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인물구조로 본 '야곱 톨레돗' (창세기 37:2-50:26) : 야곱 자녀들의 신앙경주 = (A) study on the homiletic structure of the characters portrayed in 'Jacob Toledot' (Genesis 37:2-50:26) : a tournament of the faithful life in Jacob’s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36190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영신학대학교, 2011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233.211 판사항(5)

      • DDC

        222.11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 228 p.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209-225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서울한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shows how the message of ‘Jacob toledot’ i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characters portrayed in Gen. 37:2-50:26 in which a
      tournament of the faithful life in Jacob’s children works with the theme
      of the promise of blessing. There are four questions dealing with it.
      First of all, is it possible to read the text as a whole? Secondly, if we
      are able to read the text as a whole, is it possible to find a new genre?
      If so then how do we interpret it? Thirdly, how does the whole and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text combinate with the massage of the
      text? Fourthly, does the whole message of ‘Jacob toledot’ can relate to
      the promise that is given by God to the previous patriarchs? If so who
      will be the next successor of Jacob?
      In Part I, this introductory part describes the existence of diachronic
      and synchronic approaches in relation to the question of possibility of
      looking at the text as a whole. As a result of this survey we accept to
      use a structural analysis in terms of synchronic approach that draws
      attention to read the text as a whole according to a needs for a new
      structural principle of the genre of the text.
      In Part II, we ask of a real genre of the text dealing with the text
      as a whole. Finding a new genre we try it in terms of a genre theory. Firstly, we survey some designations of the literary genres which are
      based on their own assumptions and theories.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two modes (aural and highlight lessons to be drawn) in relation
      to its religious dimension, we find a new genre calling the text a
      narrative expository sermon of the patriarchs based not just on esthetic
      or wisdom element but on spiritual aspect. Then we suggest the aural
      design of the sermonized text which is characterized in the twofold
      shape; structuralized and thematized in which the twofold form plays as
      several homiletic functions. Finally, we suggest a method of the
      homiletic structural analysis of the characters portrayed in ‘Jacob toledot’
      that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literary structural analysis in its
      function and role. There are three kinds of structures(parallel, symmetry,
      and linear) that comprises of some constituent elements(character’s
      relationship, its role, its speech and act, and its circumstance). It is an
      unique in making frame of the structures that are made only by the
      relationship of the characters then the three forms of the structure are
      made by the other constituent elements. By this characteristic way of
      genre and method, we may say that the character structure refers to
      not as a literary code but a homiletic code.
      In Part III, we examine ‘Jacob toledot’ with reference to the homiletic
      structural analysis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ucture
      and motifs are well organized in the course of that analysis. There is a
      whole structure of the text with a threefold parallel form having thirteen
      character-outlines that is a different form from the other structures of
      the text made by the previous scholars. The threefold linear
      form(abcd/a'b'c'd'/a''b''c''d''e) has repeated in four kinds of
      relationship: father and son, Joseph and his brothers, Reuben and Judah,
      and Judah and Joseph. Out of them, Judah and Joseph relationship in
      particular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whole structure and
      theme. Its first relationship appears in ch. 38 and chs. 39-41 in which a
      problem of the place of ch. 38 has been proved in connection with chs.
      39-41. Their second relationship(ch. 44) shows Judah’s repentance and
      Joseph’s forgiveness that makes to arise the reconciliation between Joseph and his brothers in ch. 45. The final relationship appears in ch.
      49 in which their five verses of blessing are compared with the other
      brothers’ blessing and course. In the course of the homiletic structural
      analysis, we find some new facts as such: Joseph’s mistake in his work
      of dream interpretation of cup bearer, Joseph’s good intentional purpose
      of testing of his brothers etc.
