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정린, "황사영 백서 연구" 일조각 1999
2 김지호, "한국적 종말론 : 증산의 후천개벽" (9) : 1990
3 임채우, "한국의 신선 – 그 계보와 전기" 소명출판 2018
4 김홍철, "한국민중종교사상론" 시인사 1985
5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연세대학교출판부 2000
6 임채우, "한국 도교사에 보이는 도참과 비기의 위상문제-조선시대를 중심으로" 한국동서철학회 (92) : 119-148, 2019
7 이상호, "초기 서학의 전래와 유교적 대응" 27 : 2007
8 전홍석, "초기 근대 서구지식인의 동아시아상과 지식체계" 동과서 2018
9 홍창기, "지역 농산물 공동브랜드 개발 사례 연구 - 십승지 친환경 농산물 공동브랜드를 중심으로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69 : 293-302, 2019
10 정약종, "주교요지" 2012
1 이정린, "황사영 백서 연구" 일조각 1999
2 김지호, "한국적 종말론 : 증산의 후천개벽" (9) : 1990
3 임채우, "한국의 신선 – 그 계보와 전기" 소명출판 2018
4 김홍철, "한국민중종교사상론" 시인사 1985
5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연세대학교출판부 2000
6 임채우, "한국 도교사에 보이는 도참과 비기의 위상문제-조선시대를 중심으로" 한국동서철학회 (92) : 119-148, 2019
7 이상호, "초기 서학의 전래와 유교적 대응" 27 : 2007
8 전홍석, "초기 근대 서구지식인의 동아시아상과 지식체계" 동과서 2018
9 홍창기, "지역 농산물 공동브랜드 개발 사례 연구 - 십승지 친환경 농산물 공동브랜드를 중심으로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69 : 293-302, 2019
10 정약종, "주교요지" 2012
11 이종성, "종말론 1" 대한기독교출판사 1990
12 김균진, "종말론" 민음사 1998
13 신복윤, "종말론" 개혁주의신행협회 2001
14 백승종, "조선후기 천주교와《鄭鑑錄》: 소문화집단의 상호작용" (재)한국교회사연구소 (30) : 5-46, 2008
15 이민희, "조선후기 서적 통제, 그 아슬한 의식의 충돌과 타협" 한국한문학회 (68) : 115-154, 2017
16 (사)대한예수교장로회연합회, "정통과 이단 종합연구서" 2004
17 정민, "정민의 다산독본, 파란 1" 천년의상상 2019
18 정응수, "정도령이 된 정성공 - 「연평초령의모도(延平髫齡依母圖)」를 중심으로" 한국일본문화학회 (71) : 261-279, 2016
19 백승종, "정감록 역모사건의 진실게임" 푸른역사 2006
20 박교신, "정감록 십승지의 고장 유구" 6 (6): 2010
21 양태진, "정감록" 예나루 2013
22 김탁, "정감록" 살림 2005
23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24 심승구, "전북 운봉의 역사문화 자원과 문화콘텐츠 전략" 한국학연구소 41 : 169-188, 2014
25 이용범, "이조 실학파의 서양과학 수용과 그 한계 –김석문과 이익의 경우-" 58 : 1988
26 "용담유사"
27 백승종, "예언가" 푸른역사 2007
28 이형래, "예수를 배반한 기독교" 일월서각 2003
29 김성윤, "영정조시대(18세기)는 한국사의 르네상스였는가" 40 : 2007
30 박종인, "땅의 역사 (211), 1698년 대기근과 청 강희제의 곡식원조"
31 "동경대전"
32 이병도, "도참에 대한 1, 2의 고찰" 10 : 1939
33 박승학, "높은 데서 바라본 세상-기독교 입장에서 본 역술" 한일 2012
34 한국철학사상연구회, "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 예문서원 1995
35 황길현, "내훈 정감록" 중앙교육 1986
36 문창우, "기억의 대립과 토착문화 인식: 김원영 신부의 「修身靈藥」을 중심으로" 신학연구소 (163) : 110-139, 2008
37 박승학, "기독교 입장에서 본 역술(1.2.3)"
38 "규원사화"
39 조광, "강진철교수화갑기념 한국사학논총" 1977
40 "朱子語類"
41 "孟子"
42 진단학회, "『한국사』 근세후기편" 을유문화사 1971
43 이찬구, "『정감록』에 나타난 역학적사유에 관한 고찰" 국학연구원 22 : 9-46, 2017
44 이종필, "『정감록(鄭鑑錄)』과 조선후기 하위주체들의 저항적 연대" 우리문학회 (62) : 29-53, 2019
45 "‘일부 기독교대학 평생교육원 풍수지리⋅점술 강좌 개설’ 기사"
46 조지형, "17세기, 소빙기, 그리고 역사추동력으로서의 인간 - 거대사적 재검토 -" 이화사학연구소 (43) : 1-38, 2011
47 임채우, "17세기 조선 도교의 탈중화의 이념적 전환: 양란(兩亂) 이후 유교 중화주의 세계관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도교문화학회 (50) : 89-122,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