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역사문화자원 활용을 통한 원도심 활성화 방안 연구 : 목포시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0006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도시가 생성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원도심 또는 구도심이라 불리는 도시 형성 초창기 지역은 쇠퇴와 공동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는 비단 몇몇 도시만의 문제가 아닌 전 세계 도시의 공통적 문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 도시마다 뉴타운개발, 도시재생, 창조도시, 문화도시 등의 개발방향에 대한 논의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목포시에서도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원도심 활성화 지원조례를 제정하고 원도심을 전담하는 기구를 만들어 대폭적인 예산을 투자하는 등 행정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원도심 활성화 정책은 정주인구 확대와 유동인구 유입, 상가활성화 기반구축 등에 목적을 두고 다양한 시책을 추진 중에 있으며 아직은 성과가 미흡하지만 점차 공동주택이 건립되는 등 가시적 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원도심 활성화 사업이 주거환경 개선 및 뉴타운 조성 등 개발 위주사업으로 추진되면서, 일제 강점기 시대의 원도심 곳곳에 위치한 근대역사문화 자원들이 체계적인 보존과 개발이 추진되지 못하여 아쉬움을 주고 있다.
      목포는 1897년 개항되어 1930년대 전국 3대항 6대도시의 위상을 과시했다. 원도심에는 다른 개항 도시들에 비해 원형 보존이 잘되고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역사적 건조물들이 많이 남아있다. 이런 건물과 고색창연한 거리풍경은 한때 낙후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나, 최근 근대역사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오히려 목포만의 특색있는 문화자산이자 관광자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목포 원도심만의 고유한 역사문화 환경을 관광 자원화하여 도시관광의 새로운 모델로 제시하여 원도심에 활력을 불어넣고자 고민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역사문화자원을 통한 원도심 활성화 방안으로 근대가옥보조금제, 근대가옥매수청구권제 등 역사문화 보존관련 조례제정 등 제도개선과 2002년 지정된 역사문화의 길 거점 포인트 발굴 및 홍보를 강화하여 스토리텔링을 통한 역사문화 네트워크 활성화, 우리나라의 ‘빌바오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근대산업유산을 거리박물관으로 조성, 근대문화를 주제로 한 도심속 축제개최, 관광홍보 마케팅 등 관광객 유입과 원도심을 찾는 쇼핑객을 늘려 원도심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도시를 바라보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이 논문에는 그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도시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지역민의 생활이라는 현실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지역의 역사 문화적 정체성을 높이고 지역민의 자긍심을 고취할 수 있는 역사문화자원을 복원·정비하여 목포시 원도심 지역이 ‘옛 것과 새 것이 공존’하는 특색있는 역사·문화 관광도시로 발전해 가길 기대해 본다.
      번역하기

      <국문초록> 도시가 생성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원도심 또는 구도심이라 불리는 도시 형성 초창기 지역은 쇠퇴와 공동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는 비단 몇몇 도시만의 문제가 아닌 전 ...

      <국문초록>

      도시가 생성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원도심 또는 구도심이라 불리는 도시 형성 초창기 지역은 쇠퇴와 공동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는 비단 몇몇 도시만의 문제가 아닌 전 세계 도시의 공통적 문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 도시마다 뉴타운개발, 도시재생, 창조도시, 문화도시 등의 개발방향에 대한 논의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목포시에서도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원도심 활성화 지원조례를 제정하고 원도심을 전담하는 기구를 만들어 대폭적인 예산을 투자하는 등 행정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원도심 활성화 정책은 정주인구 확대와 유동인구 유입, 상가활성화 기반구축 등에 목적을 두고 다양한 시책을 추진 중에 있으며 아직은 성과가 미흡하지만 점차 공동주택이 건립되는 등 가시적 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원도심 활성화 사업이 주거환경 개선 및 뉴타운 조성 등 개발 위주사업으로 추진되면서, 일제 강점기 시대의 원도심 곳곳에 위치한 근대역사문화 자원들이 체계적인 보존과 개발이 추진되지 못하여 아쉬움을 주고 있다.
      목포는 1897년 개항되어 1930년대 전국 3대항 6대도시의 위상을 과시했다. 원도심에는 다른 개항 도시들에 비해 원형 보존이 잘되고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역사적 건조물들이 많이 남아있다. 이런 건물과 고색창연한 거리풍경은 한때 낙후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나, 최근 근대역사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오히려 목포만의 특색있는 문화자산이자 관광자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목포 원도심만의 고유한 역사문화 환경을 관광 자원화하여 도시관광의 새로운 모델로 제시하여 원도심에 활력을 불어넣고자 고민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역사문화자원을 통한 원도심 활성화 방안으로 근대가옥보조금제, 근대가옥매수청구권제 등 역사문화 보존관련 조례제정 등 제도개선과 2002년 지정된 역사문화의 길 거점 포인트 발굴 및 홍보를 강화하여 스토리텔링을 통한 역사문화 네트워크 활성화, 우리나라의 ‘빌바오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근대산업유산을 거리박물관으로 조성, 근대문화를 주제로 한 도심속 축제개최, 관광홍보 마케팅 등 관광객 유입과 원도심을 찾는 쇼핑객을 늘려 원도심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도시를 바라보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이 논문에는 그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도시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지역민의 생활이라는 현실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지역의 역사 문화적 정체성을 높이고 지역민의 자긍심을 고취할 수 있는 역사문화자원을 복원·정비하여 목포시 원도심 지역이 ‘옛 것과 새 것이 공존’하는 특색있는 역사·문화 관광도시로 발전해 가길 기대해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In the process of creation and development of cities, early cities are facing decline and decay. This is not a problem only to a couple of cities, but one common around the world. To deal with this kind of problem, Mokpo-Si has pushed ahead with an old downtown regeneration measure since 2005 and led to a tangible result such as urban redevelopment.
      However, the old downtown regeneration project concentrateson development and lamentably, modern historical cultural assets in the age of opening port were not systematically preserved. Mokpo-Si has more well-preserved historical buildings and structures than other opening ports. Once the scenery of these was considered as a symbol of backwardness, but with a recent growing interest in modern historic culture, it is being regarded as distinctive cultural and touristy assets. Thus, this study was launchedto contribute to the regeneration of old downtown of Mokpo-Si by utilizing the unique historical cultural environment as tourist attractions.
      This study suggested regeneration methods for old downtown such as improvement of history culture related policies, vitalization of storytelling major points of history culture street, cultural changeover of modern industrial legacy, modern history fair in downtownand tourism romotion and marketing. There are a number of perspectives towards cities. This study approached a city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ty so called history, culture and life of local residents. We expect Mokpo-Si to prosper as distinct historical/cultural tourist attraction by revitalization of historical/cultural assets and coexistence of the old and new.
      번역하기

