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인의 꿈-자본과 가족관계의 질: 세대 간 차이를 중심으로 =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and its effect on Koreans’ Dream-capital by gen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960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across generations which is proposed to make a difference in conditions and abilities to dream in Korean society. In recent years, Korean families have undergone changes in household composition due to the decreased family size and family relationships changed accordingly. Despite these changes in family composition, family is still reckoned as ideal form of relationship for Koreans as people establish their core values and seek meaning in life by interacting with family members. However, family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with family members can have a different impact on people depending on their generation.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posits that the ability to dream, in other words “dream-capital” would be closely related to the meaning imposed on family, the expectation imposed on family as well as given by family, and material or emotional support and its interaction effect will vary by generation. The aforementioned “dream-capital” is composed of four dimensions: imagination,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and its effect is examined using “Survey on changes in values and discrete emotions among Koreans” conducted in 2017.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generally supports that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does increase the amount of “dream-capital.”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is not identified consistently in every generation. For people in 60s’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scores are for the factors elevating the quality of family, the lower the scores were for imagination, hope and resilience. This result implies that emotional and material support exchanged within family members could be burdensome for people in 60s’ rather than being supportive. Further theoretical explanation needs to be explored and supplemented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s on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across generations which is proposed to make a difference in conditions and abilities to dream in Korean society. In recent years, Korean families have undergone changes in household compositio...

      This study focuses on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across generations which is proposed to make a difference in conditions and abilities to dream in Korean society. In recent years, Korean families have undergone changes in household composition due to the decreased family size and family relationships changed accordingly. Despite these changes in family composition, family is still reckoned as ideal form of relationship for Koreans as people establish their core values and seek meaning in life by interacting with family members. However, family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with family members can have a different impact on people depending on their generation.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posits that the ability to dream, in other words “dream-capital” would be closely related to the meaning imposed on family, the expectation imposed on family as well as given by family, and material or emotional support and its interaction effect will vary by generation. The aforementioned “dream-capital” is composed of four dimensions: imagination,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and its effect is examined using “Survey on changes in values and discrete emotions among Koreans” conducted in 2017.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generally supports that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does increase the amount of “dream-capital.”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is not identified consistently in every generation. For people in 60s’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scores are for the factors elevating the quality of family, the lower the scores were for imagination, hope and resilience. This result implies that emotional and material support exchanged within family members could be burdensome for people in 60s’ rather than being supportive. Further theoretical explanation needs to be explored and supplemen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세대 간 꿈꾸는 능력의 차이를 만드는 다양한 요인 중에서 가족관계의 질에 주목한다. 최근 한국의 가족은 세대 구성의 변화, 가구원의 감소나 관계적인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가족 구성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에게 가족은 여전히 이상적인 인간관계의 원형으로 인식되며, 개인은 가족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가치관을 정립하고 삶의 의미를 찾는다. 그러나 이러한 가족관계의 효과는 상이한 삶의 과정을 겪는 세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가족에게 부여하는 의미, 가족에게 하는 또는 받는 기대, 가족으로부터 얻는 물질적 또는 정서적 지지가 꿈꾸는 역량, 즉 ‘꿈-자본’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세대에 따른 차별적 효과를 고려해야한다고 제안한다. 이 연구는 2017년 시행된 「한국인의 가치변화와 감정양식 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상상력, 낙관성, 희망, 회복탄력성으로 구성된 꿈-자본에 있어서의 세대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가족관계의 질은 전반적으로 꿈-자본을 높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효과는 전 세대에 걸쳐 동일하게 나타나지 않으며, 특히 60대 이상 세대에서는 통상적으로 가족관계의 질이 좋다고 수용되는 요인의 점수가 높아질수록 상상력, 희망, 회복탄력성이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가족 구성원들과 주고받는 정서적 및 물질적 지원이 60대 이상 세대, 즉 부모세대에서는 지지보다는 일종의 부담을 작용할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현상을 이론적으로 정교하게 설명하는 작업은 이 연구의 추후 과제로 남겨 둔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세대 간 꿈꾸는 능력의 차이를 만드는 다양한 요인 중에서 가족관계의 질에 주목한다. 최근 한국의 가족은 세대 구성의 변화, 가구원의 감소나 관계적인 측면에서 ...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세대 간 꿈꾸는 능력의 차이를 만드는 다양한 요인 중에서 가족관계의 질에 주목한다. 최근 한국의 가족은 세대 구성의 변화, 가구원의 감소나 관계적인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가족 구성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에게 가족은 여전히 이상적인 인간관계의 원형으로 인식되며, 개인은 가족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가치관을 정립하고 삶의 의미를 찾는다. 그러나 이러한 가족관계의 효과는 상이한 삶의 과정을 겪는 세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가족에게 부여하는 의미, 가족에게 하는 또는 받는 기대, 가족으로부터 얻는 물질적 또는 정서적 지지가 꿈꾸는 역량, 즉 ‘꿈-자본’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세대에 따른 차별적 효과를 고려해야한다고 제안한다. 이 연구는 2017년 시행된 「한국인의 가치변화와 감정양식 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상상력, 낙관성, 희망, 회복탄력성으로 구성된 꿈-자본에 있어서의 세대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가족관계의 질은 전반적으로 꿈-자본을 높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효과는 전 세대에 걸쳐 동일하게 나타나지 않으며, 특히 60대 이상 세대에서는 통상적으로 가족관계의 질이 좋다고 수용되는 요인의 점수가 높아질수록 상상력, 희망, 회복탄력성이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가족 구성원들과 주고받는 정서적 및 물질적 지원이 60대 이상 세대, 즉 부모세대에서는 지지보다는 일종의 부담을 작용할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현상을 이론적으로 정교하게 설명하는 작업은 이 연구의 추후 과제로 남겨 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아랑, "혈액암 환자의 지지적 간호 요구도 예측요인" 한국성인간호학회 23 (23): 460-471, 2011

