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 자연환경보전정책의 변화와 과제 = 1960-2013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volution of Korean natural environmental preservation policy from 1960 to 2013 to identify trends in policy changes during different governments and to examine the role of businesses and citizens in policy changes. Policy change is also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classification theories. This study examines white papers, reports, data from government, businesses, citizens groups and previous studies on natural environmental preservation policy from academic circles during this perio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natural environmental preservation policies in Korea evolved through an ‘embryonic period,’ ‘preparation period,’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alignment period,’ ‘harmonizing ecological preservation and territorial usage period,’ and ‘natural resources utilization promotion period.’ The policy shifts which took place during different governments was mostly influenced by the respective Presidents policy stance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issues. Also, in the context of shifting policy, NGOs and business responses affected change to the details of policy content. In addition, this paper provides several policy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atural environmental preservation policies. These include increasing public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natural resources, improving governmental coordinating capacity for related agencies, increasing the visibility of policy, securing policy autonomy and increasing cooperation with environmental NGOs. Finally, considering the anticipated rapid increase in the value of bio resources, strengthening natural environmental preservation policy for the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bio resources is strongly recommend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volution of Korean natural environmental preservation policy from 1960 to 2013 to identify trends in policy changes during different governments and to examine the role of businesses and citizens in polic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volution of Korean natural environmental preservation policy from 1960 to 2013 to identify trends in policy changes during different governments and to examine the role of businesses and citizens in policy changes. Policy change is also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classification theories. This study examines white papers, reports, data from government, businesses, citizens groups and previous studies on natural environmental preservation policy from academic circles during this perio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natural environmental preservation policies in Korea evolved through an ‘embryonic period,’ ‘preparation period,’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alignment period,’ ‘harmonizing ecological preservation and territorial usage period,’ and ‘natural resources utilization promotion period.’ The policy shifts which took place during different governments was mostly influenced by the respective Presidents policy stance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issues. Also, in the context of shifting policy, NGOs and business responses affected change to the details of policy content. In addition, this paper provides several policy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atural environmental preservation policies. These include increasing public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natural resources, improving governmental coordinating capacity for related agencies, increasing the visibility of policy, securing policy autonomy and increasing cooperation with environmental NGOs. Finally, considering the anticipated rapid increase in the value of bio resources, strengthening natural environmental preservation policy for the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bio resources is strongly recommend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준형, "환경행정학" 대영문화사 93-125, 2014

      2 환경부, "환경통계연감" 환경부 2013

      3 이정전, "환경정책의 발달동인: 정책의 창문이 어떻게 열렸는가?" 2 (2): 1-29, 2003

      4 문태훈, "환경정책론" 형설출판사 1997

      5 이종영, "환경정책기본법상의 자연환경보전" 23 (23): 59-80, 2001

      6 최홍석, "환경정책 자연자산관리를 위한 중앙부처간 기능배분에 관한 연구" (3) : 89-105, 1997

      7 환경부, "환경비전21. 환경보전장기종합계획(1996-2005)" 1995

      8 이상돈, "환경부 전국자연환경조사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2 (12): 1-8, 2003

      9 대륙연구소, "환경보전에 관한 국민의식조사(결과집계표)"

      10 월드리서치, "환경보전에 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보고서" 환경부 2008

      1 홍준형, "환경행정학" 대영문화사 93-125, 2014

      2 환경부, "환경통계연감" 환경부 2013

      3 이정전, "환경정책의 발달동인: 정책의 창문이 어떻게 열렸는가?" 2 (2): 1-29, 2003

      4 문태훈, "환경정책론" 형설출판사 1997

      5 이종영, "환경정책기본법상의 자연환경보전" 23 (23): 59-80, 2001

      6 최홍석, "환경정책 자연자산관리를 위한 중앙부처간 기능배분에 관한 연구" (3) : 89-105, 1997

      7 환경부, "환경비전21. 환경보전장기종합계획(1996-2005)" 1995

      8 이상돈, "환경부 전국자연환경조사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2 (12): 1-8, 2003

