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한 갯벌 퇴적상 변화 연구 = A Study on the Sedmentary Facies Change in the Tidal Flat Using High Spatial Resolution Remotely Sensed D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695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urface sediment distribution in a tidal flat in 2001 was compared with that of 2008 using high spatial resolution remote sensing images and a GIS-based analysis. Maps of the surface sedimentary facies for each time frame were induced by an IKONOS...

      The surface sediment distribution in a tidal flat in 2001 was compared with that of 2008 using high spatial resolution remote sensing images and a GIS-based analysis. Maps of the surface sedimentary facies for each time frame were induced by an IKONOS data acquired in February, 2001 and a KOMPSAT-2 data acquired in April, 2008 using an object-based classification method. The area ratio of each surface sedimentary facies were estimat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each other for deducing the change in the sedimentary facies during the time interval. The result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grains larger than very fine sand (0.0625 mm) has increased considerably since the early 2000s in the Hwangdo tidal flat. Mud flat facies has decreased 5.81 % in the late 2000s compared with the early 2000s. However, mixed flat and sand flat have increased 4.46% and 2.14%, respectively. A field campaign also supported the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nitoring of changes in the surface sedimentary facies in the tidal flat is possible through a GIS-based analysis using high spatial resolution remote sensing imag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공간해상도 4m 급의 고해상도 위성인 IKONOS 및 Kompsat-2 영상자료와 현장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지리정보시스템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천수만 황도 갯벌의 표층 퇴적상 분포의 변...

      이 연구에서는 공간해상도 4m 급의 고해상도 위성인 IKONOS 및 Kompsat-2 영상자료와 현장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지리정보시스템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천수만 황도 갯벌의 표층 퇴적상 분포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2001년 2월에 획득된 IKONOS 영상과 2008년 4월에 획득된 KOMPSAT-2 영상을 이용하여 객체 기반 분류법 (object-based classification)에 의해 갯벌의 표층 퇴적상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두 시기에 얻어진 퇴적상 분포도로부터 각 퇴적상의 면적을 추출하고, 이를 통해 두 시기 동안 연구지역 갯벌의 표층 퇴적상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황도 갯벌에서는 2000년 대 초반에 비해 전반적으로 모래 성분이 증가하여 펄 퇴적상의 상당 부분이 혼합 퇴적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펄 퇴적상은 2000년대 초에 비해 후반에 5.81% 증가하였으나, 혼합 퇴적상과 모래 퇴적상은 각각 4.46%와 2.14% 증가하였다. 2004년 4월과 2009년 5월 및 2010년 5월 현장조사 결과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지리정보시스템 분석기법의 활용을 통해 갯벌 표층 퇴적상 분포의 변화 양상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우한준, "천수만 황도 갯벌의 퇴적환경" 한국습지학회 7 (7): 53-67, 2005

      2 Blaschke, T., "What’s wrong with pixels? Some recent development interfacing remote sensing and GIS" 6 : 12-17, 2001

      3 원중선, "Waterline extraction from Landsat TM data in a tidal flat - A case study in Gomso Bay, Korea" 83 : 442-456, 200212

      4 Yates, M.G., "The use of satellite imagery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of the Wash, England" 36 (36): 333-344, 1993

      5 Kim, Y.S., "The sedimentology of Holocene intertidal deposits in Cheonsu Bay, west coast of Korea (Korean ed.)" 10 (10): 134-151, 1989

      6 Bartholdy, J., "Sediment classification and surface type mapping in the Danish Wadden sea by remote-sensing" 20 (20): 337-345, 1986

      7 Walsh, S.J., "QuickBird and Hyperion data analysis of an invasive plant species in the Galapagos Islands of Ecuador: Implications for control and land use management" 112 (112): 1927-1941, 2008

      8 Choi, J.K., "Quantitative estimation of intertidal sediment characteristics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ACADEMIC PRESS LTD- ELSEVIER SCIENCE LTD 88 (88): 125-134, 2010

      9 Ryu, J.H., "Quantitative Estimation of Geomorphologic Change and Analysis of Sediment Characterization in Gomso Bay Tidal Flat by Remote Sensing (Korean ed.)" Yonsei University 2001

      10 So, J.G., "Numerical Modeling of Changes in Tides and Tidal Currents Caused by Embankment at Chonsu Bay (Korean ed.)" 10 (10): 151-164, 1998

      1 우한준, "천수만 황도 갯벌의 퇴적환경" 한국습지학회 7 (7): 53-67, 2005

      2 Blaschke, T., "What’s wrong with pixels? Some recent development interfacing remote sensing and GIS" 6 : 12-17, 2001

      3 원중선, "Waterline extraction from Landsat TM data in a tidal flat - A case study in Gomso Bay, Korea" 83 : 442-456, 200212

      4 Yates, M.G., "The use of satellite imagery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of the Wash, England" 36 (36): 333-344, 1993

      5 Kim, Y.S., "The sedimentology of Holocene intertidal deposits in Cheonsu Bay, west coast of Korea (Korean ed.)" 10 (10): 134-151, 1989

      6 Bartholdy, J., "Sediment classification and surface type mapping in the Danish Wadden sea by remote-sensing" 20 (20): 337-345, 1986

      7 Walsh, S.J., "QuickBird and Hyperion data analysis of an invasive plant species in the Galapagos Islands of Ecuador: Implications for control and land use management" 112 (112): 1927-1941, 2008

      8 Choi, J.K., "Quantitative estimation of intertidal sediment characteristics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ACADEMIC PRESS LTD- ELSEVIER SCIENCE LTD 88 (88): 125-134, 2010

      9 Ryu, J.H., "Quantitative Estimation of Geomorphologic Change and Analysis of Sediment Characterization in Gomso Bay Tidal Flat by Remote Sensing (Korean ed.)" Yonsei University 2001

      10 So, J.G., "Numerical Modeling of Changes in Tides and Tidal Currents Caused by Embankment at Chonsu Bay (Korean ed.)" 10 (10): 151-164, 1998

      11 Rainey, M.P., "Mapping intertidal estuarine sediment grain size distributions through airborne remote sensing" 86 : 480-490, 2003

      12 유주형, "IKONOS 영상을 이용한 천수만 황도 갯벌 표층퇴적상 분류" 한국습지학회 7 (7): 121-132, 2005

      13 Desclee, B., "Forest change detection by statistical object-based mthod" 102 : 1-11, 2006

      14 Ryu, J.H., "Characteristics of Landsat ETM+ image for Gomso Bay tidal flat sediments (Korean ed.)" 19 (19): 117-133, 2003

      15 Conchedda, G., "An object-based method for mapping and change analysis in mangrove ecosystems" 2008

      16 Folk, R.L., "A review of grain size parameters" 6 : 73-93, 196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7 0.62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