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연구관리기록물 관리 매뉴얼 연구 -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Record Management Manual for R & D Management: A Focus on Government - Supported Science Research Institu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010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the management of R & D management records produced from government-supported science research institutes (the so-called “gwagichulyeon”) and of a record management manual (item). As such, it gathered rules with regard to record management, conducted a survey, and interviewed general R & D manager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ratio of the arrangement of R & D managers to R & D management departments is 100%; however, the ratio of the arrangement of record managers is 33.3%-50%, and the ratio of the arrangement of record management departments is 23.1%, which was poor. The enactment ratio of record management rules is 26.4%, and 73.7% of institutes has managed their records under the provision only of document management rules or only of office management rules. R & D management records has been collected according to an institute’s capability without a prescribed collection scope, and the conditions with regard to the omission, damage, and loss of records were poor. There are institutes that did not comprehend the production status of R & D management records. Thus, as a response, this study suggested a record management manual (item) established for the arrangement duties of record managers and record management departments as well as for notifications on the status of R & D management records. In addition, this study produced a standardized collection scope and described how to manage R & D management records.
      번역하기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the management of R & D management records produced from government-supported science research institutes (the so-called “gwagichulyeon”) and of a record management manual (item). As such, it gathered rules wi...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the management of R & D management records produced from government-supported science research institutes (the so-called “gwagichulyeon”) and of a record management manual (item). As such, it gathered rules with regard to record management, conducted a survey, and interviewed general R & D manager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ratio of the arrangement of R & D managers to R & D management departments is 100%; however, the ratio of the arrangement of record managers is 33.3%-50%, and the ratio of the arrangement of record management departments is 23.1%, which was poor. The enactment ratio of record management rules is 26.4%, and 73.7% of institutes has managed their records under the provision only of document management rules or only of office management rules. R & D management records has been collected according to an institute’s capability without a prescribed collection scope, and the conditions with regard to the omission, damage, and loss of records were poor. There are institutes that did not comprehend the production status of R & D management records. Thus, as a response, this study suggested a record management manual (item) established for the arrangement duties of record managers and record management departments as well as for notifications on the status of R & D management records. In addition, this study produced a standardized collection scope and described how to manage R & D management recor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과기출연’)에서 생산하는 연구관리기록물의 관리 필요성을 제기하고 ‘관리 매뉴얼(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과기출연의 기록물 관련 규정을 수집하고 연구관리 총괄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연구관리 담당자 및 담당부서 배치율(100.0%)에 비해 기록물관리 전문요원(33.3%~50.0%) 및 기록관리부서 배치율(23.1%)은 저조했다. 기록물관리규정 제정율은 26.4%였고, 73.7%의 기관이 문서관리규정 혹은 사무관리규정만으로 기록물을 관리했다. 연구관리기록물은 규정된 수집범위 없이 기관 역량에 따라 수집되며, 기록물 누락․훼손․망실 대비책 또한 미진했다. 연구관리기록물의 생산현황을 파악하지 않은 기관도 있었다. 이에 대응방안으로 ‘관리 매뉴얼(안)’을 제시하여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배치, 기록물관리 담당부서의 설치, 생산현황 통보를 의무화하고 기록관에 준하는 시설․장비 설치를 권장하였다. 덧붙여 표준화된 수집범위를 제시하고, 연구관리기록물 관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과기출연’)에서 생산하는 연구관리기록물의 관리 필요성을 제기하고 ‘관리 매뉴얼(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과기출연의 기록물 ...

      이 연구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과기출연’)에서 생산하는 연구관리기록물의 관리 필요성을 제기하고 ‘관리 매뉴얼(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과기출연의 기록물 관련 규정을 수집하고 연구관리 총괄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연구관리 담당자 및 담당부서 배치율(100.0%)에 비해 기록물관리 전문요원(33.3%~50.0%) 및 기록관리부서 배치율(23.1%)은 저조했다. 기록물관리규정 제정율은 26.4%였고, 73.7%의 기관이 문서관리규정 혹은 사무관리규정만으로 기록물을 관리했다. 연구관리기록물은 규정된 수집범위 없이 기관 역량에 따라 수집되며, 기록물 누락․훼손․망실 대비책 또한 미진했다. 연구관리기록물의 생산현황을 파악하지 않은 기관도 있었다. 이에 대응방안으로 ‘관리 매뉴얼(안)’을 제시하여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배치, 기록물관리 담당부서의 설치, 생산현황 통보를 의무화하고 기록관에 준하는 시설․장비 설치를 권장하였다. 덧붙여 표준화된 수집범위를 제시하고, 연구관리기록물 관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학, "투명하고 효율적인 정부 R&D 연구비 관리를 위한 실시간 통합연구비관리체계 구축" 한국기술혁신학회 296-310, 2013

      2 박건형, "증빙서류 기준 강화 … 공기관 해외출장 ‘ 기피 '" 서울신문

      3 박재학, "정부출연연구소의 기록물관리 실태와 운용 방안 : H연구소 기록물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6

