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50년대의 한국미술(1), 제1공화국 미술의 태동과 진통 = Korean Art of the 1950s(1), Beginning and Pain of the First Republic’s 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829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in the periodical waves of Korea, the new divided country, the art of the 1950s sought a new change along with a struggle for the leadership through its objective conditions: the three-year period of war, the period of returning to the capital, an...

      Within the periodical waves of Korea, the new divided country, the art of the 1950s sought a new change along with a struggle for the leadership through its objective conditions: the three-year period of war, the period of returning to the capital, and the renaissance. The main themes included a succession of the tradition of the ethnic arts, the internationalization of modern art, and so on. In addition to another reenactment of the fascist nationalism of the Japanese Occupation, an effort to overcome Japanese style since Korea"s liberation has continued. Meanwhile, the modern arts of the Asian modernism, which encompassed both nationalism and modernism, yielded certain positive results, so that they started accelerating their movement toward modern arts. Such creative activities were developed by professors in Korea"s first art college and emerging artists of the first generation that was from the art college. The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the art field that was mainly organized by the Korean Arts Association that has reconstructed the right-wing-based Joseon Arts Association. Also, the Korean Arts Association has been reorganized by North and South Korean artists. With a focus on the paintings that compose most part of the Korean artworks in the 1950s, this dissertation introduces them by dividing them into several categories of the themes. In doing so,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rebuild a step of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s, that is, the time when switched from modern arts of the Japanese Occupation to contemporary arts of the Republic of Korea, while exploring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rts in the period. As a part of it, the dissertation describes the reorganization of the art field, which only consisted of the right wingers, the art activities in refuges, and the artists and their styles, particularly, the artists who worked mainly for national exhibitions, that is, the main battleground for gaining cultural hegemony and fame distributed by the count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머리말
      • Ⅱ. 전쟁기의 미술계 재편과 피난지 미술
      • Ⅲ. 국전과 아카데미즘의 비대와 ‘조선색’의 결실
      • 참고문헌
      • ABSTRACT
      • I. 머리말
      • Ⅱ. 전쟁기의 미술계 재편과 피난지 미술
      • Ⅲ. 국전과 아카데미즘의 비대와 ‘조선색’의 결실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선표, "해방 이후 한국 현대미술의 전개: 광복 50년, 한국화의 이원구조와 갈등" 9 : 1995

      2 최열, "한국현대미술의 역사: 한국미술사사전(1945~1961)" 열화당 2006

      3 오광수, "한국현대미술사" 열화당 1995

      4 조은정, "한국전쟁기 남한 미술인의 전쟁 체험에 대한 연구: 종군화가단과 유격대의 미술인을 중심으로" 3 : 2002

      5 최태만, "한국전쟁과 미술 : 선전·경험·기록"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6 홍선표, "한국적 풍경을 위한 집념의 신화: 이상범 작가론" 삼성문화재단 1997

      7 홍선표, "한국근대미술사: 갑오개혁에서 해방시기까지" 시공사 2009

      8 이하림, "장욱진의 가족그림에 보이는 전통성" 11 : 2000

      9 오광수, "이중섭" 시공사 2000

      10 홍선표, "도상봉의 작가상과 작품성" 국립현대미술관 2002

      1 홍선표, "해방 이후 한국 현대미술의 전개: 광복 50년, 한국화의 이원구조와 갈등" 9 : 1995

      2 최열, "한국현대미술의 역사: 한국미술사사전(1945~1961)" 열화당 2006

      3 오광수, "한국현대미술사" 열화당 1995

      4 조은정, "한국전쟁기 남한 미술인의 전쟁 체험에 대한 연구: 종군화가단과 유격대의 미술인을 중심으로" 3 : 2002

      5 최태만, "한국전쟁과 미술 : 선전·경험·기록"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6 홍선표, "한국적 풍경을 위한 집념의 신화: 이상범 작가론" 삼성문화재단 1997

      7 홍선표, "한국근대미술사: 갑오개혁에서 해방시기까지" 시공사 2009

      8 이하림, "장욱진의 가족그림에 보이는 전통성" 11 : 2000

      9 오광수, "이중섭" 시공사 2000

      10 홍선표, "도상봉의 작가상과 작품성" 국립현대미술관 2002

      11 한국근대미술연구소, "國展 30년" 수문서관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재)성강문화재단 한국미술연구소 -> 한국미술연구소
      영문명 : Sung Kang Foundation -> Center for Art Stud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재)성강문화재단 -> (재)성강문화재단 한국미술연구소
      영문명 : Sungn Gang Culture Foundation -> Sung Kang Found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1 0.83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