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제주 방언의 종결형에 나타난 시간 표현 연구 = A study on the time expression in the ending of Jeju dial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51224

      • 저자
      • 발행사항

        제주 : 제주대학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2020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4.71 판사항(6)

      • DDC

        495.707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제주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89장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최대희
        권말부록 수록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ime expression shown in the ending of the Jeju dialect. Although the existing studies have researched the meaning of morphemes and their meaning that involve in the time expression, each scholar developed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ime expression shown in the ending of the Jeju dialect. Although the existing studies have researched the meaning of morphemes and their meaning that involve in the time expression, each scholar developed the individual system of time expression. To handle such incoherence that has hindered Jeju dialect education, this study reviews the realization aspect of time expression of Jeju dialect in detail based on the school grammar system to clarify the system of time expression of Jeju dialect. The second chapter reviews the system of time expression established in school grammar. Because school grammar has a general and comprehensive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it will help in understanding the time expression of the Jeju dialect. The system of time expression suggested in school grammar consists of tense and phase, and the tense is divided into 'past', 'present' and 'future' depending on the temporal position at the time of event based on the time of speech. The phase classifies the movement into the 'progress phase,' 'completion phase' based on the time of speech. The grammatical markers involved in expressing time in line with each system in the Korean language are checked and the semantic function is examined. The third chapter reviews the system of time expression and its use in the Jeju dialect. [Jeju Language Oral Data Collection(1-28)] were used to examine specific aspects of realization. As this collection is a copy of the old dialect speaker's speech, it can check the natural speech where the time expression is realized. The pattern of usage is examined by divi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ceding and the following elements, focusing on the grammatical markers in the tense and the phase. Multiple types of temporal terminology realized in Jeju dialect were studied through this combination. The fourth chapter suggests the educational utilization plan by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time expression in Jeju dialect. Because the grammatical marker unlike the Korean language is realized in Jeju dialect,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in Jeju dialect will be reviewed. Also, the educational utilization plan about time expression in Jeju dialect will be reviewed. Finally, the fifth chapter will organize the discussion in the text, and finalize the study by suggesting the insufficient part and future task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formal grammar about time expression in Jeju dialect, suggesting the educational utilization plan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제주 방언의 종결형에 나타난 시간 표현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시간 표현에 관여하는 형태소와 의미를 개별적으로 밝히 는 성과가 있었지만, 학자마다 ...

