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화 성찰 태도 측정을 위한 설문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to Measure Reflective Attitude in/on Convers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찰적 교육에 관한 범학문적 논의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대화 성찰 태도’를 정의하고, 이를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는 설문 문항을 개발하는 것을 ...

      본 연구는 성찰적 교육에 관한 범학문적 논의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대화 성찰 태도’를 정의하고, 이를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는 설문 문항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비 단계에서 전문가 5인의 내용 타당도 점검을 거쳐 ‘사려 깊은 행동’, ‘내용·과정 성찰’, ‘전제 성찰’의 3구인을 설정하고, 총 27개 예비 검사 문항을 작성하였다. 탐색 단계에서 4개 고등학교 467명의 1~2학년 학생이 예비 문항에 응답하게 하고 그 결과를 수집하였다. 확인 단계에서 2회에 걸쳐 총 11개 고등학교 1,055명의 1~2학년 학생이 선별된 12개 본 검사 문항에 응답하게 하고 그 결과를 수집하였다. 탐색 단계에서 수집한 응답 결과에 대해 탐색적 요인 분석(최대우도법, 프로맥스 회전)을 실시한 결과, 27개 예비 검사 문항 중 12개 문항이 공통분 .30 이상, 가정된 구인에 대한 요인 부하량 .40 이상, 가정되지 않은 구인에 대한 요인 부하량 .30 미만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3요인 모형은 2요인 모형과 달리 요인 수 가정이 기각되지 않았으며(X2=45.09, df=33, p=.08) 4요인 모형에 비해 적정한 TLI 값(.979)을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확인 단계에서 최초 수집한 응답 결과(568명)에 대해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2개 문항의 신뢰도가 양호하지 않고 모형 합치도 지수 중 NFI(.849)와 CFI(.879)가 기준(.900)에 미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신뢰도에 문제가 있었던 2개 문항의 진술 방식을 수정한 후 재수집한 응답 결과(487명)에 대해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문항의 신뢰도가 양호하며 NFI(.897)가 기준에 다소 미달할 뿐, CFI(.921), GFI(.936), RMR(.037), RMSEA(.076)가 모두 기준을 충족함을 확인하였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설문 문항의 측정 결과와 관련한 시사점은 물론, 본 설문 문항을 사용하여 수행 가능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concept of Reflective Attitude in/on Conversation (RAC), based on a review of discussions in the field of reflective education, and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questionnaire to measure RAC. In the preliminary stage, th...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concept of Reflective Attitude in/on Conversation (RAC), based on a review of discussions in the field of reflective education, and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questionnaire to measure RAC. In the preliminary stage, three constructs, namely, Thoughtful Action (TA), Content/Process Reflection (CPR), and Premise Reflection (PR), were established, and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five specialists. In the exploratory stage, 467 students, who were in their 1st or 2nd year of school, were sampled from four high schools. In the confirmatory stage, 1,055 students who were in their 1st or 2nd year of school were sampled from 11 high schools across our two sessions.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 that 12 among 27 preliminary items have communality greater than 0.3, factor loading to the hypothesized construct greater than 0.4, and factor loading to un-hypothesized constructs lower than 0.3. Further, the 3-factor-model’s Qui-square test does not reject the null hypothesis that there are only three factors, while the 2-factor-model’s Qui-square test rejects the null hypothesis that there are only two factors. The 3-factor-model also shows suitable TLI value (.979), while the 4-factor-model revealed a highly saturated TLI value.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our first confirmatory stage samples (568 students), show that two items among 12 are not reliable, and NFI (.849) and CFI (.879), among five model fitness indices, do not satisfy their criteria (>.900). After revising the two unreliable items,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our second confirmatory stage samples (487 students), reveal that all the 12 items are reliable, and although NFI (.897) still does not satisfy the criterion, CFI (.912), GFI (.936), RMR (.037), and RMSEA (.076) satisfy their criteria. In the conclusion, we suggest some implications of measured results, and some further research direc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창균, "화자의 스피치 수행에 대한 반성적 사고 양상 연구" 한국화법학회 (30) : 217-248, 2015

