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경제성장기 냉장고 광고에 나타난 디자인문화에 관한 연구 : 1960-1990년대 동아일보 신문광고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953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7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냉장고는 일반 서민들은 쉽게 소유할 수 없었던 가전제품으로, 일부 계층 사람들만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이었다. 하지만 이후 냉장고는 점차 대중화되어 갔고, 마침내 1991년 보급률 99.9%에 도달하면서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 되었다. 처음 등장하고 우리 삶에서 자리 잡게 되기까지 냉장고는 어떤 역할과 의미를 가지고 있었을까?
      본 연구는 냉장고 확산에 끼친 광고의 디자인 문화적 속성에 주목했다. 냉장고가 국내에 도입되고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광고를 통해 고찰함으로써 냉장고가 시대적 흐름과 어떠한 관계를 형성해왔는지를 읽어내고자 했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60-90년대 냉장고 광고의 흐름과 내용적 특성을 파악하여 해당 기간 동안 냉장고 광고에 나타난 디자인문화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냉장고 광고가 처음 등장했던 1959년부터 냉장고 보급률이 90%가 넘어서게 되는 1990년대까지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한국은 ‘경제 개발 5개년 계획(1962-1981)’의 시행으로 경제가 급격히 성장했고, 80년대 후반에는 ‘단군 이래 최고의 호황기’를 맞으며 생활 전반에 큰 변화가 일어난다. 이 시기는 이례적인 경제성장과 함께 생활 풍경이 빠르게 변화한 시기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동아일보>에 실린 총 1,033개의 냉장고 광고를 전수 조사하여 내용을 시기별로 분류해 분석했고, 광고의 표현방식을 함께 살펴보며 그 흐름과 디자인문화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60년대 냉장고 광고는 65년 금성전자에서 국내 최초의 전기냉장고를 출시하기 전과 후로 그 흐름이 나뉘었고, 70년대에는 국내 냉장고 생산이 활발해짐에 따라 광고의 내용이 다양해졌다. 80년대는 석유파동으로 인해 절전을 강조한 냉장고 광고가 증가했고, 냉장고 보급의 대중화로 인해 새로운 용도의 냉장고가 등장하는 등 포화되어가는 냉장고 시장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90년대는 신문지면의 증가로 냉장고 광고의 수가 급격히 증가했고, 냉장고의 새로운 기능과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이 나타났다.
      연구결과, 60-90년대 냉장고 광고에서 다음 7가지 디자인문화적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선진 외국에 대한 동경의 시선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두 번째로 냉장고가 근대적 삶의 표상으로 여겨지고 있었다. 세 번째로 효율과 편리에 관심을 발견할 수 있었다. 네 번째로 외국제품으로 인식되던 냉장고의 한국적 정체성 확립에 대한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 번째로 단순 가사노동 공간이었던 부엌의 성격이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에 따라 새로운 주부의 모습이 제시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냉장고라는 새로운 사물을 통해 사물의 질서가 재편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7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냉장고는 일반 서민들은 쉽게 소유할 수 없었던 가전제품으로, 일부 계층 사람들만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이었다. 하지만 이후 냉장고는 점차 대중화되어 갔고, 마침...

      7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냉장고는 일반 서민들은 쉽게 소유할 수 없었던 가전제품으로, 일부 계층 사람들만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이었다. 하지만 이후 냉장고는 점차 대중화되어 갔고, 마침내 1991년 보급률 99.9%에 도달하면서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 되었다. 처음 등장하고 우리 삶에서 자리 잡게 되기까지 냉장고는 어떤 역할과 의미를 가지고 있었을까?
