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을공동체운동과 마을교회 = Village Community Movement and Village Chu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430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독교 윤리학 관점에서 볼 때 최근 한국시민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마을공동체운동은 그 운동 자체의 세속성에도 불구하고 매우 흥미롭고 의미 있는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마을...

      기독교 윤리학 관점에서 볼 때 최근 한국시민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마을공동체운동은 그 운동 자체의 세속성에도 불구하고 매우 흥미롭고 의미 있는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마을공동체운동이 근본적으로 모든 것이 물신화된 글로벌 자본주의 사회에 대항하는 대안적 운동으로서 일어난 풀뿌리민주정치와 사회적 경제의 재건을 이룩하려 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일들을 통해 무엇보다도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의 관계성에 기초한 “이웃에 대한 상호적 돌봄과 나눔”과 “일상에 충실한 소박한 삶”과 같은 윤리적 가치들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마을공동체운동의 정치·경제적 배경과 그 의의를 연구하고, 그 윤리적 함의를 몰트만의 희망의 윤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마을공동체운동의 연대의 윤리와 기독교의 사랑의 윤리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왜 한국교회가 독일교회와 달리 시민사회의 마을공동체운동 속에서 소외될 수밖에 없었는지 그 원인도 진단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한국교회가 소외상황을 극복하고 새롭게 마을교회로 부활하기 위해 마을공동체를 위한 복지적 책임에 머물러서만은 안 되며, 반드시 거룩함의 시공간을 선포하는 케리그마 사역을 담당해야 한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이러한 마을교회의 거룩한 사역이야말로 인간의 삶이 일상적인 세속성의 위험에 매몰되지 않고 그 존재의 깊이와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ethics, the village community movement could be said as a very significant challenge despite it’s secularity. The first reason is that the movement as an alternative against the global capitalism tries to build a gr...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ethics, the village community movement could be said as a very significant challenge despite it’s secularity. The first reason is that the movement as an alternative against the global capitalism tries to build a grassroots democracy and the social economy. Secondly, it has ethical values such as “mutual caring and sharing for the neighborhood” and “a simple life for the every life” based on the relation of human and human, and of human and nature. Hence, this study will start from a recherche in the political and economic background and the importance of the korean village community social movement, and reveal the ethical import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thics of hope by J. Molttman. This study, however, aims also to find out the reasons why the Korean Church unlike the German Church had to be excluded from the village community movement by the korean civil society in spite of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ethics of solidarity in the village community movement and the ethics of love in the Church. For the conclusion, it is for the resurrection of the Village Church that this study does not only stress to take a role for the responsibility for the social welfare in the local community, but also for the ministry of Kerygma to proclaim the space and the time of the Holiness in the world of the Profane. This holy work of the Village Church will make the human life to build the stability and the depth of his being without being obsessed with the daily Profan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Lies, Maria, "힐러리에게 암소를 –자급의 삶은 가능한가" 동연 2013

      2 곽혜원, "희망의 윤리" 대한기독교서회 2012

      3 강수돌, "팔꿈치 사회" 갈라파고스 2013

      4 이오갑, "종말론, 무엇이며 어떻게 볼까?" 쿰란출판사 2012

      5 "제2 새마을운동 박근혜정부서 재점화할까"

      6 Savage, Mike, "자본주의도시와 근대성" 한울 1996

      7 Arendt, Hannah, "인간의 조건" 한길사 2003

      8 조명래, "인간도시를 꿈꾸며. 인간도시 컨센서스, In 마을로 가는 사람들" 알트 2012

      9 Ricoeur, Paul, "역사와 진리" 솔로몬 2002

      10 Cox, Harvey, "세속도시" 대한기독교서회 1967

      1 Lies, Maria, "힐러리에게 암소를 –자급의 삶은 가능한가" 동연 2013

      2 곽혜원, "희망의 윤리" 대한기독교서회 2012

      3 강수돌, "팔꿈치 사회" 갈라파고스 2013

      4 이오갑, "종말론, 무엇이며 어떻게 볼까?" 쿰란출판사 2012

      5 "제2 새마을운동 박근혜정부서 재점화할까"

      6 Savage, Mike, "자본주의도시와 근대성" 한울 1996

      7 Arendt, Hannah, "인간의 조건" 한길사 2003

      8 조명래, "인간도시를 꿈꾸며. 인간도시 컨센서스, In 마을로 가는 사람들" 알트 2012

      9 Ricoeur, Paul, "역사와 진리" 솔로몬 2002

      10 Cox, Harvey, "세속도시" 대한기독교서회 1967

      11 Eliade, Mircea, "성과 속 종교의 본질" 학민사 1983

      12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

      13 이해진, "사회적 경제의 지역화 : 대안적 지역사회발전과 복지의 관점에서" 지역사회학회 11 (11): 219-241, 2010

      14 만남포럼, "사회적 경제와 지역사회운동의 접점찾기" 한국도시연구소 2012

      15 "박원순 후보 정책자료 모음집"

      16 "박대통령, 새마을운동, 국민통합운동으로"

      17 이원돈, "마을이 꿈을 꾸면 도시가 춤을 춘다" 동연 2011

      18 김은희, "마을만들기는 운동이다, In 우리, 마을만들기" 고양 나무도시 2012

      19 이향순, "도시구조의 변동과 대형교회의 성장" 장신대 세계선교연구원 10 : 2002

      20 김왕배, "도시, 공간, 생활공간" 한울 2000

      21 박주형, "도구화되는 ‘공동체’: 서울시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공간환경학회 23 (23): 4-43, 2013

      22 진노 나오히코, "나눔의 경제학이 온다" 푸른지식 2012

      23 이영훈, "공유경제의 내재적 윤리" 한국동서경제학회 19 (19): 2008

      24 "경제성장 과실 대기업만 꿀꺽"

      25 Grenz, Stanley, "20세기 신학" IVP 142-, 1997

      26 김영욱, "(경쟁과 양극화를 넘어 더불어 사는 사회를 위한) 행복의 경제학" 중앙북스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7 0.486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