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상자산거래소에 대한 최근의 규제 동향과 개선과제 -이용자 보호의 측면을 중심으로- = The Recent Regulatory Environment of Virtual Asset Exchanges and Its Improvement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Prote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75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4차 산업혁명 물결의 가운데서 블록체인과 가상자산은 새로운 지급결제수단과 금융투자상품으로 급부상하였다. 특히,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비대면 거래가 활성화 된 이후에는 세계적으로 ...

      4차 산업혁명 물결의 가운데서 블록체인과 가상자산은 새로운 지급결제수단과 금융투자상품으로 급부상하였다. 특히,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비대면 거래가 활성화 된 이후에는 세계적으로 이를 상용화하기 위한 개발 및 연구가 계속되어 오고 있고, 우리나라도 중앙은 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를 개발하기 위하여 정부와 대기업이 협업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화폐 기술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가상자산에 관하여는 종래부터 부정적인 정책 기조로 일관하고 있어 가상자산 거래 이용자들이 법적 보호에서 소외되고 있는 실정이다.
      2020년, 특정금융정보법이 개정되면서 가상자산사업자의 법적 정의와 신고제도 등이 마련되어 이용자 보호를 위한 입법적 배려가 시작되는 듯 하였으나, 그 내용이 자금세탁방지 등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큰 틀에서의 이용자 피해구제 방안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라 하겠다. 특히, 한국거래소, 한국예탁결제원, 증권금융회사 등으로 그 기능적 역할이 분화되어 있는 기존의 증권시장과 달리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거래소가 상장에서부터 예탁, 매매, 결제 등 거의 모든 업무를 수행하고 있어 시장감시 및 상호견제 기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가상자산거래소와 이용자 간 이해상충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존하며, 실제로 부실코인의 상장, 허위 공시, 시세조종행위 등의 불공정거래행위로 인해 심각한 이용자 피해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금융당국이 제시한 가상자산거래소 규제 가이드라인과 특정금융정보법 및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4건의 가상자산 업권법을 연구목적의 범위 내에서 검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보다 앞서 가상자산 거래와 이용자 보호 체계를 수립한 미국, EU, 일본의 법제를 분석하여 이상적인 가상자산거래소 규제방안을 도출함으로써 이용자 보호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국내에서도 이용자의 신뢰를 근간으로 하여 가상자산 거래 전반에 관한 법제가 정비되고, 공적규제를 토대로 한 자율규제 시스템이 구축되어 가상자산 시장 전반의 건전성과 효율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mids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ve, blockchain and virtual assets have emerged as new means of payment and financial investment instruments. In particular, after the spread of Covid-19, non-face-to-face transactions were activated, ...

      In the mids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ve, blockchain and virtual assets have emerged as new means of payment and financial investment instruments. In particular, after the spread of Covid-19, non-face-to-face transactions were activated, the government and large corporations are working together to develop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issued by the central bank. However, virtual assets, which can be said to be the predecessor of digital currency technology, have always been negative policy tone, leaving users of virtual asset transactions out of legal protection.
      In 2020, 「Act on Reporting and Utilization of Specified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was revised to establish legal definitions and reporting systems for virtual asset operators, and legislative considerations for user protection began. In particular, unlike the securities market, which has different functions such as the Korea Exchange, the Korea Securities Depository, and the Securities Finance Co., Ltd. In the virtual asset market, virtual asset exchanges carry out all kinds of businesses such as listing, deposit, trading, and settlement, and do not have market monitoring and mutual checks. As a resul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onflicts of interest between virtual asset exchanges and users, and unfair practices such as listing bad coins, false disclosure, and manipulation of the market are causing economic losses to users.
      This paper reviewed the regulatory guidelines for virtual asset exchanges proposed by the financial authorities, 「Act on Reporting and Utilization of Specified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 and four separate laws about virtual asset industry currently pending in Congress. Based on this, the U.S., EU and Japan, which have established virtual asset transactions and user protection systems in advance of Korea, are examined to find effective exchange regulations and user protection measur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domestic virtual asset market. Ultimately, it is hoped that the overall legislation on virtual asset transactions will be established based on user trust in Korea, and that self-regulation systems based on public regulations will contribute to the overall integrity and efficiency of the virtual asset marke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계섭, "한국금융투자협회의 자율규제업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연구소 42 : 2008

