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조용언 '놓다'와 '두다'에 대한 대조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87341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41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Comparative study of auxiliary verbs 'Nohda' and 'Duda'

      • 형태사항

        iii, 99 p. : 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정훈
        부록: 설문조사 항목
        참고문헌: p. 74-78

      • UCI식별코드

        I804:11029-000000063231

      • 소장기관
        • 서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보조용언 '놓다'와 '두다'의 분포 양상을 정리하고 두 보조용언의 상 의미와 양태 의미를 검토하여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글은 1장 서론을 포...

      이 연구는 보조용언 '놓다'와 '두다'의 분포 양상을 정리하고 두 보조용언의 상 의미와 양태 의미를 검토하여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글은 1장 서론을 포함하여 모두 5장으로 구성된다. 2장에서는 말뭉치 자료와 한국어 화자의 직관 테스트 자료를 통해 보조용언 '놓다'와 '두다'의 용언 결합 양상을 살펴본다. 또한 두 보조용언의 긍⦁부정적 문맥에서의 출현 양상과 주어의 유무정성에 따른 출현 양상을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보조용언 '놓다'와 '두다'가 분포 양상 측면에서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해명한다.
      3장에서는 보조용언 '놓다'와 '두다'의 '완료상', '결과상태지속', '상황 변화'의 상 의미에 대해 검토한다. 먼저 '완료상'에 대해 검토할 때는 상황유형과의 결합 양상, 완성시간부사구와의 결합 양상, 후행절 부정 추론 및 함의 관계를 통해 분석한다. '결과상태지속' 의미에 대해 살펴볼 때는 과정시간부사구와의 결합 양상을 살펴보고, 후행절 부정추론 및 앞 행위가 다시 이루어지는지를 검토한다. 그 다음으로 상황변화의 상 의미를 검토할 때는 '행위자', '대상자', '장소'의 측면에서 상황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보조용언 '놓다'와 '두다'의 '결과상태지속'의 시간과 '상황 변화'의 범위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을 밝힌다.
      4장에서는 보조용언 '놓다'와 '두다'의 양태 의미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보조용언 '놓다'와 '두다'의 '의도성'의 양태 의미에 대해 설문 조사 자료를 통해 검토한다. 그리고 두 보조용언의 '긍정적 판단'과 '부정적 판단'의 양태 의미를 고찰하고 '강조'의 양태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설펴본다. 마지막으로 '의도성', '긍정적 판단' 및 '부정적 판단'의 양태 의미 면에서의 차이점을 정도성을 통해 규명하고 '강조'의 양태 의미 면에서 두 보조용언이 갖는 차이점을 고찰한다.
      마지막 5장에서는 이글에서 논의한 내용을 종합 정리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보조용언 '놓다'와 '두다'의 분포 양상, 상 의미, 그리고 양태 의미를 살펴보고 두 보조용언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auxiliary verbs 'Nohda' and 'Duda', and examine the aspectual and Modal meaning of the auxiliary verbs to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hapter 2, I examine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auxiliary verbs 'Nohda' and 'Duda', and examine the aspectual and Modal meaning of the auxiliary verbs to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hapter 2, I examine the aspect of combined predicates by using corpus data and result of Korean speaker intuition test. Then I analyze patterns of appearance of 'Nohda' and 'Duda' in positive and negative contexts. And I discuss the attachment restriction with animate subjects.
      In Chapter 3, I examine the aspect of 'perfect aspect', 'resultative', and 'situation change' of the auxiliary verbs 'Nohda' and 'Duda'. First, I analyze the 'perfect aspect' by discussing the combination restrictions of the situation aspects, completion time adverbial phrase and so on. And I also analyze the meaning of 'perfect' by posterior negation reasoning. Secondly, I analyze the 'situation change' of 'actor', 'object' and 'place' in the sentence. Finally, I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Nohda' and 'Duda' on the aspect of 'resultative' and 'situation change'.
      In Chapter 4, I discuss the modal meaning of 'Nohda' and 'Duda'. First, the 'intentionality' meaning of 'Nohda' and 'Duda' is analyzed by survey data. Secondly, I examine the modal meaning which is 'positive judgment' and 'negative judgment'. Then I discuss if they have the meaning of 'emphasis'. Finally, I discuss the different degrees among the modality of 'intentionality', 'positive judgment' and 'negative judgment' and observe the differences in degrees of emphasis among auxiliary verbs.
      In the last chapter 5, I summarize the contents discussed in this paper.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 examine the distribution features, the aspectual and modal meaning of Korean auxiliary verbs "Nohda" and "Duda", and compare the two auxiliary verb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