      In Part IV, we examine the massage of ‘Jacob toledot’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 patriarchal promise in which we find that there are two
      ballanced homiletic factors, being and doing. But in ‘Jacob’s toledot’
      direct speech of God appears only one time to Jacob even though there
      are many times of indirect relationship with God in Jacob’s children and
      others. Then we ask of whom the next successor of Jacob’s children
      will be on condition of their lives. In the course of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text it seems likely that Jacob’s children play as a
      member of the faithful life tournament. There are four main “players” in
      that tournament in which Reuben, Judah, Joseph and Benjamin appears
      in their relationship. By means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threefold parallel structure of the text, the blessings of Judah and
      Joseph given five verses each in ch. 49 play as the most important role
      in relation to some motifs and theme of the promise. Actually, the
      first-born blessing has two elements, succession and inheritance that
      refer to the prize for victory in the tournament of faithful lives in
      which Judah and Joseph respectively are given them instead of the
      firstborn, Reuben, who was disqualified. This is the vital point of the
      whole message of the narrative expository sermon of the characters
      portrayed in ‘Jacob toledot’
      번역하기

      This thesis shows how the message of ‘Jacob toledot’ i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characters portrayed in Gen. 37:2-50:26 in which a tournament of the faithful life in Jacob’s children works with the theme of the promise of blessing. There...

      This thesis shows how the message of ‘Jacob toledot’ i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characters portrayed in Gen. 37:2-50:26 in which a
      tournament of the faithful life in Jacob’s children works with the theme
      of the promise of blessing. There are four questions dealing with it.
      First of all, is it possible to read the text as a whole? Secondly, if we
      are able to read the text as a whole, is it possible to find a new genre?
      If so then how do we interpret it? Thirdly, how does the whole and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text combinate with the massage of the
      text? Fourthly, does the whole message of ‘Jacob toledot’ can relate to
      the promise that is given by God to the previous patriarchs? If so who
      will be the next successor of Jacob?
      In Part I, this introductory part describes the existence of diachronic
      and synchronic approaches in relation to the question of possibility of
      looking at the text as a whole. As a result of this survey we accept to
      use a structural analysis in terms of synchronic approach that draws
      attention to read the text as a whole according to a needs for a new
      structural principle of the genre of the text.
      In Part II, we ask of a real genre of the text dealing with the text
      as a whole. Finding a new genre we try it in terms of a genre theory. Firstly, we survey some designations of the literary genres which are
      based on their own assumptions and theories.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two modes (aural and highlight lessons to be drawn) in relation
      to its religious dimension, we find a new genre calling the text a
      narrative expository sermon of the patriarchs based not just on esthetic
      or wisdom element but on spiritual aspect. Then we suggest the aural
      design of the sermonized text which is characterized in the twofold
      shape; structuralized and thematized in which the twofold form plays as
      several homiletic functions. Finally, we suggest a method of the
      homiletic structural analysis of the characters portrayed in ‘Jacob toledot’
      that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literary structural analysis in its
      function and role. There are three kinds of structures(parallel, symmetry,
      and linear) that comprises of some constituent elements(character’s
      relationship, its role, its speech and act, and its circumstance). It is an
      unique in making frame of the structures that are made only by the
      relationship of the characters then the three forms of the structure are
      made by the other constituent elements. By this characteristic way of
      genre and method, we may say that the character structure refers to
      not as a literary code but a homiletic code.
      In Part III, we examine ‘Jacob toledot’ with reference to the homiletic
      structural analysis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ucture
      and motifs are well organized in the course of that analysis. There is a
      whole structure of the text with a threefold parallel form having thirteen
      character-outlines that is a different form from the other structures of
      the text made by the previous scholars. The threefold linear
      form(abcd/a'b'c'd'/a''b''c''d''e) has repeated in four kinds of
      relationship: father and son, Joseph and his brothers, Reuben and Judah,
      and Judah and Joseph. Out of them, Judah and Joseph relationship in
      particular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whole structure and
      theme. Its first relationship appears in ch. 38 and chs. 39-41 in which a
      problem of the place of ch. 38 has been proved in connection with chs.
      39-41. Their second relationship(ch. 44) shows Judah’s repentance and
      Joseph’s forgiveness that makes to arise the reconciliation between Joseph and his brothers in ch. 45. The final relationship appears in ch.
      49 in which their five verses of blessing are compared with the other
      brothers’ blessing and course. In the course of the homiletic structural
      analysis, we find some new facts as such: Joseph’s mistake in his work
      of dream interpretation of cup bearer, Joseph’s good intentional purpose
      of testing of his brothers etc.
