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모바일 기반을 중심으로 한 우울증 개입 국외연구 동향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544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5년까지 모바일 기반을 중심으로 한 우울증 개입의 국외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국외 논문 41편을 수집하였고, 수집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주제, 연...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5년까지 모바일 기반을 중심으로 한 우울증 개입의 국외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국외 논문 41편을 수집하였고, 수집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주제, 연구유형, 연구대상, 연구자 전공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주제별 동향은 효과성 연구 20편(48.8%), 우울 모니터링 연구 8편(19.5%), 우울 관련 센싱 5편(12.2%), 정보제공 8편(19.5%)으로 나타났다. 연구 유형은 실험연구가 22편(53.7%)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개발연구가 5편(12.2%), 조사연구가 4편(9.8%), 기타가 9편(21.9%), 질적연구가 1편(2.4%)이었다. 연구 대상은 개관논문을 제외한 34편의 국외 논문이 분류 대상이 되었는데, 정신과 환자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12편(35.3%)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10편(29.4%)이었다. 그리고 피험자가 없는 논문은 6편(17.6%)이었고, 우울 위험성이 있는 신체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논문은 4편(11.8%), 의료진을 피험자로 한 논문은 2편(5.9%)이었다. 연구자 전공은 의학이 18편(43.9%), 융복합이 14편(34.2%), 공학이 5편(12.2%), 심리학이 3편(7.3%), 기타가 1편(2.4%) 순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연구 결과가 지니는 의미 및 시사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piled 41 international studies on mobile depression intervention from 2006 to 2015 to shed light on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and then examined the collected studies by research topic, type, and subject and researchers’ academic b...

      This study compiled 41 international studies on mobile depression intervention from 2006 to 2015 to shed light on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and then examined the collected studies by research topic, type, and subject and researchers’ academic backgrounds. The analysis on international studies indicated that research trends by topic consisted of 20 studies on effects (48.8%), 8 studies on depression monitoring (19.5%), 5 studies on depression-related sensing (12.2%), and 8 studies on providing information (19.5%). By type of study, experiments were the most common with 22 studies (53.7%), followed by 5 development research studies (12.2%), 4 survey studies (9.8%), 9 miscellaneous studies (21.9%), and 1 qualitative study (2.4%). After excluding the systematic reviews to analyze 34 studies by research subject, the research subjects in 12 studies (35.3%), or the majority of studies, were psychiatric patients, whereas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general population in 10 studies (29.4%). In addition, no research subject was identified in six studies (17.6%); patients with physical conditions at risk for depression were the research subjects in four studies (11.8%) and medical staff in two studies (5.9%). The academic specialties of the researchers consisted of medicine in 18 studies (43.9%), multidisciplinary studies in 14 studies (34.2%), engineering in 5 studies (12.2%), psychology in 3 studies (7.3%), and miscellaneous field in 1 study (2.4%).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s results were discussed in addition to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성만, "한국인의 우울증 진단기준의 특성"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6 (46): 447-452, 2007

      2 장성숙, "한국인을 위한 상담 접근 : 현실 역동 상담" 14 : 57-70, 1998

      3 오상훈, "한국의 여가연구동향에 관한 내용분석 - 관광학 분야 학술지 게재논문 중심으로 -" 관광연구소 21 (21): 3-20, 2009

      4 강진령, "한국 상담의 비교 문화적 고찰을 통한 상담의 활성화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 23-42, 2005

      5 박정선, "청소년 우울증 측정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개발" 한국웰니스학회 11 (11): 319-330, 2016

      6 정진욱, "정신건강고위험자관리체계 정립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7 김호경, "정신건강 증진과 자살예방을 위한 ICT 융합 국내외 사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5 (15): 592-606, 2015

      8 서지민, "정신간호사의 유머사용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정신간호학회 24 (24): 93-106, 2015

      9 한덕웅, "정서 경험에 따른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질병의 예측" 한국건강심리학회 7 (7): 403-427, 2002

      10 곽지은, "웹 기반 심리 평가의 타당화"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 (20): 321-337, 2008

      1 장성만, "한국인의 우울증 진단기준의 특성"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6 (46): 447-452, 2007

      2 장성숙, "한국인을 위한 상담 접근 : 현실 역동 상담" 14 : 57-70, 1998

      3 오상훈, "한국의 여가연구동향에 관한 내용분석 - 관광학 분야 학술지 게재논문 중심으로 -" 관광연구소 21 (21): 3-20, 2009

      4 강진령, "한국 상담의 비교 문화적 고찰을 통한 상담의 활성화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 23-42, 2005

      5 박정선, "청소년 우울증 측정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개발" 한국웰니스학회 11 (11): 319-330, 2016

      6 정진욱, "정신건강고위험자관리체계 정립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7 김호경, "정신건강 증진과 자살예방을 위한 ICT 융합 국내외 사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5 (15): 592-606, 2015

      8 서지민, "정신간호사의 유머사용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정신간호학회 24 (24): 93-106, 2015

      9 한덕웅, "정서 경험에 따른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질병의 예측" 한국건강심리학회 7 (7): 403-427, 2002

      10 곽지은, "웹 기반 심리 평가의 타당화"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 (20): 321-337, 2008

      11 김성우, "심전도 측정을 이용한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 개발" 한국정보통신학회 18 (18): 2008-2016, 2014

      12 김귀정,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만성질환 관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335-342, 2014

      13 손기화, "서울시 온라인 기반 우울 관리 프로그램을 통한 우울감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 우울증 자가진단 프로그램 「마음터치」를 중심으로" 6 : 55-61, 2015