      9 대륙연구소, "환경보전에 관한 국민의식조사(결과집계표)"

      10 월드리서치, "환경보전에 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보고서" 환경부 2008

      11 환경부, "환경보전에 관한 국민의식조사" 환경부 1995

      12 환경부, "환경보전에 관한 국민의식조사"

      13 환경청, "환경보전, 1982-1988 각년도"

      14 환경부, "환경백서, 1995-2013 각년도" 환경부

      15 환경처, "환경백서, 1990-1994 각년도" 환경처

      16 환경부, "환경30년사" 환경부 2010

      17 김지태, "한국환경생태현황 및 자연환경보전정책 방향" 19 (19): 27-38, 2009

      18 문태훈, "한국행정학오십년 1956-2006" 327-353, 2006

      19 김광임, "한국의 환경50년사" 한국환경기술개발원 1996

      20 문태훈, "한국에 있어서 정부와 기업간의 관계 -환경보전, 공정거래, 산업기술 개발정책을 중심으로-" 27 (27): 471-492, 1993

      21 문태훈, "한국 환경정책의 변화와 과제, 1963-2007" 한국정책학회 17 (17): 131-161, 2008

      22 김도균, "한국 환경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사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2 (12): 217-249, 2008

      23 문태훈, "한국 환경보전정책 연구 -정부와 기업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창간) : 1992

      24 오영석, "조선시대 자연자원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34 (34): 327-345, 2000

      25 전국경제인연합회, "전경련50년사 기적의 50년을 넘어 희망100년으로"

      26 오영선, "자원소비지표를 활용한 한국 산업화 과정에 대한 지속가능성 평가" 한국정책학회 13 (13): 1-20, 2004

      27 이민창, "자연환경보전정책의 이슈와 전망" 한국지방정부학회 7 (7): 221-239, 2003

      28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자연과 인간의 아름다운 공존, 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년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3

      29 김승환, "일본의 자연환경보전사조 및 제도변천" 17 (17): 1001-1015, 1989

      30 김용헌, "일본 환경정책의 변천과 시사점" 한국일본근대학회 (40) : 367-390, 2013

      31 김창회, "우리나라 전국자연환경조사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2 (22): 725-738, 2013

      32 명성준, "에너지산업 발전을 위한 국정과제의 모니터링" 395-410, 2009

      33 조선일보, "야생동물들은 모르는 생태통로 - 백두대간 10곳 조사 동물지나간 흔적 없어 엉뚱한 곳에 예산 낭비"

      34 윤경환, "시민단체의 활동에 따른 환경정책의 변화" 7 : 125-136, 1999

      35 조선일보, "생태통로에 야생동물 얼씬도 안해"

      36 이종열, "산림행정 패러다임의 역사적 변천과정에 대한 평가" 경인행정학회 13 (13): 261-279, 2013

      37 김동수, "미국·유럽·일본 및 한국의 바이오산업 정책 분석"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11 (11): 89-116, 2007

      38 이해평, "녹색성장형 소방방재산업육성방안" 69-77, 2009

      39 천대윤, "녹색성장정책의 과제와 전략에관한 소고" 249-268, 2009

      40 환경청, "국민환경의식조사" 환경청 1982

      41 정규호, "개발국가의 녹색성찰" 아르케 73-108, 2006

      42 감사원, "감사결과보고서 - 4대강살리기사업 주요시설물 품질 및 수질관리실태" 2013

      43 Wilson, J. Q., "The Politics of Regulation" Basic Books, Inc., Publishers 1980

      44 조선일보, "R&D 투자혁신, 공무원이 먼저 기득권 내려놔야"

      45 Ripley, R. B., "Congress, the Bureaucracy, and Public Policy" The Dorsey Press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3-02 통합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67 0.964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