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윤리적 행위를 통한 자유의 실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509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은 자유롭게 선택하고 결정한 행위를 통해 매일의 삶을 살아가며 자신의 행복, 혹은 자기 실현이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완성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존재이다. 그런데 우리는 이러한 인간...

      인간은 자유롭게 선택하고 결정한 행위를 통해 매일의 삶을 살아가며 자신의 행복, 혹은 자기 실현이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완성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존재이다. 그런데 우리는 이러한 인간의 목표가 윤리적으로 옳고 좋은 행위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윤리적 요구에 직면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인간의 행복, 혹은 자기 실현은 인간이 그러한 도덕적인 요구에 합당하게 자기의 선택과 결정을 해명할 때 비로소 가능한 것이다. 그런데 인간이 자유를 통해서 결정하고 수행한 행위에 대한 합당한 해명은, 그 행위가 본래 초월적인 우리의 자유를 우리 스스로가 올바르게 구체화하여 실현된 것이어야만 가능하다.
      이러한 인간의 자유의 구체화는 인간이 지닌 도덕적 능력을 통해서 가능하다. 윤리학에서는 인간의 행위를 도덕적으로 이끌어줄 수 있는 원리이자 동시에 인간이 지닌 능력으로서 자유와 책임, 이성과 양심 등을 제시한다. 자율로서의 적극적인 인간의 자유에 대한 올바른 인식은 인간이 지닌 상호 책임성에 의해 올바르고 정당하게 자기 실현을 추구하도록 우리를 일깨우며, 궁극적인 선을 인식하며 긍정하는 능력인 이성을 통해 인간 본래의 모습을 행위를 통해 구현하도록 이끌어 준다. 또한 이 구체적인 선택과 결정은 ‘선을 행하고 악을 피하라’는 윤리의 최고 실천 원리를 통해 다시금 검증을 받는다. 이렇게 우리의 구체적인 일상의 행위들은 책임과 이성, 그리고 양심을 통해 구체화된 자유이며 도덕적 행위인 것이다. 인간은 이렇게 구체화된 자유를 살아가며 자기를 실현하는 윤리적 존재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I. 들어가는 말: 인간의 자기 실현으로서의 윤리적 행위
      • II. 도덕의 원리인 자유
      • III. 윤리적 행위로서의 자유의 구체화
      • IV. 나가는 말: 도덕적 행위로 구체화된 자유를 통한 인간의 자기 실현
      • 국문 초록
      • I. 들어가는 말: 인간의 자기 실현으로서의 윤리적 행위
      • II. 도덕의 원리인 자유
      • III. 윤리적 행위로서의 자유의 구체화
      • IV. 나가는 말: 도덕적 행위로 구체화된 자유를 통한 인간의 자기 실현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존 롤즈, "정의론" 이학사 701-, 2003

      2 폴 테일러, "윤리학의 기본원리" 서광사 225-, 1985

      3 남상헌, "윤리적 당위의 정초로서 칸트의 자율" 광주가톨릭대학교출판부 139 : 2002

      4 찰스 테일러, "불안한 현대 사회" 이학사 2001

      5 L. Honnefelder, "Praktische Vernunft und Gewissen, In Handbuch der christlichen Ethik Bd. 3" 32-, 1982

      6 G. Haeffner, "Philosophische Anthropologie" Berlin und Köln 171-, 2000

      7 J. Gründel, "Person und Gewissen, In ders, Leben aus christlicher Verantwortung. Ein Grundkurs der Moral Bd. 1" 81-, 1991

      8 Nam Sang Hun, "Moralische Verpflichtung und Gottesglaube. Auseinandersetzung um die Begründung ehtischer Verbindlichkeit in der katholischen Moraltheologie und in der buddhistischen Ethik, unter besonderer Berücksicgtigung des Autonomieverständnisses von I. Kant"

      9 F. Furger, "Einführung in die Moraltheologie" 48-96, 1997

      10 A. Pieper, "Einführung in die Ethik" Basel 137-, 1994

      1 존 롤즈, "정의론" 이학사 701-, 2003

      2 폴 테일러, "윤리학의 기본원리" 서광사 225-, 1985

      3 남상헌, "윤리적 당위의 정초로서 칸트의 자율" 광주가톨릭대학교출판부 139 : 2002

      4 찰스 테일러, "불안한 현대 사회" 이학사 2001

      5 L. Honnefelder, "Praktische Vernunft und Gewissen, In Handbuch der christlichen Ethik Bd. 3" 32-, 1982

      6 G. Haeffner, "Philosophische Anthropologie" Berlin und Köln 171-, 2000

      7 J. Gründel, "Person und Gewissen, In ders, Leben aus christlicher Verantwortung. Ein Grundkurs der Moral Bd. 1" 81-, 1991

      8 Nam Sang Hun, "Moralische Verpflichtung und Gottesglaube. Auseinandersetzung um die Begründung ehtischer Verbindlichkeit in der katholischen Moraltheologie und in der buddhistischen Ethik, unter besonderer Berücksicgtigung des Autonomieverständnisses von I. Kant"

      9 F. Furger, "Einführung in die Moraltheologie" 48-96, 1997

      10 A. Pieper, "Einführung in die Ethik" Basel 137-, 1994

      11 Hans Jonnas, "Das Prinzip der Verantwortung. Versuch einer Ethik für die technologische Zivilisation" 1979

      12 A. Auer, "Das Gewissen als Mitte der personalen Existenz, In Das Gewissen in der Diskussion" 74-91, 1976

      13 J. Schartländer, "Art. Verantwortung, In Handbuch philosophischer Grundbegriffe" 1579-, 1973

      14 F. Ricken, "Allgemeine Ethik" Köln 75-80,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3 0.66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