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강남에 거주하는 중고생 자녀를 둔 대졸 이상의 전업주부가 어떤 방식으로 자녀 학업지원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는 어떤 교육신념에 기반하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강남에 거주하는 중고생 자녀를 둔 대졸 이상의 전업주부가 어떤 방식으로 자녀 학업지원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는 어떤 교육신념에 기반하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
이 연구는 강남에 거주하는 중고생 자녀를 둔 대졸 이상의 전업주부가 어떤 방식으로 자녀 학업지원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는 어떤 교육신념에 기반하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교육신념은 객관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확신 혹은 의지로써 자녀의 학업지원활동을 이끄는 동력으로 정의된다. 교육신념은 교육관점과 방법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일관되고 반복되는 학업지원활동을 통해서 해석될 수 있으며, 실제 ‘자녀 키우기’라는 교육현실의 위기상황에 의해 변화하기도 한다.
연구자는 강남 학부모가 경제적 여건, 교육정도, 시간적 여유 및 사회적 지위를 갖추었기 때문에 자신의 교육신념을 자녀 학업지원활동으로 드러낼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연구자는 지인으로부터 학부모 116명을 소개받아 2007년 10월 초부터 2008년 1월 말까지 자녀 학업지원활동에 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들 중에서 연구 참여자 조건에 합당한 78명의 인터뷰 내용을 2008년 8월까지 분석하였다. 이들의 평균연령은 46세였고, 배우자의 학력은 모두 대졸 이상이었다. 연구자는 이들 78명 중에서 교육신념을 잘 드러내는 10명의 학부모를 2008년 9월에 2차 인터뷰를 하였다. 2008년 10월부터 2009년 5월까지 2차 인터뷰의 분석결과인 학업지원활동의 유형별 교육신념의 특징을 토대로 1차 인터뷰 내용을 재분석하였다.
강남 학부모의 자녀 학업지원활동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들의 자녀 학업지원활동 유형은 시간통제를 특징으로 하는 외부적 지원과 내용통제를 특징으로 하는 내부적 지원을 기준으로 ‘매니저형’, ‘모방형’, ‘적당형’, ‘성찰형’으로 나누어졌다. 강남구 내에서도 지역별로 지원활동 유형분포의 차이를 보였고, 같은 유형이라 하더라도 경제적 여건에 따라 지원활동에 차이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주변강남’에 비해 ‘구강남’에 매니저형과 모방형이 더 많았다. 경제적 여건에 따라서는 ‘신강남’의 매니저형은 ‘발품’을 팔아서, 구강남의 매니저형은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서 정보를 수집하였다. 유형별로 자녀 성적도 상이했다. 매니저형과 성찰형의 자녀 성적이 최상과 상에 분포하였다면, 모방형과 적당형의 자녀 성적은 주로 중에 분포하였다. 학부모의 연령대와 교육정도, 자녀의 연령대가 비슷한 상황에서는 경제적 여건이 자녀 학업지원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유형은 서로 다른 교육신념에 기반을 두고 있었으며, 이러한 교육신념의 차이는 자녀 학업지원활동의 특징을 다르게 보여주고 있었다. 매니저형과 모방형은 ‘부모하기 나름’의 교육신념을, 성찰형과 적당형은 ‘자녀하기 나름’의 교육신념을 보였다. ‘부모하기 나름’의 학부모는 자녀가 미성숙하다고 여기기 때문에 자녀의 학업 스케줄에 적극 관여한다. 이때 자녀의 학업성취 정도는 부모의 지원에 의해 좌우된다고 믿는다. 이에 비해 ‘자녀하기 나름’의 학부모는 자녀의 타고난 학업특성을 존중하고 자녀의 발달단계를 관망한다. 이때 자녀의 학업성취 정도는 자녀에 의해 좌우된다고 믿는다.
부모의 교육신념은 부모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 성장배경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지만 자녀의 부진한 성적과 사춘기로 인한 행동변화와 부모 스스로의 딜레마를 계기로 변화하기도 한다. 교육신념의 변화는 주로 ‘부모하기 나름’에서 ‘자녀하기 나름’으로 이루어졌다. 교육신념의 변화를 경험한 학부모는 자녀와의 쌍방향적 소통을 중요시하게 되며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가 감소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신념을 변화시킨 학부모들이 자녀의 능력을 믿고 기다리는 것을 배웠으며, 자녀에게로부터 부모 자신을 독립하는 노력을 통해서 자녀와 함께 성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학부모의 지원활동의 정도와 자녀 학업성취도와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학부모 활동에 관한 분석은 교육현실에 많은 해석을 제공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verify how dedicated housewives with college degrees or higher, who live in Gang-nam, support their children's learning, and what educational belief and faith they have for their children. In this study, educational belief i...
This study is designed to verify how dedicated housewives with college degrees or higher, who live in Gang-nam, support their children's learning, and what educational belief and faith they have for their children. In this study, educational belief is the "motivated power" of school-based education that supports children based on conviction or intention and is unverified objectively. Since educational beliefs are connotative educational viewpoints and methods; they can be interpreted through consistent and repeated learning support activities, and in actuality can be changed by the critical situation of the educational reality: "raising children". By which thoughts, are Gang-nam parents supporting their children' education for?
