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법화경』에 설해진 붓다의 보살행에 대한 주석적 연구 검토 = A Review of the Exegetical Studies on the Buddha’s Bodhisattva Practice: Described in the Lotus Sut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39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보살행은 최상의 깨달음을 추구하면서 중생을 구제하려는 보살의 실천을 의미하며, 그 결과로 성불을 이루게 된다. 그러므로 보살행과 성불은 인과 관계에 있다. 그런데 범어본 『법화경』 ...

      보살행은 최상의 깨달음을 추구하면서 중생을 구제하려는 보살의 실천을 의미하며, 그 결과로 성불을 이루게 된다. 그러므로 보살행과 성불은 인과 관계에 있다. 그런데 범어본 『법화경』 「여래수량품」에서는 붓다 자신이 과거의 보살행을 완성하지 않았다고 설하고 있다. 그리고 동일한 내용이 세친의 주석서 『법화경론』에 제시되어 있다. 반면 『묘법연화경』에는 붓다가 보살행을 통해 얻은 수명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번역되어 있다.
      본고의 목적은 ‘붓다의 보살행’이라는 주제에 대하여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먼저 『법화경론』의 해당 구절에 관하여 동아시아의 주석가들 중에서 지의, 길장, 규기, 원효의 해석을 검토한다. 이어서 범어본 『법화경』에 대한 연구자들의 해석을 검토한다. 주석가들과 연구자들의 견해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지만, 그들의 해석에서 공통적으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법화경』에서 보살행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것이다.
      『법화경』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여래수량품」은 경전에서 매우 중요한 품이다. 반면, 붓다의 보살행이라는 내용은 그다지 강조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법화경』에서 붓다 자신이 여전히 보살행을 행하고 있다고 선언하는 것은 붓다가 되기를 지향하는 우리들에게 종교적 실천과 구원에 관하여 매우 핵심적인 메시지를 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주석적 연구를 검토하여 그 일면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odhisattva practice (bodhisattvacāryā) refers to a practice carried out by a bodhisattva to seek supreme enlightenment and save sentient beings; the bodhisattva attains buddhahood as a result of this practice. Therefore, we can establish a caus...

      The bodhisattva practice (bodhisattvacāryā) refers to a practice carried out by a bodhisattva to seek supreme enlightenment and save sentient beings; the bodhisattva attains buddhahood as a result of this practice. Therefore, we can establish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bodhisattva practice and buddhahood. The Sanskrit version of the “Lifespan of the Tathāgata” chapter of the Lotus Sutra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however, says that the Buddha himself has not accomplished his ancient bodhisattva practice. The same thesis is also presented in Vasubandhu’s Commentary on the Lotus Sutra (Saddharmapuṇḍarīkopadeśa, Fahua jing lun 法華經論).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e Lotus Sutra, namely Miaofa lianhua jing 妙法蓮華經, by contrast, states that the lifespan attained by the Buddha through his bodhisattva practice has not been exhausted yet.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various hermeneutical possibilities on the topic of the Buddha’s bodhisattva practice. First, interpretations made by the East Asian commentators, such as Zhiyi 智顗, Jizang 吉藏, Kuiji 窺基, and Wonhyo 元曉, on the relevant passages of Vasubandhu’s Commentary on the Lotus Sutra will be examined. Interpretations made by the researchers on the Sanskrit version of the Lotus Sutra will also be analyzed. Although the commentators and researchers are not necessarily in agreement about their views, all of them acknowledge that the bodhisattva practice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the Lotus Sutra.
      The Lotus Sutra is widely known, and the “Lifespan of the Tathāgata” chapter is very important in this sutra. The Buddha's bodhisattva practice referred to in this chapter is, however, not given much attention. However, the Lotus Sutra’s declaration that the Buddha himself is still performing the bodhisattva practice can be understood as a passage that touches upon a very essential aspect of our religious practice and salvation. In this paper, I clearly reveal this important aspect by reviewing exegetical stud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천학, "원홍은 신라승려인가? - 『법화경론자주』의 인용문헌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17) : 185-208, 2014

      2 하영수, "범본 『법화경』「여래수량품」에 나타난 석존의 보살행에 대한 연구" 불교문화연구소 (18) : 49-85, 2015

      3 이기운, "대혜도경종요 외" 동국대학교출판부 2017

      4 "維摩詰所說經, TD 14"

      5 "法華論疏, TD 40"

      6 "法華義, TD 34"

      7 田村芳朗, "法華經・真理・生命・実践" 中公新書 1969

      8 "法華經論 TD 26"

      9 苅谷定彦, "法華経<仏滅後>の思想-法華経の解明(II)" 東方出版 2009

      10 管野博史, "法華経-永遠の菩薩道" 大藏出判 2016

      1 김천학, "원홍은 신라승려인가? - 『법화경론자주』의 인용문헌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17) : 185-208, 2014

      2 하영수, "범본 『법화경』「여래수량품」에 나타난 석존의 보살행에 대한 연구" 불교문화연구소 (18) : 49-85, 2015

      3 이기운, "대혜도경종요 외" 동국대학교출판부 2017

      4 "維摩詰所說經, TD 14"

      5 "法華論疏, TD 40"

      6 "法華義, TD 34"

      7 田村芳朗, "法華經・真理・生命・実践" 中公新書 1969

      8 "法華經論 TD 26"

      9 苅谷定彦, "法華経<仏滅後>の思想-法華経の解明(II)" 東方出版 2009

      10 管野博史, "法華経-永遠の菩薩道" 大藏出判 2016

      11 植木雅俊, "法華経 上·下" 岩波書店 2008

      12 "法華玄贊, TD 34"

      13 "法華玄義, TD 33"

      14 "法華文句, TD 34"

      15 "法華宗要, TD 34"

      16 河口慧海, "河口慧海著作集 第八卷 法華經" うしお書店 2002

      17 "正法華經: TD 9"

      18 大竹晋, "新國譯大藏經 釋經論部 18" 大藏出版 2011

      19 "妙法蓮華經, TD 09"

      20 田村完爾, "天台教学における釈尊観の一考察" 49 (49): 721-724, 2001

      21 "大正新脩大藏經"

      22 田村芳朗, "佛の研究: 玉城康四郎博士還暦記念論集" 春秋社 1977

      23 長尾雅人, "中観と唯識" 岩波書店 1978

      24 "Vimalakīrtinirdeśa . Transliterated Sanskrit Text Collated with Tibetan and Chinese Translations" Taisho University Press 2004

      25 Abbott, Terry Rae, "Vasubandhu's Commentary to the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A Study of Its History and Significance" UNIVERSITY OF CALIFORNIA 1986

      26 Tsultrim Kelsang Khangkar, "Tibetan Translation of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Tibetan Buddhist Culture Association 2009

      27 Kern, H., "The Saddharmapundarika or The Lotus of the True Law" Dover Publications 1963

      28 Hurvitz, L., "Scripture of the lotus blossom of the fine dharma"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6

      29 H. Kern, "Bibliotheca Buddhica Ⅹ" 197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10-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Society for Indian Philosophy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 1.2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