      4 김수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기록물 관리를 위한 수집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3 (23): 109-124, 2012

      5 이호갑, "정부지원연구비 집행의 투명성 확보방안" 대한회계학회 12 (12): 189-209, 2007

      6 박기범, "연구비 집행․관리 투명성 제고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7 박상준, "연구비 관리제도의 혁신저항" 한국경영과학회 24 (24): 19-31, 2007

      8 임진희, "연구기록의 진본성과 신뢰성 : 연구기록의 품질 확보 요건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2011

      9 김상준, "연구기록물 중 연구노트의 중요성과 관리 제도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39 (39): 45-74, 2008

      10 이길우, "연구관리인증제도 시행을 위한 세부 시스템 설계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5

      1 김영학, "투명하고 효율적인 정부 R&D 연구비 관리를 위한 실시간 통합연구비관리체계 구축" 한국기술혁신학회 296-310, 2013

      2 박건형, "증빙서류 기준 강화 … 공기관 해외출장 ‘ 기피 '" 서울신문

      3 박재학, "정부출연연구소의 기록물관리 실태와 운용 방안 : H연구소 기록물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6

      4 김수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기록물 관리를 위한 수집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3 (23): 109-124, 2012

      5 이호갑, "정부지원연구비 집행의 투명성 확보방안" 대한회계학회 12 (12): 189-209, 2007

      6 박기범, "연구비 집행․관리 투명성 제고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7 박상준, "연구비 관리제도의 혁신저항" 한국경영과학회 24 (24): 19-31, 2007

      8 임진희, "연구기록의 진본성과 신뢰성 : 연구기록의 품질 확보 요건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2011

      9 김상준, "연구기록물 중 연구노트의 중요성과 관리 제도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39 (39): 45-74, 2008

      10 이길우, "연구관리인증제도 시행을 위한 세부 시스템 설계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5

      11 김대율, "연구관리기관의 연구기록관리 현황과 개선방안 : 한국학술진흥재단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2008

      12 이길우,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실태분석을 통한 유형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12 (12): 1-35, 2009

      13 천누리, "연구개발기록물의 메타데이터 요소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14 정세영, "연구개발기록물 관리체계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 K 연구소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15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실시간통합연구비관리시스템 (RCMS) 소개"

      16 박재근, "대학 학생인건비 관리제도 및 연구비관리 인증제 모니터링" 교육과학기술부 2010

      17 김종호, "국가연구개발정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미국ㆍ일본ㆍ한국의 대학연구비 중앙관리사례 비교를 통한 적용 가능성의 탐색 -" 국제지역연구원 16 (16): 33-57, 2009

      1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 대통령령 제 26729 호 >"

      19 강선준, "국가연구개발사업 정산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산업기술개발사업 회계법인 위탁정산제도의 개선방법을 중심으로" 9 : 1-25, 2007

      20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관리 표준매뉴얼 ( 안 )"

      21 황석언, "국가연구개발사업 R&D 효율성 분석 및 제고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9

      22 여상아,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기록관리 개선 방안 : K 연구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23 김승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투자 및 성과 분석과 시사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2

      24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 법률 제 13512 호 >"

      25 백승현,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관리체계가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9 (9): 59-91, 2014

      26 이미영, "과학기술분야 연구기록의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학회 (41) : 75-111, 2014

      27 이미영, "과학기술분야 연구기록 평가에 있어 연구자 시각의 이해" 한국기록관리학회 16 : 171-176, 2014

      28 최영훈,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성과개념의 재구성을 위한 작은 논의" 한국공공관리학회 23 (23): 401-430, 2009

      29 최현옥, "공과대학 연구실 연구기록관리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0

      30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 대통령령 제 26922 호 >"

      31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 행정자치부령 제 1 호 >"

      32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 법률 제 12844 호 >"

      33 황진현, "공공기관의 생산현황통보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학회 (37) : 145-188, 2013

      34 崔炯泰, "畵像 DB를 통한 연구기록자료 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東國大學校 情報大學院 1995

      35 오정훈, "TOC 기반 연구기록물시스템 모형 구축" 한국문헌정보학회 49 (49): 109-133, 2015

      36 오정훈, "TOC 기반 연구기록물시스템 모형 구축" 한국문헌정보학회 35 : 95-115, 2015

      37 "RCMS 홈페이지"

      38 "Final Report: Research and Technology Organizations (RTOs) and ERA" EURAB. InterPARES2 Project Boo

      39 Arovelius, Renata, "Archives of science: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and comparison on best practices for handling of scientific records"

      40 국가기록원, "2016 년도 정부산하공공기관 기록물관리지침"

      41 국회예산정책처, "2015 년도 예산안 분야별 분석 I"

      42 한국연구재단, "2015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비 관리 매뉴얼"

      43 미래창조과학부, "2014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4-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KCI등재
      2017-04-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5-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e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6 1.607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