As Gang-nam parents are well-educated, economically stabled and of high social status; researcher judges that they can express their educational beliefs by means of children's learning support activities. Researcher had interviewed 78 parents in a face-to-face way. Their average age was 46, and their spouses had a college or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Data collection and analyses about Gang-nam parents' learning support activities for their children and their educational beliefs had been done from October, 2007 to the end of May, 2009.
This study shows three consequences. Firstly, it shows that Gang-nam parents' learning support activities for their children are accomplished in various ways. Researcher classified parental support activities into four types - manager type, me-too type, solid type and free-and-easy type- based on two criteria: external management which focused on time, and internal management which focused on learning conten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supporting activity types by area, even in the same Gang-nam district. There are also some differences by economic condition even in the same activity type. Second, these types are based on different educational beliefs, which feature som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ir supporting activities. Parents of "manager type" and "me-too type" demonstrate educational beliefs by featuring "depend-on-parent", while "solid type" and "free-and-easy type" of parents represent educational beliefs by featuring "depend-on-students". "Depend-on-parent" parents believe that the scholastic achievements of children are under the control of parents including such support as active participation in their children's learning schedule. In comparison, "depend-on-student" parents believe that the scholastic achievements of children are mainly under the control of children themselves, paying regard to children's innate learning features and watching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Third, though parents' educational beliefs have been formed through influences from social-economic status and the background of parents themselves; these beliefs can be changed by
children's poor school grades, children's adolescences and parents' dilemma in the process of raising a child. This study verifies over time; beliefs have been altered mainly from "depend-on-parent" to "depend-on-student." Parents who have changed in educational beliefs recognize the great importance in interactive communications with children and tend to downplay the importance of private lessons.
These results imply to the parents who have undergone changes in educational beliefs learned that trusting their child's learning abilities is the best supporting activities over other direct supports. Furthermore, parents themselves are growing up through their efforts to be independent of their childre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에밀, 정봉구, , 1988
2. 행동주의, B.F.Skinner, 김영채, , 1983
4. 인간주의 교육, 장상호, , 1983
5. 문화기술적 면접법, Spradley, J. P., , 2003
6. 자연주의 교육사상, 주영흠, 학지사, , 2003
7. 학습사회의 교육학, 김신일, 학습사회의 교육학?, , 2005
8. 자유와 존엄을 넘어서, B.F.Skinner, 차재호, , 1982
9. 한국인의 교육열 연구, 김영환, 박현정, 이민효, , 1993
10. 사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김영화,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Vol.13(3).pp.109~132, , 2003
1. 에밀, 정봉구, , 1988
2. 행동주의, B.F.Skinner, 김영채, , 1983
4. 인간주의 교육, 장상호, , 1983
5. 문화기술적 면접법, Spradley, J. P., , 2003
6. 자연주의 교육사상, 주영흠, 학지사, , 2003
7. 학습사회의 교육학, 김신일, 학습사회의 교육학?, , 2005
8. 자유와 존엄을 넘어서, B.F.Skinner, 차재호, , 1982
9. 한국인의 교육열 연구, 김영환, 박현정, 이민효, , 1993
10. 사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김영화,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Vol.13(3).pp.109~132, , 2003
11.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Slater, Lauren, 에코의서재, , 2008
12. 조기교육과 어머니 역할, 조혜선(Cho Haesun), 한국여성학회, 한국여성학.Vol.20(1).pp.123∼161, , 2004
13. 가족이데올로기와 교육문제, 조상식, 교육비평사, , 2003
14. 신상류층의 방주로서의 강남, 조명래, , 2004
15. 강남, 낯선 대한민국의 자화상, 강준만, 인물과사상사, , 2006
16. 교육열의 운동법칙과 결합법칙, 이종각,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 2002
17. 지역간ㆍ학군간 학력격차의 문제, 박부권, , 1989
18. 인본주의와 행동주의-그 발전적 대화, 안범희, Abraham Wandersman, 최정만, , 1976
20.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Vol.15(3).pp.1~27, , 2005
21. 한국인의 교육신념 유형적 특성과 갈등, 이종재, , 1981
