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21세기에 들어오면서 국제결혼, 외국인 근로자, 새터민, 유학 등의 지속적인 증가로 ‘다문화’는 우리 사회에 새로운 문화양상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것으로 인해 정부는 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19688
2012
Korean
004
KCI등재
학술저널
69-103(35쪽)
2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21세기에 들어오면서 국제결혼, 외국인 근로자, 새터민, 유학 등의 지속적인 증가로 ‘다문화’는 우리 사회에 새로운 문화양상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것으로 인해 정부는 빠...
우리나라는 21세기에 들어오면서 국제결혼, 외국인 근로자, 새터민, 유학 등의 지속적인 증가로 ‘다문화’는 우리 사회에 새로운 문화양상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것으로 인해 정부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을 위한 지원정책으로서 2006년 ‘여성결혼이민자가족 및 혼혈인??이주자 사회통합지원방안’ 마련, 2007년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수립,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 제정 그리고 2008년 8월에 ‘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을 마련하여 실행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다문화가구 386,977가구와 1,409,577명의 외국인 주민이 살고 있으며, 만0세~만18세 미만의 다문화가정 자녀가 168,583명으로 전국 다문화가족, 외국인 근로자 등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로 다양한 문화배경으로 구성된 다문화가정과 가족들은 언어, 경제상황, 인권문제, 자녀보육과 교육 등에 따른 다양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다문화가정의 증가속도를 볼 때 우리나라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다문화의 발달배경과 다문화가정 지원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실제 다문화가정의 현황과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다문화 가족이 우리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삶의 질을 영위하고 사회구성원으로서 더불어 살아가는 데 있어서 다문화가족에 대한 우리사회의 이해와 인식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hildren are recently increased with the international marriage and the alien workers ect.. So, this study bring up the strategies of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policy supports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at ar...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hildren are recently increased with the international marriage and the alien workers ect.. So, this study bring up the strategies of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policy supports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at are based on a development-background of multiculture, problem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olicy supports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e directions of policy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are as based follows;
First, the expansion of the korean-language education and the quality of the korean-language teache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financial support by the opportunity of vocational education and job employment.
Third, support strength on use of violence and violation of human rights in multicultural families.
Forth, the expansion of expenses for child educ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혼인통계"
2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승인통계)"
3 "행정안전부"
4 김선영, "한국과 독일의 다문화 비교: 다문화정책 환경과 정책 특징을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9 (9): 175-194, 2009
5 임희자, "한국과 독일 유치원 교사의 다문화인식 및 다문화교육 실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1
6 이용승, "특집 현대의 다문화 가족: 독일의 다문화 가족 정책" 31 : 2007
7 "통계청"
8 여성가족부, "제3차 여성정책 기본계획(중앙행정부)" 2012
9 "전국다문화가족사업지원단"
10 통계청, "인구총조사통계"
1 통계청, "혼인통계"
2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승인통계)"
3 "행정안전부"
4 김선영, "한국과 독일의 다문화 비교: 다문화정책 환경과 정책 특징을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9 (9): 175-194, 2009
5 임희자, "한국과 독일 유치원 교사의 다문화인식 및 다문화교육 실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1
6 이용승, "특집 현대의 다문화 가족: 독일의 다문화 가족 정책" 31 : 2007
7 "통계청"
8 여성가족부, "제3차 여성정책 기본계획(중앙행정부)" 2012
9 "전국다문화가족사업지원단"
10 통계청, "인구총조사통계"
11 이채호, "유아교사용 다문화 인식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11-324, 2010
12 강태구,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정책의 발전방안에 관한 고찰"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3 행정안전부, "외국인주민현황조사"
14 "여성가족부"
15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보 제57호" 2011
16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통계포털 복지통계.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총괄 통계"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정책실 기초생활보장과 2011
17 "보건복지부"
18 "법제처"
19 "법무부"
20 다문화가정지원법, "법률 제11284호, 2012.2.1, 일부개정"
21 이아진, "문화적응 유형화를 중심으로한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부부갈등과 가족상담자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기대" 한국생활과학회 20 (20): 71-90, 2011
22 김세린, "독일의 절망, 유럽의 절망: 장기 다문화정책 ‘절대’ 신중해야!"
23 김은영, "독일 다문화교육정책의 전개" 푸른시민연대
24 장인실,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학지사 2012
25 홍순정, "다문화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다문화인식 수준과 다문화교육내용을 중심으로" 48 : 2009
26 박충선, "다문화가족의 갈등양상 사례분석을 통한 지역사회통합방안 연구 -아시아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아시아학회 14 (14): 127-149, 2011
27 김정현, "다문화가족 노부모: 성인자녀 세대관계를 중심으로 본 가족복지욕구, 가족복지정책, 서비스 실태에 관한 연구" 28 : 2010
28 박천응, "다문화 탐험속으로" 국경없는 마을 출판사 2011
29 서혁, "다문화 가정 현황 및 한국어 교육 지원 방안" 인간학연구소 (12) : 57-92, 2007
30 김순규,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과 사회적 지지가 한국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5 (15): 5-20, 2010
31 김갑현, "국제결혼 이주여성 대상 교육프로그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전남지역 공공도서관 및 평생교육관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2007
32 이금연, "국내 국제결혼과 그 이해・실태와 문제점을 중심으로" 안양전진상복지관 이주여성쉼터 2003
33 "국가통계포털"
34 교육과학기술부, "교육통계, 다문화가정자녀 및 외국인 근로자자녀 학생수" 교육과학기술부 2011
35 "교육과학기술부"
36 전홍주,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자녀 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0 (20): 161-186, 2008
37 정태석, "‘세계화선언’ 이후 한국 시민사회의 오늘과 내일"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05
38 여성가족부, "2012 다문화가족 지원사업 안내" 2012
Korean Names and Identity of a Multi-cultural society in America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9-05-2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문화컨텐츠기술연구원 ->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3 | 1.33 | 1.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15 | 1.463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