      In Part IV, we examine the massage of ‘Jacob toledot’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 patriarchal promise in which we find that there are two
      ballanced homiletic factors, being and doing. But in ‘Jacob’s toledot’
      direct speech of God appears only one time to Jacob even though there
      are many times of indirect relationship with God in Jacob’s children and
      others. Then we ask of whom the next successor of Jacob’s children
      will be on condition of their lives. In the course of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text it seems likely that Jacob’s children play as a
      member of the faithful life tournament. There are four main “players” in
      that tournament in which Reuben, Judah, Joseph and Benjamin appears
      in their relationship. By means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threefold parallel structure of the text, the blessings of Judah and
      Joseph given five verses each in ch. 49 play as the most important role
      in relation to some motifs and theme of the promise. Actually, the
      first-born blessing has two elements, succession and inheritance that
      refer to the prize for victory in the tournament of faithful lives in
      which Judah and Joseph respectively are given them instead of the
      firstborn, Reuben, who was disqualified. This is the vital point of the
      whole message of the narrative expository sermon of the characters
      portrayed in ‘Jacob toledo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야곱 톨레돗’(창 37:2-50:26)에 나타난 인물구조와 주제와의
      관계에서 표출된 ‘야곱자녀들의 신앙경주’라는 의미를 설교적 인물구조분석
      방법으로 증명하는 연구이다. 이 논제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질문을 내
      포하고 있다. 첫째, 창세기 37-50장 전체를 하나로 볼 수 있을까? 둘째, 만
      일 본문을 전체로 볼 수 있다면 새로운 장르는 무엇이며 또한 그것을 어떻
      게 해석할 수 있을까? 셋째, 전체와 세부 인물구조들의 흐름이 본문의 메시
      지와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가? 넷째, ‘야곱 톨레돗’의 전체 메시지가 이전
      족장들의 약속의 전수와 연결되는가? 그렇다면 야곱의 자녀들 중 누가 약
      속의 후계자가 되는가
      제1장 서론에서는 창세기 37-50장 해석에 관한 이전 방법들을 본문을
      선정하는 범위의 기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두 종류로 분류한다. 전체본문을
      하나로 볼 수 없다는 통시적 방법과 이와 대치되는 접근인 공시적 방법을
      통해서 본문을 전체로 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찾는다. 그러나 몇몇 학자들
      은 본문을 구조적 관점에서 전체로 보려하지만 어떤 양식으로 되어있는지
      또한 장르와 구조의 상호 작용에 따른 구조의 원리는 무엇인지에 대한 연
      구는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논문은 위 긴장관계를 벗어나기 위한
      대안으로서 공시적 방법을 취하고 또한 내러티브 본문에 대한 장르와 구조
      와의 상호작용에 나타난 새로운 구조 원리의 필요성에 따라 구조와 의미와
      의 관계를 보다 잘 드러낼 수 있는 구조분석 방법을 택한다.
      제2장에서는 본문의 장르를 분류한 학자들의 견해들이 작은 범위에서
      점점 큰 범위로 장르를 분류하는 가운데, 혼합장르로부터 단일 장르로 발전
      해 가는 학설들을 종합하여 비평한다. 그러나 장르 분류의 정의에 따라 이
      전학자들의 외적형태만을 가지고 장르를 찾는 일방적 방법에서 벗어나 모
      든 요소(방식, 차원, 기능, 형태)를 다 포함해서 분류하는 종합적 방법으로 찾아낸 ‘서사체인물설교’라는 새로운 장르를 새롭게 제시한다. 이 장르는 듣
      도록 설계된 저자의 신학적 메시지가 인물구조에 기호화되었음을 밝힌다.
      이러한 저술 방법에 따라 설교코드로서의 인물구조는 본문에 나타난 족장
      들의 관계를 구조의 기본 틀로 삼는다. 이 기본 틀이 세 종류의 구조(병행,
      대칭, 선형)의 형태가 되기 위해서는 인물의 역할, 말과 행동들, 그리고 시
      공간 안에서의 상황들이 요소가 되어 서로 비교와 대조를 이루며 연결된다.
      따라서 서사형태의 인물설교의 특성에 알맞게 본문을 해석해야 할 것을 주
      장한다.