      <Abstract> In the process of creation and development of cities, early cities are facing decline and decay. This is not a problem only to a couple of cities, but one common around the world. To deal with this kind of problem, Mokpo-Si has p...

      <Abstract>

      In the process of creation and development of cities, early cities are facing decline and decay. This is not a problem only to a couple of cities, but one common around the world. To deal with this kind of problem, Mokpo-Si has pushed ahead with an old downtown regeneration measure since 2005 and led to a tangible result such as urban redevelopment.
      However, the old downtown regeneration project concentrateson development and lamentably, modern historical cultural assets in the age of opening port were not systematically preserved. Mokpo-Si has more well-preserved historical buildings and structures than other opening ports. Once the scenery of these was considered as a symbol of backwardness, but with a recent growing interest in modern historic culture, it is being regarded as distinctive cultural and touristy assets. Thus, this study was launchedto contribute to the regeneration of old downtown of Mokpo-Si by utilizing the unique historical cultural environment as tourist attractions.
      This study suggested regeneration methods for old downtown such as improvement of history culture related policies, vitalization of storytelling major points of history culture street, cultural changeover of modern industrial legacy, modern history fair in downtownand tourism romotion and marketing. There are a number of perspectives towards cities. This study approached a city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ty so called history, culture and life of local residents. We expect Mokpo-Si to prosper as distinct historical/cultural tourist attraction by revitalization of historical/cultural assets and coexistence of the old and new.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 1. 연구의 방법 3
      • 2. 연구의 범위 3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 1. 연구의 방법 3
      • 2. 연구의 범위 3
      • 제2장 도심과 역사문화자원에 관한 이론적 고찰 5
      • 제1절 도심과 도심쇠퇴 5
      • 1. 도심과 원도심 5
      • 2. 도심공동화와 도심쇠퇴 7
      • 제2절 역사문화자원 9
      • 1. 역사문화자원의 개념 9
      • 2. 역사문화자원과 도심재생 13
      • 제3장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국내외 사례연구 16
      • 제1절 국내사례 16
      • 1. 서울북촌 한옥마을가꾸기 16
      • 2. 인천 중구 역사문화의 거리조성 17
      • 3. 전주 한옥마을 19
      • 제2절 국외사례 22
      • 1. 미국 윌리암스버그시 역사민속촌 개발 22
      • 2. 영국 쉐필드시 도시재생 23
      • 3. 일본 역사경관관광 자원개발 26
      • 제3절 국내·외 사례연구의 시사점 28
      • 제4장 목포시 원도심 실태 및 역사문화 정책분석 30
      • 제1절 목포시 원도심 형성 및 실태 30
      • 1. 원도심의 형성 30
      • 2. 목포시 원도심의 실태 35
      • 제2절 목포시 역사문화자원 관리실태 39
      • 1. 역사문화자원 현황 39
      • 2. 역사문화자원 보존 및 관리 추진정책 46
      • 제3절 역사문화자원 활용과 관련한 의식조사 52
      • 제4절 목포시 역사문화자원 관리상의 문제점 57
      • 제5장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원도심 활성화 방안 60
      • 제1절 역사문화자원 관리 제도개선 60
      • 1. 근대가옥 보조금지원제도 운영 60
      • 2. 근대가옥 매수청구권제 도입 61
      • 3. 개방형 가옥지원제도 운영 61
      • 4. 목포시 문화유산심의위원회 활성화 62
      • 5. 역사문화자원 등록문화재 등록추진 63
      • 제2절 목포 역사문화길 활성화 방안 64
      • 1. 역사문화의길 강화(거점포인트 개발) 64
      • 2. 근대 산업유산의 문화적 전환 83
      • 3. 목포 모실돌기 골목길 투어 86
      • 4. 가로경관 정비사업 87
      • 제3절 근대역사자원을 활용한 도심속 축제 89
      • 1. 동춘서커스 상설공연 추진 89
      • 2. 오거리 다방문화재 89
      • 3. 목포 워터 페스티벌 90
      • 제4절 역사문화자원 관광홍보 마케팅 방안 91
      • 제6장 결 론 94
      • 참고문헌 97
      • 국문초록 1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