      2 양정하,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극복력 구조모형" 한국간호과학회 46 (46): 327-337, 2016

      3 안자영, "항암치료를 받는 유방암 환자의 증상, 불확실성 및 가족지지가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4 최재석,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현음사 1994

      5 정수복,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 : 당연 의 세계 낯설게 보기" 생각의나무 2007

      6 은기수, "한국의 가족가치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한국인구학회 28 (28): 107-132, 2005

      7 김의철, "한국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13 (13): 99-142, 1999

      8 김석호, "한국 청년세대의 꿈-자본 측정" 한국문화사회학회 24 : 289-331, 2017

      9 김성렬, "파킨스병 환자의 극복력과 영향요인" 한국성인간호학회 22 (22): 60-69, 2010

      10 이상림, "인구경쟁력 정책 현황과 발전 방향" 62-71, 2017

      1 정아랑, "혈액암 환자의 지지적 간호 요구도 예측요인" 한국성인간호학회 23 (23): 460-471, 2011

      2 양정하,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극복력 구조모형" 한국간호과학회 46 (46): 327-337, 2016

      3 안자영, "항암치료를 받는 유방암 환자의 증상, 불확실성 및 가족지지가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4 최재석,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현음사 1994

      5 정수복,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 : 당연 의 세계 낯설게 보기" 생각의나무 2007

      6 은기수, "한국의 가족가치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한국인구학회 28 (28): 107-132, 2005

      7 김의철, "한국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13 (13): 99-142, 1999

      8 김석호, "한국 청년세대의 꿈-자본 측정" 한국문화사회학회 24 : 289-331, 2017

      9 김성렬, "파킨스병 환자의 극복력과 영향요인" 한국성인간호학회 22 (22): 60-69, 2010

      10 이상림, "인구경쟁력 정책 현황과 발전 방향" 62-71, 2017

      11 홍병선, "예술에서의 상상력, 그 철학적 토대- 음악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 새한철학회 3 : 343-360, 2009

      12 이은경, "암환자의 극복력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 13 (13): 52-58, 2007

      13 김홍중, "서바이벌, 생존주의, 그리고 청년 세대:마음의 사회학의 관점에서" 한국사회학회 49 (49): 179-212, 2015

      14 홍병선, "상상력의 철학적 근거 - 흄의 상상력 이론을 중심으로" 중앙철학연구소 24 : 119-140, 2008

      15 조현민, "부인암 환자의 우울, 가족지지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10 (10): 183-195, 2015

      16 권현지, "대중음악 예술인들의 안정적 예술활동 전망에 대한 결정요인" 519-542, 2018

      17 김지인, "대장암 환자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종양간호학회 13 (13): 256-264, 2013

      18 소태영, "기독교교육에서의 예술적 상상력의 역할"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2) : 163-192, 2009

      19 이순늠,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개념분석" 간호행정학회 23 (23): 181-190, 2017

      20 Shek, D. T, "The relation of family functioning to adolescent psychological well-being, school adjustment, and problem behavior" 158 (158): 467-479, 1997

      21 McClelland, D. C., "The achievement motive" Martino Fine Books 1953

      22 Mendez‐Luck, C. A., "The Concept of Familism in the Lived Experiences of Mexican‐ Origin Caregivers" 78 (78): 813-829, 2016

      23 Pratt, M. W., "Stories of hope : Parental optimism in narratives about adolescent children" 18 (18): 603-623, 2001

      24 Cullen, F. T., "Social support as an organizing conception for criminology: Presidential address to the Academy of Criminal Justice Sciences" 11 : 527-559, 1994

      25 Luthans, 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Beyond human and social capital" 47 (47): 45-50, 2004

      26 Jones, D. J., "Positive parenting and child psychosocial adjustment in inner-city single-parent African American families : The role of maternal optimism" 26 (26): 464-481, 2002

      27 Orejudo, S., "Optimism in adolescence : A cross-sectional study of the influence of family and peer group variables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52 (52): 812-817, 2012

      28 Jackson, L. M., "Optimism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parental authoritativeness and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 Finding the sunny side of the street" 14 (14): 273-304, 2005

      29 Dakhli, Mourad,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and innovation : a multi-country study" 16 (16): 107-128, 2004

      30 Pinsker, Joe, "How Rich People Raise Rich Kids" The Atlantic 2015

      31 Kwok, S. Y. C. L., "Hopelessness, family functioning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hinese adolescents in Hong Kong" 1 : 49-55, 2008

      32 Connelly JR, T. W, "Family functioning and hope in children with 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30 (30): 245-250, 2005

      33 Markus, H. R., "Culture and the self :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98 (98): 224-, 1991

      34 Merkaš, M., "Children with different levels of hope: Are there differences in their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family cohesion?" 4 (4): 499-514, 2011

      35 Gilman, R.,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ho report very high life satisfaction" 35 (35): 293-301, 2006

      36 Yi, Chin-Chun, "Changing East Asian Families : Values and Behaviors" 28 (28): 253-256, 2013

      37 Waters, E., "Attachment security in infancy and early adulthood : A twenty‐year longitudinal study" 71 (71): 684-689, 2000

      38 Lewis, M., "Attachment over time" 71 (71): 707-720, 2000

      39 Chung, W., "Are married men healthier than single women? A gender comparison of the health effects of marriage and marital satisfaction in East Asia" 10 (10): e0134260-, 2015

      40 Shek, D. T,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adolescent psychological well-being" 1 (1): 195-209,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41 1.78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