22.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아동의 학업성취, 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Vol.10(1).pp.21~40, , 2000
23. 학부모 교육참여와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이세용, , 2002
24. 학부모 문화연구: 부산지역 중산층의 교육열, 김희복, 학부모 문화 연구 - 부산지역 중산층의 교육열, , 1992
25. Movements of Thought in ModernEducation. 현대 교육 사상, 안인희, George F.Kneller, , 1984
26. 고교평준화제도와 사교육비 지출의 관계 분석, 김현진, 한국교육개발원, 고교 평준화 제도와 사교육비 지출의 관계 분석, , 2004
27. 전통사회와 현대사회 학부모의 교육신념 비교, 구은미, , 2003
28. 학력자본 재생산의 차별화와 빗장도시의 형성, 최은영, , 2004
29. MemoryBrain and Belief. 뇌와 기억,그리고 신념의 형성, 권준수, 한국신경인지기능연구회, DanielL.Schacter, "MemoryBrain and Belief. 뇌와 기억, , 2001
30. 학부모의 교육열;사회계층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영화, 학부모의 교육열 :사회계층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 1992
31. Participation Observation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 Spradley, J. P., 이희봉, , 1980
32. 유아기 자녀의 교육에 대한 어머니 신념 척도 개발, 옥선화, 송명숙,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지.Vol.14(1).pp.1~13, , 2005
34. 부모의 신념체계와 아동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田敬淑, 동아대학교, , 1989
35. 자녀의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방식에서의 차이, 오정현 ( Jung Hyun Oh ), 정태연 ( Tae Yun Jung ), 한국심리학회, , 2006
36. 초등학교 학부모의 자녀 교육지원활동에 관한 연구, 심미옥,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Vol.16(2).pp.333~358, , 2003
37. 학부모의 사회계층별 교육신념에 대한 분석적 연구, 윤병택, , 1988
39. 대학의 선발정책 변화와 학부모 문화와의 관계 연구, 남경희, 동국대학교 대학원,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2005
40. 서울 강남의 역사,강남은 한국자본주의의 엔진인가?, 강준만, "서울 강남의 역사, , 2004
41. 전업주부의 ‘자식 키우기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김선미, 전업주부의 ‘자식 키우기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2004
42. 서울시의 사회계층별 거주지 분화 형태와 사회적 함의, 윤인진,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서울시의 사회계층별 거주지분화 형태와 사회적 함의, , 1998
43. Alife Kohn(2004). "Reprinted formEducationalHorizons",Fall2004,pp.33~41, Alife Kohn, "Alife Kohn(2004). ""Reprinted formEducationalHorizons"", , 2004
44. 학습사회를 위한 교육과 학습의 재조명 -학습해방론 초, 김신일, , 2006
45. 부모의 교육참여와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발달간의 관계, 이세용,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학회.Vol.25(1).pp.114~141, , 1998
46. 아동의 성공적인 학교생활에 부모신념의 비교문화 연구, 이주리 ( Ju Lie Lee ), , 2005
47. 가족배경이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곽수란, 가족배경이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영향, , 2004
48. James Wm.Noll(2008).Taking sides-clashing views on EducationalIssues. pp.318~325, James Wm.Noll, , 2008
49.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자녀교육신념 및 양육태도 조사연구, 박경란, 박홍선, , 1998
50.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을 가진 학부모의 자녀교육신념 조사연구, 김경호, 고지영, , 1992
51. Humanism and/or Behaviorism inEducation. 인간주의 교육과 행동주의 교육, 김상교, 김기정, Walter B.Kolesnik, , 1975
52. 부모의 양육가치와 양육신념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민하영, 이은주,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지.Vol.15(4).pp.1∼9, , 2006
53. 학업성취의 사회화:재미 한인고등학생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정선, , 1996
54. 어머니의 자녀교육신념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원영, , 1984
55. 학부모 및 학생 관련 요인과 사교육비 지출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노현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 2006
56. 학생배경과 학업성취 어머니의 자녀교육에의 관여가 매개하는가?, 주동범, 학생배경과 학업성취 :어머니의 자녀교육에의 관여가 매개하는가?, , 1998
57. 취학전 자녀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교육지원활동에 관한 연구, 송미선, 오재연, 유구종, 취학전 자녀 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 교육지원활동에 관한 연구, , 2008
58. 중산층 어머니들의 자녀교육 담론:자녀교육 지원태도에대한 의미 분석, 이민경, , 2007
59. 시간문화와 여성 - 대입 수험생 어머니의 삶에 나타난전통,현대,탈현대-, 심영희, "시간문화와 여성 - 대입 수험생 어머니의 삶에 나타난전통, , 1996
61. 유치원아 부모의 사회계층에 따른 자녀교육신념에 대한 세대간 비교연구, 오혜진, 주경란, , 2004
63. 조기 사교육과 어머니의 역할 -가족주의 가치관과 계층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이숙현, 백진아, 한국가족학회, , 2004
64. 사교육시간, 개인공부시간, 학교수업참여도의 실태및 주관적 학업성적향상효과, 조혜영, "사교육시간, , 2005
65. 우리나라 학부모의 자녀교육지원행위의 종류와 유형 분류:신문기사를 중심으로, 홍금초, 강원대학교,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4
66. 생활문화속의 일상성의 의미 - 도시 중산층 전업주부의일상생활과 모성 이데올로기-, 윤택림(Yoon Taek-Lim), , 1996
67.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가정수입에 따른 유아교육에 대한신념과 가정에서의 학습활동, 심숙영, , 2003
68. HUMAN NATURES:Genes Cultures,andtheHuman Prospect. 인간의 본성(들):인간의 본성을 만드는 것은 유전자인가,문화인가?, 전방욱, PaulR.Ehrlich, "HUMAN NATURES:Genes Cultures, ,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