      2 Dewey, J., "하우 위 싱크: 과학적 사고의 방법과 교육" 학이시습 2011

      3 이순묵, "요인분석의 기초" 교육과학사 2000

      4 박경, "심리평가의 이해와 활용" 학지사 2017

      5 최홍원, "시조의 성찰적 사고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6 최홍원, "성찰적 사고의 문학교육적 구도 -도산십이곡과 어부사시사를 대상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21) : 385-423, 2006

      7 장지혜, "성찰적 사고를 위한 비평적 에세이 쓰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8 박영민, "반성적 쓰기를 활용한 작문 평가 방안" 한국국어교육학회 (73) : 33-60, 2006

      9 박영민, "반성적 쓰기가 중학생의 설명문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교육학회 (125) : 137-162, 2008

      10 김정란, "반성적 말하기 지도 방법 연구 -ALACT 교수 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화법학회 (25) : 75-101, 2014

      1 박창균, "화자의 스피치 수행에 대한 반성적 사고 양상 연구" 한국화법학회 (30) : 217-248, 2015

      2 Dewey, J., "하우 위 싱크: 과학적 사고의 방법과 교육" 학이시습 2011

      3 이순묵, "요인분석의 기초" 교육과학사 2000

      4 박경, "심리평가의 이해와 활용" 학지사 2017

      5 최홍원, "시조의 성찰적 사고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6 최홍원, "성찰적 사고의 문학교육적 구도 -도산십이곡과 어부사시사를 대상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21) : 385-423, 2006

      7 장지혜, "성찰적 사고를 위한 비평적 에세이 쓰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8 박영민, "반성적 쓰기를 활용한 작문 평가 방안" 한국국어교육학회 (73) : 33-60, 2006

      9 박영민, "반성적 쓰기가 중학생의 설명문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교육학회 (125) : 137-162, 2008

      10 김정란, "반성적 말하기 지도 방법 연구 -ALACT 교수 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화법학회 (25) : 75-101, 2014

      11 서종훈, "말하기 수행에 드러난 반성적 사고 양상 - 고1 학습자들의 공적인 자리에서의 말하기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3) : 239-260, 2009

      12 Bain, J. D., "Using journal writing to enhance student teachers’ reflectivity during field experience placements" 5 (5): 51-73, 1999

      13 Mezirow, J., "Transformative dimensions of adult learning" Jossey-Bass 1991

      14 Schön, D. A., "The Reflective Practitioner :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Basic Books 1983

      15 Backstrom, C. H., "Survey research"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63

      16 Kreber, C., "Reflection on teaching and epistemological structure : reflective and critically reflective processes in ‘pure/soft’ and ‘pure/hard’ fields" 57 (57): 509-531, 2009

      17 McAlpine, L., "Reflection on teaching : Types and goals of reflection" 10 (10): 337-363, 2004

      18 Hatton, N., "Reflection in teacher education : Towards definition and implementation" 11 (11): 33-49, 1995

      19 Rogers, R. R., "Reflection in higer education : A concept analysis" 26 (26): 37-57, 2001

      20 Wald, H. S., "Fostering and evaluating reflective capacity in medical education : developing the REFLECT rubric for assessing reflective writing" 87 (87): 41-50, 2012

      21 Mezirow, J., "Fostering Critical Reflection in Adulthood" Jossey-Bass 1-20, 1990

      22 Larrivee, B., "Development of a tool to assess teachers’ level of reflective practice" 9 (9): 341-360, 2008

      23 Kember, D.,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25 (25): 381-395, 2000

      24 Jay, J. K., "Capturing complexity : A typology of reflective practice for teacher education" 18 (18): 73-85, 2002

      25 Lau, K., "Assessing reflection in English enhancement courses : teachers’ views and development of a holistic framework" 41 (41): 854-868, 2015

      26 Kember, D., "A four-category scheme for coding and assessing the level of reflection in written work" 33 (33): 369-379, 2008

      27 Allport, G. W., "A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Clark university press 798-844, 193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2 1.606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