      제3장에서는 창세기 37-50장의 전체구조와 세부구조들을 구조분석 하는
      과정에서 인물구조와 주요 모티프와의 관계가 처음부터 끝까지 자연스럽게
      이루어짐을 강조한다. 전체구조는 세 번 반복된 병행구조로서 13개의 인물
      대지들로 구성되어 있고 세부구조는 중지, 소지, 미지, 그리고 종지들로 선
      형, 병행, 대칭 형태로 이루어져 있음을 밝힌다. 첫 인물대지에서 시작된 아
      버지와 아들 관계, 요셉과 그의 형제들 관계가 경쟁모티프와 더불어 계속해
      서 인물구조의 기능과 주제로 반복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관계를 분석하는
      가운데 새로운 사실들을 발견하게 된다. 특히 요셉의 은사 남용에 대한 사
      건, 형제들에 대한 요셉의 시험 의도, 유다와 요셉의 장자권 분배 등의 새
      로운 점들을 찾아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운데 유다와 요셉의 삶의 관계 안
      에 나타난 회개와 용서, 화해와 축복 등의 모티프들이 구조와의 관계 안에
      서 전체 구조의 핵심 소제들로 나타남을 본다.
      제4장에서는 ‘야곱 톨레돗’의 전체 메시지에 나타난 야곱 자녀들의 '신
      앙경주'의 모습이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에 나타난 신학적 교리와 인간과
      인간의 관계에서 나타난 행함에 대한 실천적 교리가 균형 있게 나타남을
      약속의 전수구조 관점에서 이전 족장들의 관계와 연결해서 설명한다. 본문
      의 메시지는 세 번 반복된 인물 선형구조의 흐름에 비춰진 야곱 자녀들의
      삶이 마치 ‘신앙경주’ 하는 모습과 유사함을 보게 된다. 이전 족장들인 아브
      라함 이삭 그리고 야곱에게 하나님의 약속의 축복이 전수 되었듯이 야곱의
      자녀들 안에서 누가 약속의 계승자가 될 것인지를 언약의 요소들(자손, 땅,
      축복) 중 축복의 요소 관점에서 질문한다. 이에 열 두 명의 자녀들 중 네
      명의 자녀들(르우벤과 유다 그리고 요셉과 베냐민)이 전체구조 안에서 핵심
      선수로서 나타나고 또한 장자권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 있는 자녀들로 강
      조된다. 그리고 가나안과 이집트에서의 삶의 모습과 역할들이 시합의 장소
      와 우승 조건으로 여겨질 때 49장에서 야곱이 그의 자녀들의 과거의 행함에 따라 유언한 것 중 유다와 요셉의 다섯 절씩의 축복들은 공동우승자들
      에게 주어지는 트로피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안에서 장자권의 두 요
      소인 신분과 물질이 유다와 요셉에게 각각 분배되어 장자권 축복이 전수됨
      을 알 수 있게 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야곱 톨레돗’(창 37:2-50:26)에 나타난 인물구조와 주제와의 관계에서 표출된 ‘야곱자녀들의 신앙경주’라는 의미를 설교적 인물구조분석 방법으로 증명하는 연구이다. 이 논제...

      이 논문은 ‘야곱 톨레돗’(창 37:2-50:26)에 나타난 인물구조와 주제와의
      관계에서 표출된 ‘야곱자녀들의 신앙경주’라는 의미를 설교적 인물구조분석
      방법으로 증명하는 연구이다. 이 논제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질문을 내
      포하고 있다. 첫째, 창세기 37-50장 전체를 하나로 볼 수 있을까? 둘째, 만
      일 본문을 전체로 볼 수 있다면 새로운 장르는 무엇이며 또한 그것을 어떻
      게 해석할 수 있을까? 셋째, 전체와 세부 인물구조들의 흐름이 본문의 메시
      지와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가? 넷째, ‘야곱 톨레돗’의 전체 메시지가 이전
      족장들의 약속의 전수와 연결되는가? 그렇다면 야곱의 자녀들 중 누가 약
      속의 후계자가 되는가
      제1장 서론에서는 창세기 37-50장 해석에 관한 이전 방법들을 본문을
      선정하는 범위의 기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두 종류로 분류한다. 전체본문을
      하나로 볼 수 없다는 통시적 방법과 이와 대치되는 접근인 공시적 방법을
      통해서 본문을 전체로 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찾는다. 그러나 몇몇 학자들
      은 본문을 구조적 관점에서 전체로 보려하지만 어떤 양식으로 되어있는지
      또한 장르와 구조의 상호 작용에 따른 구조의 원리는 무엇인지에 대한 연
      구는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논문은 위 긴장관계를 벗어나기 위한
      대안으로서 공시적 방법을 취하고 또한 내러티브 본문에 대한 장르와 구조
      와의 상호작용에 나타난 새로운 구조 원리의 필요성에 따라 구조와 의미와
      의 관계를 보다 잘 드러낼 수 있는 구조분석 방법을 택한다.
