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인칭 속격의 두 형태 ‘내’와 ‘나의’의 공존에 대한 통시적 해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7501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현대국어에서 1인칭 대명사 ‘나’의 속격 형태가 ‘내’와 ‘나의’ 두 가지로 공존하는 현상에 대해 통시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이다. 공존하는 두 형태는 ‘축약형’...

      본 논문의 목적은 현대국어에서 1인칭 대명사 ‘나’의 속격 형태가 ‘내’와 ‘나의’ 두 가지로 공존하는 현상에 대해 통시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이다. 공존하는 두 형태는 ‘축약형’과 ‘기본형’의 관계가 아닌, ‘전래형’과 ‘개신형’의 관계로 파악하는 것이 타 당하다. 15~19세기 한글 문헌에서는, 1인칭 대명사 ‘나’의 속격형이 주로 ‘내’로만 나 타나다가 점차 ‘나의’의 출현 빈도가 증가하는 통시적 현상이 확인된다. 전래형 ‘내’ 에 대한 개신형 ‘나의’의 확장과 일반화라는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속격 표지 ‘의’의 분포가 유추적으로 확장되어 온 흐름 및 1인칭 대명사 ‘나’의 형태가 유추적으로 평준화되어 온 흐름과 관련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ffering a historical explanation about the coexistence of two different forms of 1st person genitive in modern korean. It is reasonable to explain this phenomenon as a change from ‘내’ to ‘나의’, rather than a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ffering a historical explanation about the coexistence of two different forms of 1st person genitive in modern korean. It is reasonable to explain this phenomenon as a change from ‘내’ to ‘나의’, rather than a shortening from ‘나의’ to ‘내’. This change is related to the flow in which the distribution of the genitive marker ‘의’ has been analogically expanded and the form of the first person pronoun ‘나’ has been analogically level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들어가며
      • 2. ‘나의’의 확장
      • 3. ‘내, 내의, 나의’의 관계
      • 4. 변화의 배경
      • 요약
      • 1. 들어가며
      • 2. ‘나의’의 확장
      • 3. ‘내, 내의, 나의’의 관계
      • 4. 변화의 배경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병희, "한국어발달사(中)" 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 1967

      2 목정수, "한국어 조사 {의}의 문법적 지위와 의미 기능에 대하여" 한국어교육학회 (123) : 437-470, 2007

      3 김미형, "한국어 대명사" 한신문화사 1995

      4 고영근,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2010

      5 박형우, "중세 국어 조사 ‘이/의’에 대한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5

      6 고광모, "주격조사 ‘-가’의 발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68) : 93-118, 2014

      7 Saussure, F.,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1990

      8 안병희, "이숭녕박사 송수기념논총" 을유문화사 1968

      9 김방한, "유추적 변화의 조건" 200 : 339-358, 1988

      10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1971

      1 안병희, "한국어발달사(中)" 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 1967

      2 목정수, "한국어 조사 {의}의 문법적 지위와 의미 기능에 대하여" 한국어교육학회 (123) : 437-470, 2007

      3 김미형, "한국어 대명사" 한신문화사 1995

      4 고영근,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2010

      5 박형우, "중세 국어 조사 ‘이/의’에 대한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5

      6 고광모, "주격조사 ‘-가’의 발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68) : 93-118, 2014

      7 Saussure, F.,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1990

      8 안병희, "이숭녕박사 송수기념논총" 을유문화사 1968

      9 김방한, "유추적 변화의 조건" 200 : 339-358, 1988

      10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1971

      11 허 웅, "우리 옛말본-15세기 국어 형태론-" 샘문화사 1975

      12 이상욱, "언해문에서 관찰되는 ‘내?’, ‘네의’형에 대한 관견: 15세기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0 (30): 203-225, 2007

      13 김유범, "언어 변화 이론과 국어 문법사 연구" 국어학회 (43) : 429-460, 2004

      14 홍윤표, "근대국어 연구 1" 태학사 1994

      15 박선우, "국어의 유추적 음운현상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16 홍윤표,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2" 국립국어원 1997

      17 류성기,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2" 국립국어원 1997

      18 이현희,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1" 국립국어원 1996

      19 이기문, "국어사개설" 태학사 1998

      20 안병희, "국어사 연구" 문학과지성사 1992

      21 김성남, "국어 인칭대명사의 역사적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6

      22 김윤한, "공동연구 : 언어변화의 일반이론"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17) : 267-293, 1995

      23 Martinet, A., "Économie des changements phonétiques:Traité de phonologie diachronique" Francke 1955

      24 고영근, "[단행본]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25 Mańczak, W., "Historical Morphology" Mouton 283-288, 1980

      26 Hooper, Joan B., "An introduction to natural generative phonology" Academic Press 1976

      27 허 웅, "16세기 우리 옛말본" 샘문화사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어사연구(학회지 명칭 변경) -> 국어사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4-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어사자료학회 -> 국어사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2 1.345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