      이 연구는 제주 방언의 종결형에 나타난 시간 표현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시간 표현에 관여하는 형태소와 의미를 개별적으로 밝히 는 성과가 있었지만, 학자마다 시간 표현의 체계를 달리하여 제주 방언 교육에 혼란을 가져왔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제주 방언의 시간 표현의 체계를 명확히 하고자 학교 문법의 체계에 바탕을 두고 제주 방언의 시간 표현의 실현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핀다. 2장에서는 학교 문법에서 설정하고 있는 시간 표현의 체계를 검토한다. 학교 문법은 국어의 일반적이고 전반적인 체계를 갖추고 있어 제주 방언의 시간 표현 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학교 문법에서 제시하는 시간 표현은 시제를 발화 시를 기준으로 사건시의 시간적 위치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로 구분하고, 상은 개별 시제에 종속된 동작의 모습을 ‘진행상, 완료상’으로 나눈다. 이러한 체계에 맞춰 국어에서 시간을 표현하기 위해 선어말어미와 통사적 구성의 실현 방법을 확인하고 각 의미 기능도 검토한다. 3장에서는 제주 방언의 시간 표현의 체계와 실현 양상을 본다. 구체적인 실현 양상을 살피기 위하여 제주어구술자료집(1∼28)을 활용한다. 이 자료집은 고령 의 방언 화자의 발화를 그대로 옮긴 것으로 시간 표현이 실현된 자연 발화를 확 인할 수 있다. 실현 양상은 시제와 상의 문법적 표지를 중심으로 선행 요소와 후 행 요소의 관계를 나누어 살핀다. 이러한 결합 관계를 통해 제주 방언에서 실현 된 시간 표현의 여러 이형태를 살핀다. 제주 방언에서 구체적인 실현 양상은 과 거시제 ‘-아시/어시/여시/라시/앗/엇/엿/랏-’의 이형태 조건을 확인한다. 후행 요 소는 ‘-아시/어시/여시/라시-’는 어미 ‘-아, -ㄴ게, -녜, -ㄴ가, -냐/니, -카’, 명령 형 ‘-라’와 청유형 ‘-게’와 결합한다. 선어말어미 ‘-앗/엇/엿/랏-’은 후행 요소가 ‘- 저, -주, -구나’일 때의 결합 양상을 본다. 회상의 선어말어미 ‘-더/아/어/여/라-’ 가 결합하는 요소로 ‘-라, -ㄴ게, -냐/니, -ㄴ가’가 있고, 주로 과거 어느 시점의 일을 떠올리는 ‘회상’의 의미를 갖는다. 현재시제 ‘-ㄴ/느-’는 선행 요소가 동사와 형용사일 때 결합이 가능하다. 주로 ‘-ㄴ-’은 평서형 어미 ‘-다’와 반말체 어미 ‘- 어’와 앞에 결합하고, ‘-느-’는 ‘-녜, -냐/니’가 앞에 결합하여, 현재의 시간 보다 ‘화자의 확신’의 의미 기능을 갖는다. 미래시제의 ‘-크-’는 통사적 조건에 따라 ‘추측’이나 ‘의도’를 표현하는데, 후행 요소는 ‘-라, -ㄴ게, -냐/니, -가(고)’가 결합 한다. 제주 방언에서 ‘진행상’은 국어와 달리 선어말어미가 관여하며, 어간의 품 사에 관계없이 결합한다. ‘-암시/엄시/염시/람시-’는 후행 요소가 ‘-어, -ㄴ게, - 녜, -ㄴ가(고), -냐/니, -라, -게’일 때 결합하며, ‘-암(ㅅ)/엄(ㅅ)/염(ㅅ)/람(ㅅ)-’은 후행 요소가 ‘-저, -주, -구나, -디야’가 결합한다. 주로 진행의 의미를 표현하지 만, ‘상태 변화’와 ‘현재’의 의미도 실현된다. 완료상은 ‘-아나시/어나시/여나시/라 나시/아낫/어낫/여낫/라낫-’이 관여하는데, 선행 요소가 품사에 관계없이 결합되 어 국어와 달리 생산성이 넓다. ‘-아나시/어나시/여나시/라나시-’는 ‘-아, -ㄴ게, -녜, -ㄴ가, -냐/니, -카’, 명령형 ‘-라’와 청유형 ‘-게’가 결합된다. 반면, 선어말어 미 ‘-아낫/어낫/여낫/라낫-’은 후행 요소로 ‘-저, -주, -구나’일 때 결합된다. 4장에서는 제주 방언의 시간 표현의 특징을 살펴 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제주 방언은 국어와 다른 문법적 표지가 실현되고 있다. 과거시제는 명 령형과 청유형 어미에 결합하여 ‘완료’의 의미 기능을 한다. 현재시제는 반말체 어미 ‘-어’와 결합하여 ‘화자의 확신’의 의미 기능을 한다. 미래시제는 감탄형 어 미 ‘-구나’와 결합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진행상은 명령형과 청유형 어미가 결합 되어 ‘상태의 점진적 변화, 현재시제’의 의미 기능을 보인다. 완료상은 ‘명사-이 다’와 ‘아니다’와 결합하여 점차 선어말어미의 기능으로까지 문법화 과정을 본다. 이러한 제주 방언의 독특한 시간 표현에 대한 교육적 활용 방안을 살펴본다. 마지막 5장은 본론에서 논의된 바를 정리하고 부족한 부분과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며 마무리 짓는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제주 방언의 시간 표현에 대한 형식적인 문법 특성을 이해 하고 앞으로 이루어질 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 2. 선행 연구 2
      • 3. 연구 대상과 방법 6
      • Ⅱ. 학교 문법의 시간 표현 체계와 실현 방법 10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 2. 선행 연구 2
      • 3. 연구 대상과 방법 6
      • Ⅱ. 학교 문법의 시간 표현 체계와 실현 방법 10
      • 1. 학교 문법의 시제 10
      • 1.1. 시제의 체계 11
      • 1.2. 시제의 실현 방법 12
      • 1) 과거시제 13
      • 2) 현재시제 15
      • 3) 미래시제 16
      • 2. 학교 문법의 동작상 18
      • 2.1. 동작상의 체계 18
      • 2.2. 동작상의 실현 방법 19
      • 1) 진행상 20
      • 2) 완료상 20
      • Ⅲ. 제주 방언의 시간 표현 체계와 실현 양상 22
      • 1. 제주 방언의 시간 표현 체계 23
      • 1.1. 시제의 체계 24
      • 1.2. 상의 체계 26
      • 2. 제주 방언의 시간 표현의 실현 양상 28
      • 2.1. 시제의 실현 양상 28
      • 1) 과거시제 28
      • 2) 회상 35
      • 3) 현재시제 41
      • 4) 미래시제 45
      • 2.2. 상의 실현 양상 52
      • 1) 진행상 52
      • 2) 완료상 61
      • Ⅳ. 제주 방언 시간 표현의 특성과 교육적 활용 68
      • 1. 제주 방언 시간 표현의 특성 68
      • 1.1. 시제의 특성 68
      • 1) 과거시제 68
      • 2) 현재시제 70
      • 3) 미래시제 73
      • 1.2. 상의 특성 74
      • 1) 진행상 75
      • 2) 완료상 76
      • 2. 제주 방언 시간 표현의 교육적 활용 78
      • Ⅴ. 결론 81
      • <참고자료> 84
      • <부록> 87
      • <! Not Allowed Tag Filtered ><Abstract> 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