      제2장에서는 본문의 장르를 분류한 학자들의 견해들이 작은 범위에서
      점점 큰 범위로 장르를 분류하는 가운데, 혼합장르로부터 단일 장르로 발전
      해 가는 학설들을 종합하여 비평한다. 그러나 장르 분류의 정의에 따라 이
      전학자들의 외적형태만을 가지고 장르를 찾는 일방적 방법에서 벗어나 모
      든 요소(방식, 차원, 기능, 형태)를 다 포함해서 분류하는 종합적 방법으로 찾아낸 ‘서사체인물설교’라는 새로운 장르를 새롭게 제시한다. 이 장르는 듣
      도록 설계된 저자의 신학적 메시지가 인물구조에 기호화되었음을 밝힌다.
      이러한 저술 방법에 따라 설교코드로서의 인물구조는 본문에 나타난 족장
      들의 관계를 구조의 기본 틀로 삼는다. 이 기본 틀이 세 종류의 구조(병행,
      대칭, 선형)의 형태가 되기 위해서는 인물의 역할, 말과 행동들, 그리고 시
      공간 안에서의 상황들이 요소가 되어 서로 비교와 대조를 이루며 연결된다.
      따라서 서사형태의 인물설교의 특성에 알맞게 본문을 해석해야 할 것을 주
      장한다.
      제3장에서는 창세기 37-50장의 전체구조와 세부구조들을 구조분석 하는
      과정에서 인물구조와 주요 모티프와의 관계가 처음부터 끝까지 자연스럽게
      이루어짐을 강조한다. 전체구조는 세 번 반복된 병행구조로서 13개의 인물
      대지들로 구성되어 있고 세부구조는 중지, 소지, 미지, 그리고 종지들로 선
      형, 병행, 대칭 형태로 이루어져 있음을 밝힌다. 첫 인물대지에서 시작된 아
      버지와 아들 관계, 요셉과 그의 형제들 관계가 경쟁모티프와 더불어 계속해
      서 인물구조의 기능과 주제로 반복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관계를 분석하는
      가운데 새로운 사실들을 발견하게 된다. 특히 요셉의 은사 남용에 대한 사
      건, 형제들에 대한 요셉의 시험 의도, 유다와 요셉의 장자권 분배 등의 새
      로운 점들을 찾아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운데 유다와 요셉의 삶의 관계 안
      에 나타난 회개와 용서, 화해와 축복 등의 모티프들이 구조와의 관계 안에
      서 전체 구조의 핵심 소제들로 나타남을 본다.
      제4장에서는 ‘야곱 톨레돗’의 전체 메시지에 나타난 야곱 자녀들의 '신
      앙경주'의 모습이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에 나타난 신학적 교리와 인간과
      인간의 관계에서 나타난 행함에 대한 실천적 교리가 균형 있게 나타남을
      약속의 전수구조 관점에서 이전 족장들의 관계와 연결해서 설명한다. 본문
      의 메시지는 세 번 반복된 인물 선형구조의 흐름에 비춰진 야곱 자녀들의
      삶이 마치 ‘신앙경주’ 하는 모습과 유사함을 보게 된다. 이전 족장들인 아브
      라함 이삭 그리고 야곱에게 하나님의 약속의 축복이 전수 되었듯이 야곱의
      자녀들 안에서 누가 약속의 계승자가 될 것인지를 언약의 요소들(자손, 땅,
      축복) 중 축복의 요소 관점에서 질문한다. 이에 열 두 명의 자녀들 중 네
      명의 자녀들(르우벤과 유다 그리고 요셉과 베냐민)이 전체구조 안에서 핵심
      선수로서 나타나고 또한 장자권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 있는 자녀들로 강
      조된다. 그리고 가나안과 이집트에서의 삶의 모습과 역할들이 시합의 장소
      와 우승 조건으로 여겨질 때 49장에서 야곱이 그의 자녀들의 과거의 행함에 따라 유언한 것 중 유다와 요셉의 다섯 절씩의 축복들은 공동우승자들
      에게 주어지는 트로피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안에서 장자권의 두 요
      소인 신분과 물질이 유다와 요셉에게 각각 분배되어 장자권 축복이 전수됨
      을 알 수 있게 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1 문제제기 1
      • 1.1.1 통시적 접근 2