      본 연구는 냉장고 확산에 끼친 광고의 디자인 문화적 속성에 주목했다. 냉장고가 국내에 도입되고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광고를 통해 고찰함으로써 냉장고가 시대적 흐름과 어떠한 관계를 형성해왔는지를 읽어내고자 했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60-90년대 냉장고 광고의 흐름과 내용적 특성을 파악하여 해당 기간 동안 냉장고 광고에 나타난 디자인문화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냉장고 광고가 처음 등장했던 1959년부터 냉장고 보급률이 90%가 넘어서게 되는 1990년대까지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한국은 ‘경제 개발 5개년 계획(1962-1981)’의 시행으로 경제가 급격히 성장했고, 80년대 후반에는 ‘단군 이래 최고의 호황기’를 맞으며 생활 전반에 큰 변화가 일어난다. 이 시기는 이례적인 경제성장과 함께 생활 풍경이 빠르게 변화한 시기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동아일보>에 실린 총 1,033개의 냉장고 광고를 전수 조사하여 내용을 시기별로 분류해 분석했고, 광고의 표현방식을 함께 살펴보며 그 흐름과 디자인문화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60년대 냉장고 광고는 65년 금성전자에서 국내 최초의 전기냉장고를 출시하기 전과 후로 그 흐름이 나뉘었고, 70년대에는 국내 냉장고 생산이 활발해짐에 따라 광고의 내용이 다양해졌다. 80년대는 석유파동으로 인해 절전을 강조한 냉장고 광고가 증가했고, 냉장고 보급의 대중화로 인해 새로운 용도의 냉장고가 등장하는 등 포화되어가는 냉장고 시장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90년대는 신문지면의 증가로 냉장고 광고의 수가 급격히 증가했고, 냉장고의 새로운 기능과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이 나타났다.
      연구결과, 60-90년대 냉장고 광고에서 다음 7가지 디자인문화적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선진 외국에 대한 동경의 시선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두 번째로 냉장고가 근대적 삶의 표상으로 여겨지고 있었다. 세 번째로 효율과 편리에 관심을 발견할 수 있었다. 네 번째로 외국제품으로 인식되던 냉장고의 한국적 정체성 확립에 대한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 번째로 단순 가사노동 공간이었던 부엌의 성격이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에 따라 새로운 주부의 모습이 제시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냉장고라는 새로운 사물을 통해 사물의 질서가 재편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ill the early 1970s, electric refrigerators were available only to certain classes of people, hardly affordable to the general public. Since then, refrigerators have become widely used, reaching 99.9% of penetration rate in 1991 as one of the necessities of life. From their first appearance to settlement, what roles did refrigerators play and what did they mean to our lives?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design-culture attributes of ads in relation to the spread of refrigerators. By considering the process of refrigerators being introduced to domestic market till their becoming an indispensable part of our lives via ads, this study attempted to read the relationship between refrigerators and the stream of times. In other words,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 and content in the refrigerator ads from the 1960s to 1990s with a view to analysing the design culture represented in such ads.
      The period analysed here was from the year 1959 when refrigerator ads first appeared in Korea to the 1990s when the penetration rate reached over 90%. In Korea the ‘5-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s (1962-1981)’ drove rapid economic growth, leading to the greatest economic boom since the beginning of the national history, which caused considerable changes in every aspect of life. The period is considered significant in terms of unprecedented economic growth and swift shifts in living landscape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of a total of 1,033 refrigerator ads in the Dong-A Daily News, classified the content as per time periods for the analysis of the modes of expression in the ads and considered the flow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culture in them.
      The first electric refrigerator was launched by Geumsung Electronics Inc. in 1965, which became a watershed in the flow of refrigerator ads during the 1960s. As the domestic refrigerator production increased during the 1970s, the content of ads became diversified. Due to the oil shock during the 1980s, energy-saving refrigerator ads increased. Also, a wide spread of refrigerators facilitated the emergence of variants built for new purposes, which contributed to the saturation of domestic refrigerator market. During the 1990s, the number of refrigerator ads surged in line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ges in the newspaper. At the same time, new features and environment protection relevant to refrigerators started to draw attention.
      The present study found the following 7 characteristics of design culture represented in refrigerator ads from the 1960s to 1990s. First, a longing for advanced overseas countries appeared persistently. Second, refrigerators were regarded as the representation of modern life. Third, attention was paid to efficiency and convenience.
      Fourth, unlike the conventional perception of refrigerators as foreign products, the identity of Korean refrigerators became established. Fifth, the characteristics of a kitchen as a space of simple house chores changed, presenting a new image of housewives. Finally, the order of objects was reorganized by a new object called a refrigerator.