      14 이미숙, "생활양식으로서의 웰빙(Well-Being):이론과 적용의 뿌리 찾기" 한국생활과학회 13 (13): 477-484, 2004

      15 정동열, "문헌정보학 조사연구법" 한국도서관협회 2007

      16 임은미, "문자채팅상담 성과의 요인 분석" 2 (2): 133-147, 2001

      17 이현주, "메타분석을 통한 우울증 개선 프로그램의 효과성"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3 (43): 257-281, 2012

      18 이희찬, "농촌관광 시장규모 추정" 한국관광학회 31 (31): 159-180, 2007

      19 김준영, "노령층을 위한 모바일 폰 헬스케어 콘텐츠 디자인 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8 (8): 19-30, 2009

      20 최규환, "관광학술지 연구논문에 관한 내용분석"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5 (15): 11-29, 2003

      21 서원석, "관광 이미지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8 (18): 299-309, 2009

      22 신현정, "건강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현황 및 개선 방안" 10 (10): 1-9, 2015

      23 오세숙, "e스포츠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웰니스학회 7 (7): 113-121, 2012

      24 Klasnja, P. V., "Using mobile & personal sensing technologies to support health behavior change in everyday life: lessons learned" 441-445, 2009

      25 박종태, "U-헬스케어를 위한 스마트폰 활용 기술 동향 및 문제점 분석" 29 (29): 45-54, 2012

      26 보건복지부, "U-Healthcare 실태조사 보고서" 2007

      27 보건복지부, "U-Health 서비스 활성화 기반 구축"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1

      28 Friedman, H. S., "The"disease-prone personality" : A meta-analytic view of the construct" 42 (42): 539-555, 1987

      29 Snyder, C. R., "The role of hopeful thinking in preventing problems and enhancing strengths" 9 (9): 249-269, 2000

      30 Ly, K. H., "Smartphone- supported versus full behavioural activation for depression: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10 (10): e0126559-, 2015

      31 Cuijpers, P., "Self-guided psychological treatment for depressive symptoms: a meta-analysis" 6 (6): e21274-, 2011

      32 Aguilera, A., "Qualitative feedback from a text messaging intervention for depression: benefits, drawbacks, and cultural differences" 2 (2): e46-, 2014

      33 Cuijpers, P., "Psychotherapy for depression in adults : a meta-analysis of comparative outcome studies" 76 (76): 909-922, 2008

      34 Markowetz, A., "Psycho-informatics : big data shaping modern psychometrics" 82 (82): 405-411, 2014

      35 Bijl, R. V., "Psychiatric morbidity, service use, and need for care in the general population : results of the netherlands mental health survey and incidence study" 90 (90): 602-607, 2000

      36 Andrews, G., "Prevalence, comorbidity, disability and service utilisation" 178 (178): 145-153, 2001

      37 Riva, G., "Personal health systems for mental health : the European projects" 163 : 496-502, 2011

      38 Ryan, R. M.,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52 (52): 141-166, 2001

      39 Ben-Zeev, D., "Next-generation psychiatric assessment : Using smartphone sensors to monitor behavior and mental health" 38 (38): 218-226, 2015

      40 Harrison, V., "Mobile mental health : review of the emerging field and proof of concept study" 20 (20): 509-524, 2011

      41 Piette, J. D., "Maximizing the value of mobile health monitoring by avoiding redundant patient reports: Prediction of depression-related symptoms and adherence problems in automated health assessment services" 15 (15): e118-, 2013

      42 Johansson, R., "Internet-based psychological treatments for depression" 12 (12): 861-870, 2014

      43 Andersson, G., "Internet-based and other computerized psychological treatments for adult depression : a meta-analysis" 38 (38): 196-205, 2009

      44 Klasnja, P., "Healthcare in the pocket : mapping the space of mobile-phone health interventions" 45 (45): 184-198, 2012

      45 Shen, N., "Finding a depression app: A review and content analysis of the depression app marketplace" 3 (3): e16-, 2015

      46 Meglic, M., "Feasibility of an eHealth service to support collaborative depression care: results of a pilot study" 12 (12): e63-, 2010

      47 Sibon, I., "Evolution of depression symptoms following stroke : a prospective study using computerized ambulatory monitoring" 33 (33): 280-285, 2012

      48 Krieger, T., "Evaluating an e-mental health program("deprexis")as adjunctive treatment tool in psychotherapy for depression : design of a pragmatic randomized controlled trial" 14 (14): 285-293, 2014

      49 Nobis, S., "Efficacy of a web-based intervention with mobile phone support in treating depressive symptoms in adults with type 1 and type 2 diabetes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38 (38): 776-783, 2015

      50 Bockting, C. L., "Disrupting the rhythm of depression using mobile cognitive therapy for recurrent depression :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esign and protocol" 11 (11): 12-21, 2011

      51 Fava, G. A,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a well-being enhancing psychotherapeutic strategy : well-being therapy" 34 : 45-63, 2003

      52 Batterham, P. J., "Developing a road map for the translation of e-mental health services for depression" 49 (49): 776-784, 2015

      53 Jean, F. A., "Daily life behaviors and depression risk following stroke a preliminary study using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26 (26): 138-143, 2013

      54 Richardsa, D., "Computer-based psychological treatments for depression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32 (32): 329-342, 2012

      55 Ly, K. H., "Behavioural activation versus mindfulness-based guided self-help treatment administered through a smartphone application: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4 (4): e003440-, 2014

      56 Sheldon, P. J., "An Authorship Analysis of Tourism Research" 18 : 473-484, 1991

      57 Van den Berg, N., "A telephone-and text-message based telemedical care concept for patients with mental health disorders-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design" 11 (11): 30-36,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7 0.7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