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학이 근대 민중종교운동에 미친 영향 - 민간 예언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Western Studies in Modern Civilian Religion M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427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sequently, the popular religion movement which sprouted and developed in the great confusion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proceeds with such a background of eschatology. The concept of the Last Day influenced by the eschatology of Catholicism develops into the concept of postnatal beginning of the world in Donghak(Eastern Learning) and Jeungsangyo in the late 19thcentury by the combination of the eschatology of Christianity and the view of a circulatory world in Yixue.
      Moreover,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doctrine of Catholicism and the writings of missionaries such as “De Deo Verax Disputatio” of Matteo Ricci, the concept of the Lord was accepted in Jeonggamrok as the ‘True Master’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modern popular religion. The hero of the new world appearing in Jeonggamrok, Mr. Jeong is quite different from the image of a traditional holy man such as the saint in Confucianism. Rather, Mr. Jeong is similar to the Savior who save the turbulent world by much influence of the view of salvation in Christianity.
      번역하기

      Consequently, the popular religion movement which sprouted and developed in the great confusion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proceeds with such a background of eschatology. The concept of the Last Day influenced by the eschatology of Catholicism deve...

      Consequently, the popular religion movement which sprouted and developed in the great confusion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proceeds with such a background of eschatology. The concept of the Last Day influenced by the eschatology of Catholicism develops into the concept of postnatal beginning of the world in Donghak(Eastern Learning) and Jeungsangyo in the late 19thcentury by the combination of the eschatology of Christianity and the view of a circulatory world in Yixue.
      Moreover,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doctrine of Catholicism and the writings of missionaries such as “De Deo Verax Disputatio” of Matteo Ricci, the concept of the Lord was accepted in Jeonggamrok as the ‘True Master’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modern popular religion. The hero of the new world appearing in Jeonggamrok, Mr. Jeong is quite different from the image of a traditional holy man such as the saint in Confucianism. Rather, Mr. Jeong is similar to the Savior who save the turbulent world by much influence of the view of salvation in Christian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린, "황사영 백서 연구" 일조각 1999

      2 김지호, "한국적 종말론 : 증산의 후천개벽" (9) : 1990

      3 임채우, "한국의 신선 – 그 계보와 전기" 소명출판 2018

      4 김홍철, "한국민중종교사상론" 시인사 1985

      5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연세대학교출판부 2000

      6 임채우, "한국 도교사에 보이는 도참과 비기의 위상문제-조선시대를 중심으로" 한국동서철학회 (92) : 119-148, 2019

      7 이상호, "초기 서학의 전래와 유교적 대응" 27 : 2007

      8 전홍석, "초기 근대 서구지식인의 동아시아상과 지식체계" 동과서 2018

      9 홍창기, "지역 농산물 공동브랜드 개발 사례 연구 - 십승지 친환경 농산물 공동브랜드를 중심으로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69 : 293-302, 2019

      10 정약종, "주교요지" 2012

      1 이정린, "황사영 백서 연구" 일조각 1999

      2 김지호, "한국적 종말론 : 증산의 후천개벽" (9) : 1990

      3 임채우, "한국의 신선 – 그 계보와 전기" 소명출판 2018

      4 김홍철, "한국민중종교사상론" 시인사 1985

      5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연세대학교출판부 2000

      6 임채우, "한국 도교사에 보이는 도참과 비기의 위상문제-조선시대를 중심으로" 한국동서철학회 (92) : 119-148, 2019

      7 이상호, "초기 서학의 전래와 유교적 대응" 27 : 2007

      8 전홍석, "초기 근대 서구지식인의 동아시아상과 지식체계" 동과서 2018

      9 홍창기, "지역 농산물 공동브랜드 개발 사례 연구 - 십승지 친환경 농산물 공동브랜드를 중심으로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69 : 293-302, 2019

      10 정약종, "주교요지" 2012

      11 이종성, "종말론 1" 대한기독교출판사 1990

      12 김균진, "종말론" 민음사 1998

      13 신복윤, "종말론" 개혁주의신행협회 2001

      14 백승종, "조선후기 천주교와《鄭鑑錄》: 소문화집단의 상호작용" (재)한국교회사연구소 (30) : 5-46, 2008

      15 이민희, "조선후기 서적 통제, 그 아슬한 의식의 충돌과 타협" 한국한문학회 (68) : 115-154, 2017

      16 (사)대한예수교장로회연합회, "정통과 이단 종합연구서" 2004

      17 정민, "정민의 다산독본, 파란 1" 천년의상상 2019

      18 정응수, "정도령이 된 정성공 - 「연평초령의모도(延平髫齡依母圖)」를 중심으로" 한국일본문화학회 (71) : 261-279, 2016

      19 백승종, "정감록 역모사건의 진실게임" 푸른역사 2006

      20 박교신, "정감록 십승지의 고장 유구" 6 (6): 2010

      21 양태진, "정감록" 예나루 2013

      22 김탁, "정감록" 살림 2005

      23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24 심승구, "전북 운봉의 역사문화 자원과 문화콘텐츠 전략" 한국학연구소 41 : 169-188, 2014

      25 이용범, "이조 실학파의 서양과학 수용과 그 한계 –김석문과 이익의 경우-" 58 : 1988

      26 "용담유사"

      27 백승종, "예언가" 푸른역사 2007

      28 이형래, "예수를 배반한 기독교" 일월서각 2003

      29 김성윤, "영정조시대(18세기)는 한국사의 르네상스였는가" 40 : 2007

      30 박종인, "땅의 역사 (211), 1698년 대기근과 청 강희제의 곡식원조"

      31 "동경대전"

      32 이병도, "도참에 대한 1, 2의 고찰" 10 : 1939

      33 박승학, "높은 데서 바라본 세상-기독교 입장에서 본 역술" 한일 2012

      34 한국철학사상연구회, "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 예문서원 1995

      35 황길현, "내훈 정감록" 중앙교육 1986

      36 문창우, "기억의 대립과 토착문화 인식: 김원영 신부의 「修身靈藥」을 중심으로" 신학연구소 (163) : 110-139, 2008

      37 박승학, "기독교 입장에서 본 역술(1.2.3)"

      38 "규원사화"

      39 조광, "강진철교수화갑기념 한국사학논총" 1977

      40 "朱子語類"

      41 "孟子"

      42 진단학회, "『한국사』 근세후기편" 을유문화사 1971

      43 이찬구, "『정감록』에 나타난 역학적사유에 관한 고찰" 국학연구원 22 : 9-46, 2017

      44 이종필, "『정감록(鄭鑑錄)』과 조선후기 하위주체들의 저항적 연대" 우리문학회 (62) : 29-53, 2019

      45 "‘일부 기독교대학 평생교육원 풍수지리⋅점술 강좌 개설’ 기사"

      46 조지형, "17세기, 소빙기, 그리고 역사추동력으로서의 인간 - 거대사적 재검토 -" 이화사학연구소 (43) : 1-38, 2011

      47 임채우, "17세기 조선 도교의 탈중화의 이념적 전환: 양란(兩亂) 이후 유교 중화주의 세계관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도교문화학회 (50) : 89-122,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5-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仙道文化 제6집 -> 仙道文化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4-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선도문화연구원 -> 국학연구원
      영문명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 kukhak Institute
      2006-11-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Korea Sundo & Culture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2 0.996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