      번역하기

      Till the early 1970s, electric refrigerators were available only to certain classes of people, hardly affordable to the general public. Since then, refrigerators have become widely used, reaching 99.9% of penetration rate in 1991 as one of the necessi...

      Till the early 1970s, electric refrigerators were available only to certain classes of people, hardly affordable to the general public. Since then, refrigerators have become widely used, reaching 99.9% of penetration rate in 1991 as one of the necessities of life. From their first appearance to settlement, what roles did refrigerators play and what did they mean to our lives?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design-culture attributes of ads in relation to the spread of refrigerators. By considering the process of refrigerators being introduced to domestic market till their becoming an indispensable part of our lives via ads, this study attempted to read the relationship between refrigerators and the stream of times. In other words,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 and content in the refrigerator ads from the 1960s to 1990s with a view to analysing the design culture represented in such ads.
      The period analysed here was from the year 1959 when refrigerator ads first appeared in Korea to the 1990s when the penetration rate reached over 90%. In Korea the ‘5-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s (1962-1981)’ drove rapid economic growth, leading to the greatest economic boom since the beginning of the national history, which caused considerable changes in every aspect of life. The period is considered significant in terms of unprecedented economic growth and swift shifts in living landscape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of a total of 1,033 refrigerator ads in the Dong-A Daily News, classified the content as per time periods for the analysis of the modes of expression in the ads and considered the flow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culture in them.
      The first electric refrigerator was launched by Geumsung Electronics Inc. in 1965, which became a watershed in the flow of refrigerator ads during the 1960s. As the domestic refrigerator production increased during the 1970s, the content of ads became diversified. Due to the oil shock during the 1980s, energy-saving refrigerator ads increased. Also, a wide spread of refrigerators facilitated the emergence of variants built for new purposes, which contributed to the saturation of domestic refrigerator market. During the 1990s, the number of refrigerator ads surged in line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ges in the newspaper. At the same time, new features and environment protection relevant to refrigerators started to draw attention.
      The present study found the following 7 characteristics of design culture represented in refrigerator ads from the 1960s to 1990s. First, a longing for advanced overseas countries appeared persistently. Second, refrigerators were regarded as the representation of modern life. Third, attention was paid to efficiency and convenience.
      Fourth, unlike the conventional perception of refrigerators as foreign products, the identity of Korean refrigerators became established. Fifth, the characteristics of a kitchen as a space of simple house chores changed, presenting a new image of housewives. Finally, the order of objects was reorganized by a new object called a refrigerato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 2. 60-90년대 냉장고 광고의 흐름 4
      • 2.1. 1960년대 4
      • 1. 서론 1
      •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 2. 60-90년대 냉장고 광고의 흐름 4
      • 2.1. 1960년대 4
      • 2.1.1. 1960년대 시대적 상황 4
      • 2.1.2. 1960년대 냉장고 광고 6
      • 2.2. 1970년대 11
      • 2.2.1. 1970년대 시대적 상황 11
      • 2.2.2. 1970년대 냉장고 광고 13
      • 2.3. 1980년대 17
      • 2.3.1. 1980년대 시대적 상황 17
      • 2.3.2. 1980년대 냉장고 광고 21
      • 2.4. 1990년대 25
      • 2.4.1. 1990년대 시대적 상황 25
      • 2.4.2. 1990년대 냉장고 광고 27
      • 3. 60-90년대 냉장고 광고에 나타난 디자인 문화 33
      • 3.1. 선진 외국에 대한 동경 33
      • 3.2. 근대적 삶의 표상 38
      • 3.3. 효율과 편리에 대한 관심 41
      • 3.4. 한국적 정체성 확립 43
      • 3.5. 부엌에서 키친으로의 변화 46
      • 3.6. 새로운 주부상 등장 50
      • 3.7. 사물의 질서 재편 53
      • 4. 결론 56
      • 참고문헌 59
      • 부 록 63
      • ABSTRACT 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