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목포시 하당보건소에서 당뇨병 환자를 위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영양교육효과와 중요성을 알리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자는 ‘2007 당뇨교실’ 3차 교육에 참석한 33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000587
무안 :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 영양교육전공 , 2010. 2
2010
한국어
전라남도
v, 41 p. ;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목포시 하당보건소에서 당뇨병 환자를 위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영양교육효과와 중요성을 알리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자는 ‘2007 당뇨교실’ 3차 교육에 참석한 33명(...
이 연구는 목포시 하당보건소에서 당뇨병 환자를 위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영양교육효과와 중요성을 알리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자는 ‘2007 당뇨교실’ 3차 교육에 참석한 33명(남 20명, 여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식습관과 생활방식은 교육 전에 조사되었고 혈당은 교육 전,후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69.9±6.4세 였으며 당뇨 유병기간은 10.1±9.2년, BMI는 24.9±3.5로 나타났다. 그들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었으며 육식과 채식을 선호하였으며 기름진 음식은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당은 공봉시 혈당을 측정하였다. 대상자는 1,3차 교육에 참석한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당은 교육 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TG와 TC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HDL콜레스테롤은 교육 후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1,2차 교육에 참석한 25명을 대상으로 한 혈당은 교육 후 증가하는 것으로 보였으나 2,3차 교육에 참석한 30명을 대상으로 했을 때는 교육 전 147.7±60.2㎎/㎗에서 교육 후 117.4±39.5㎎/㎗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보건소에서 영양교육은 당뇨환자에게 혈당조절 효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보건소에서의 영양교육 사업은 건강증진사업을 위해 꼭 필요함을 알 수 있겠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