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 다문화정책의 변천과정 = The Transition Process of Multicultural Policy in Japan: Centering around as of Multicultural Symbio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213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공생의 시점에서 일본 다문화정책의 변천 과정의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검토결...

      본 연구는 다문화공생의 시점에서 일본 다문화정책의 변천 과정의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검토결과, 일본의 다문화정책은 일본인과 외국인의 일상적 연계를 통해 외국인이 일본사회의 소외받는 주변인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자립하여 함께 살아 갈 수 있는 지역사회의 네트워크구축을 의미하였다. 또한, 네트워크에 대한 자발적 참여를 통해 지역공동체의 연대감을 강화함과 동시에 개인의 자아실현, 나아가 주체적 생활자로서 자립하여 함께 살아 갈 수 있는 지역공동체사회를 기대하였다. 즉, 종래 상의하달식 통제에서 벗어나 지역의 인적네트워크에 기초한 지역사회교육사업으로서 시민문화 프레임을 중심으로 한 사회통합촉진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론에 입각하여, 지역사회의 인적네트워크를 중시한 거버넌스의 모색과 주체적 지역 활동이 가능한 다문화정책사업의 추진을 제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offer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on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n South Korea by discussing the transition process of multicultural policy in Japan over the years from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s...

      This study is to offer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on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n South Korea by discussing the transition process of multicultural policy in Japan over the years from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symbiosis.
      Review in this study shows that multicultural policy in Japan focuses on establishing networks in local societies where foreigners are included in Japanese society and can live independently through daily contact between Japanese and foreigners. Also voluntary involvement in networks enhances solidarity, self-realization and independency of foreigners in local communities. Instead of traditional top-down control, it is to promote social integration focusing on the cultural frame as the local society education based on local human networks.
      With thi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seeking governance emphasizing local human networks and multicultural policy that enables autonomous local activ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다문화공생과 사회적 자본
      • Ⅲ. 일본의 사회적 소수자의 현황과 그 정책
      • Ⅳ. 일본의 다문화교육
      • 요약
      • Ⅰ. 서론
      • Ⅱ. 다문화공생과 사회적 자본
      • Ⅲ. 일본의 사회적 소수자의 현황과 그 정책
      • Ⅳ. 일본의 다문화교육
      • Ⅴ. 일본의 외국인 문제와 다문화정책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월보"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2014

      2 여성가족부, "제2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 여성가족부 2012

      3 "재외동포신문, 2011년 11월 14일자"

      4 국토연구원,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국토 도시공간의 재편과 정책방향" 국토연구원 2012

      5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 여성가족부 2012

      6 自治省, "自治体国際協力推進大網の策定に関する指針について" 自治省 1995

      7 初瀬竜平, "自治体の国際化政策 : 住民との関連" 1 (1): 1-15, 1993

      8 佐藤誠, "社会資本とソーシャルキャピタル" 16 (16): 1-30, 2003

      9 朝倉征夫, "産業革新下の庶民教育" 酒井書店 1999

      10 内海愛子山脇啓造, "歴史の壁を超えて" 法律文化社 2004

      1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월보"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2014

      2 여성가족부, "제2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 여성가족부 2012

      3 "재외동포신문, 2011년 11월 14일자"

      4 국토연구원,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국토 도시공간의 재편과 정책방향" 국토연구원 2012

      5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 여성가족부 2012

      6 自治省, "自治体国際協力推進大網の策定に関する指針について" 自治省 1995

      7 初瀬竜平, "自治体の国際化政策 : 住民との関連" 1 (1): 1-15, 1993

      8 佐藤誠, "社会資本とソーシャルキャピタル" 16 (16): 1-30, 2003

      9 朝倉征夫, "産業革新下の庶民教育" 酒井書店 1999

      10 内海愛子山脇啓造, "歴史の壁を超えて" 法律文化社 2004

      11 日経マグロウヒル社, "日経ビジネス" 日経マグロウヒル社 1970

      12 厚生労働省, "日系人就労準備研修事業の概要" 厚生労働省 2009

      13 "日本経済新聞, 2014년 4월 16일자"

      14 沢田昭夫門脇厚司, "日本人の国際化" 日本経済新聞社 1990

      15 李洙任, "日本の外国人労働者を取り巻く雇用システムの光と闇社会統合労働統合からみた異文化経営における課題" 50 (50): 64-81, 2011

      16 荒木萬寿夫, "文部省後期中等教育の拡充整備について(第20回答申)" 文部科学省 1966

      17 "政府統計の総合窓口ホームページ"

      18 平松道夫, "持続可能な福祉のまちづくり" 8 (8): 38-44, 2012

      19 鄭楽静, "戦前期の温州人出稼ぎ労働者" 6 : 107-130, 2010

      20 文部科学省, "学習指導要領における各教科等の目標及び内容の例" 文部科学省 1998

      21 佐藤一子増山均, "子どもの文化権と文化的参加" 第一書林 1995

      22 榎田勝利, "姉妹都市交流の成果から学ぶ新たなる発展の可能性" 264 : 2-7, 2011

      23 江原武一, "多文化教育の国際比較:エスニシティーへの教育への対応" 玉川大学出版部 2000

      24 総務省, "多文化共生の推進に関する研究会報告書" 総務省 2006

      25 田村太郎北村広美高柳香代, "多文化共生に関する現状およびJICAでの取り組み状況にかかる基礎分析" JICA研修所 2007

      26 山西優二, "多文化共生に向けての居場所とは" 13 : 14-22, 2011

      27 広田康生, "多文化主義と多文化教育" 明石書店 1996

      28 原尻英樹, "外国人登録法廃止と在留管理制度としての住民基本台帳 : 外国人管理の理念" 48 (48): 135-146, 2013

      29 駒井洋, "外国人労働者必然論鎖国論開国論を超えて-6-低賃金労働力としての技術研修生" 67 (67): 62-67, 1989

      30 自治省, "外交青書-我が外交の近況(第31号)"

      31 自治省, "地域国際交流推進大網の策定に関する指針について" 自治省 1989

      32 木村幹, "在日韓国朝鮮人問題と外国人参政権, 神戸大学研究報告書" 神戸大学 2005

      33 "国立国会図書館国会議録検索システムホームページ"

      34 総務省, "国勢調査報告" 日本統計協会 2010

      35 明石純一, "入国管理政策 : "1990年体制"の成立と展開" ナカニシヤ出版 2010

      36 法務省, "作今の外国人入国・在留の状況と出入国管理政策について"

      37 金子郁容玉村雅敏宮垣元, "コミュニティ科学" 勁草書房 2009

      38 竹ノ下弘久, "エスニックアイデンティティの葛藤と変容-日立就職差別批判の朴鐘碩の生活史から" 10 : 33-55, 1996

      39 佐久間孝正, "イギリスの多文化多民族教育: アジア系外国人労働者の生活文化宗教" 国土社 1993

      40 田村太郎, "みんなでつくる!多文化共生社会" 茨城県国際課 2007

      41 川崎市教育委員会, "ともに生きる" 川崎市教育委員会 2009

      42 佐久間孝正, "「多文化主義教育」のなかのイギリスの「教育改革」" 658 : 71-80, 1996

      43 鈴木正仁, "Supranationalismと外国人労働者問題" 316 : 17-38, 1998

      44 Woolcock, M.,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 Toward a theoretical Synthesis and Policy Framework" 27 (27): 151-208, 1998

      45 浅見靖仁, "NGOと労働団体の冷たい関係と外国人研修生技能実習生問題" 1520 : 68-71, 2002

      46 Putnam, Robert D.,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47 Coleman, J. S.,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4 1.28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