      • 1.1.2 공시적 접근 3
      • 1.1.3 문제제기 8
      • Ⅰ. 서론 1
      • 1.1 문제제기 1
      • 1.1.1 통시적 접근 2
      • 1.1.2 공시적 접근 3
      • 1.1.3 문제제기 8
      • 1.2 연구목적 9
      • 1.3 연구방법 9
      • Ⅱ. ‘야곱 톨레돗’의 장르와 해석방법 11
      • 2.1 비평적 양식들의 개관 11
      • 2.1.1 노벨레(Novelle)-궁켈의 개념 12
      • 2.1.2 노벨라(NOVELLA)-코우츠의 개념 15
      • 2.1.3 노벨라(Novella)-험프리스의 개념 17
      • 2.1.4 요약 18
      • 2.2 ‘야곱 톨레돗’의 새로운 장르 19
      • 2.2.1 장르 분류의 정의 19
      • 2.2.2 구술방식 20
      • 2.2.3 조명방식 24
      • 2.2.4 내적본질 29
      • 2.2.5 ‘서사체인물설교’의 형식 32
      • 2.2.5.1 본문의 외적형태 33
      • 2.2.5.2 두 겹의 형태: 구조와 주제 34
      • 2.2.6 인물구조의 기능 39
      • 2.2.7 요약 43
      • 2.3 인물구조분석방법 44
      • 2.3.1 구조분석이란? 44
      • 2.3.2 바-에프랏의 구조분석 45
      • 2.3.3 데이비드 코터의 구조분석 52
      • 2.3.4 데이비드 돌시의 구조분석 53
      • 2.3.5 인물구조분석방법 54
      • 2.4 표기방법 59
      • Ⅲ. ‘야곱 톨레돗’의 인물구조분석 60
      • 3.1 전체구조의 개관 60
      • 3.1.1 다양한 구조로 분석한 학자들 60
      • 3.1.2 대칭구조로 분석한 학자들 61
      • 3.1.3 병행구조로 분석한 학자들 70
      • 3.2 ‘야곱 톨레돗’의 전체구조 72
      • 3.2.1 첫 번째 인물 병행구조 (37:2-41장) 76
      • 3.2.1.1 대지 A (37:2a-4) 분석 76
      • 3.2.1.2 대지 B (37:5-11) 분석 87
      • 3.2.1.3 대지 C (37:12-36) 분석 97
      • 3.2.1.3 대지 D (38:1-41:57) 분석 107
      • 3.2.1.5 요약 131
      • 3.2.2 두 번째 인물 병행구조 (42-44장) 132
      • 3.2.2.1 대지 A' (42:1-5) 분석 132
      • 3.2.2.2 대지 B' (42:6-25) 분석 134
      • 3.2.2.3 대지 C' (42:26-43:34) 분석 139
      • 3.2.2.4 대지 D' (44:1-34) 분석 144
      • 3.2.2.5 요약 151
      • 3.2.3 세 번째 인물 병행구조 (45-50장) 151
      • 3.2.3.1 대지 A'' (45:1-14) 분석 153
      • 3.2.3.2 대지 B'' (45:15-24) 분석 156
      • 3.2.3.3 대지 C'' (45:25-48:22) 분석 157
      • 3.2.3.4 대지 D'' (49:1-33) 분석 167
      • 3.2.3.5 대지 E/결론 (50:1-26) 분석 172
      • 3.2.3.6 요약 177
      • Ⅳ. 야곱 자녀들의 신앙경주 179
      • 4.1 균형 잡힌 메시지 179
      • 4.2 약속의 전수구조 180
      • 4.3 야곱 자녀들의 신앙경주 184
      • 4.3.1 신앙경주의 멤버 185
      • 4.3.2 핵심멤버의 토너먼트 187
      • 4.3.2.1 르우벤과 유다의 대결 188
      • 4.3.2.2 요셉과 베냐민의 관계 193
      • 4.3.2.3 유다와 요셉의 대결 195
      • 4.3.2.4 공동우승 202
      • 4.4 요약 204
      • Ⅴ. 결론 206
      • 참고문헌 209
      • ABSTRACT 22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