basic curriculum?
      The analysis targets the 2015 revised Basic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books. There are total six books – social studies Basic Curriculum, two teachers' guide books and three middle school textbooks. The social studies basic curriculum analysis was presented by using the (Table Ⅲ-2) character education content analysis framework, but the main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were presented by linking the main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to the core element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The textbook analysis was based on the teacher's guide books and analyzed the personality factors of each subject of the one period. As a result, the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basic curriculum middle school social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cont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presented in the basic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the curriculum is organized for students to experience the self-reliance of the individual,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the development of democratic citizens as a member of society. The living space has been expanded from individual life to citizen life, and experience has been deepened from the formation of basic living habits to the life of forming and maintaining social relationships with others, participating in various social activities and practicing in one's own life. In addition, although the proportion of personality factors at the social level was significant, the content factors such as basic concepts and theories were unsatisfactory, and the content elements such as globalization following changes in modern society were not mentioned.
      Second, the cont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presented in the basic curriculum, middle school social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books are positive in terms of personality education as the contents and materials of personality education vary as the grade increases. The content of character education consists of contents that can be practiced in everyday life about attitudes and values. In addition, as the grade rises, personality factors by dimension and by detail are evenly distributed, and the proportion of personality factors at the social level in the distribution by grade and overall grade is the largest. This seems to have led to an increase in personality factors that are needed as much as the spatial expansion of the values and attitudes neede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surrounding individuals.
      In the hope that these will help develop special education and educate the personality of disabled students,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First, since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recently revised 2015 Basic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each curriculum and textbook study will have to be done.
      Second, this study conducted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in relation to personality education of disabled students, and a follow-up study on the school site of personality education conducted by schools will also be nee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5 개정 특수교육 사회과 기본 교육과정과 기본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인성교육의 내용 요소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본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성취기...

      2015 개정 특수교육 사회과 기본 교육과정과 기본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인성교육의 내용 요소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본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성취기준을 인성 요소별로 분석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 사회과 기본 교육과정에 제시된 ‘인성교육’ 내용은 어떠한가?
      둘째, 기본 교육과정의 중학교 사회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인성교육’ 내용은 어떠한가?
      분석 대상은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과 중학교 사회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회과 기본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 2권, 중학교 교과서 3권 총 6권이다. 사회과 기본 교육과정 분석은 (표 Ⅲ-2) 인성교육 내용 분석 근거틀을 활용하되 교육과정 내용(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인성교육의 주요 내용을 관련 인성교육 핵심요소와 연계시켜 제시하였다.
      교과서 분석은 교사용 지도서 교과서를 바탕으로 수업 1차시 분량의 학습주제별 인성 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본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 교과서 내용에 따른 인성교육 내용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기본 교육과정에 제시된 인성교육의 내용을 보면, 개인의 자립, 타인과의 관계를 맺고, 사회 구성원의 일원으로서 바람직한 민주 시민의 자질 함양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있다. 개인의 삶에서 시민으로서의 삶까지 생활 공간이 확대되었고, 기본생활 습관의 형성에서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삶, 다양한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고 자신의 생활에서 실천하는 삶으로 경험이 심화되었다. 또 사회적 차원에서의 인성 요소의 비중이 크게 나타났지만 기본 개념, 이론 등 내용적 요소는 미흡하고, 현대사회의 변화에 따른 세계화와 같은 내용 요소는 언급되지 않았다.
      둘째, 기본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인성교육 내용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인성 교육의 내용과 소재가 다양해지고 있어 인성교육 측면에서 긍정적이다. 인성교육의 내용이 태도와 가치에 대해서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차원별, 세부 요소별 인성 요소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학년별 분포, 전체학년 분포에서 사회적 차원에서의 인성 요소의 비중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개인을 둘러싼 환경과의 관계에서 필요한 가치와 태도들이 공간적인 확대만큼 필요한 인성 요소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내용들이 특수교육 발전과 장애학생 인성교육을 위해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하며 후속 연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최근 개정된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하므로 각 교과별 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인성교육과 관련하여 교육과정, 교과서 분석을 하였는데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인성교육의 학교 현장에 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목 차 ⅲ
      • 그 림 목 차 ⅳ
      • ABSTRACT ⅴ
      • Ⅰ. 서 론 1
      • 표 목 차 ⅲ
      • 그 림 목 차 ⅳ
      • ABSTRACT ⅴ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3. 용어의 정의 5
      • Ⅱ. 이론적 배경 6
      • 1. 인성교육 6
      • 2. 2015개정 특수교육 사회과 기본 교육과정 16
      • 3. 선행연구 분석 17
      • Ⅲ. 연구 방법 22
      • 1. 분석 대상 22
      • 2. 분석 방법 22
      • Ⅳ. 연구 결과 27
      • 1. 사회과 기본 교육과정 인성교육 내용 분석 결과 27
      • 2.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인성교육 내용 분석 결과 30
      • Ⅴ. 논의 및 제언 52
      • 1. 논의 52
      • 2. 결론 및 제언 56
      • 참고문헌 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