      2 Xangle․Chainalysis, "한국 가상자산 시장 보고서" 2020

      3 조원희, "특금법의 미비점과 개선방안" 2021

      4 정승기, "증권형 토큰의 발행 및 거래와 관련한 외국환거래법상 쟁점에 대한 검토" 한국증권법학회 20 (20): 279-311, 2019

      5 최실근, "주권 신규상장법인의 상장 전후 경영 및 지배구조의 변화" 한국기업지배구조센터 (45) : 2009

      6 국무조정실, "정부, 가상통화 투기근절을 위한 특별대책 마련"

      7 국무조정실, "정부, 가상통화 관련 긴급 대책 수립"

      8 임재연, "자본시장법" 박영사 2020

      9 조영은, "일본의 가상자산(Virtual Assets)이용자 보호 규율 강화" 국회입법조사처 2020

      10 임병화, "일본 암호자산 법제도와 그 시사점에 관한 연구" 금융감독원 7 (7): 76-132, 2020

      1 윤계섭, "한국금융투자협회의 자율규제업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연구소 42 : 2008

      2 Xangle․Chainalysis, "한국 가상자산 시장 보고서" 2020

      3 조원희, "특금법의 미비점과 개선방안" 2021

      4 정승기, "증권형 토큰의 발행 및 거래와 관련한 외국환거래법상 쟁점에 대한 검토" 한국증권법학회 20 (20): 279-311, 2019

      5 최실근, "주권 신규상장법인의 상장 전후 경영 및 지배구조의 변화" 한국기업지배구조센터 (45) : 2009

      6 국무조정실, "정부, 가상통화 투기근절을 위한 특별대책 마련"

      7 국무조정실, "정부, 가상통화 관련 긴급 대책 수립"

      8 임재연, "자본시장법" 박영사 2020

      9 조영은, "일본의 가상자산(Virtual Assets)이용자 보호 규율 강화" 국회입법조사처 2020

      10 임병화, "일본 암호자산 법제도와 그 시사점에 관한 연구" 금융감독원 7 (7): 76-132, 2020

      11 한국금융연구원, "일본 내 가상화폐 교환업체에 대한 규제 관련 논의" 28 (28): 2019

      12 Xangle Research, "일본 가상자산 시장 규제와 정책" Xangle 2020

      13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 가상자산 거래소 신고 정상화법 발의"

      14 곽선호, "유럽연합(EU)의 암호자산 규제 법안 주요 내용" 한국금융연구원 30 (30): 2021

      15 한국블록체인협회, "암호화폐 거래소 자율규제안 설명회"

      16 배승욱, "미국의 가상통화 규제 및 시사점" 법학연구소 42 (42): 167-208, 2018

      17 김의석, "디지털화폐와 화폐 변천과정에 관한 문헌적 연구: 동적패턴, CBDC, 리브라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 25 (25): 109-126, 2020

      18 금융위원회, "내국인을 대상으로 영업하는 외국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하여 신고 대상임을 통지하였습니다"

      19 금융위원회, "기관별 추진현황 점검을 위한 「가상통화 관계기관 합동 TF」개최"

      20 김범준, "금융투자자 보호를 위한 가상자산(Virtual Assets)의 법제화 방안" 한국법학회 21 (21): 47-78, 2021

      21 이원삼, "가상화폐의 의미와 법적지위 - 비트코인을 중심으로 -" 한국상사판례학회 31 (31): 279-308, 2018

      22 권용수, "가상통화의 합리적 규제 방안에 관한 고찰 -일본의 규제 현황을 바탕으로-" 법학연구소 (39) : 83-126, 2018

      23 오성근, "가상통화 인정법제에 관한 연구 ―일본의 가상통화법제를 중심으로―" 한국증권법학회 19 (19): 233-277, 2018

      24 심인숙, "가상통화 관련 파생상품거래 등에 대한 미국 연방 상품거래법상 쟁점에 관한 고찰-연방상품규제당국(CFTC)의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중앙법학회 21 (21): 127-192, 2019

      25 금융위원회, "가상통화 관계기관 합동TF」개최 – 가상통화 현황 및 대응방향"

      26 이희종, "가상자산의 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 한국법정책학회 21 (21): 137-166, 2021

      27 국회정무위원회, "가상자산업법안(이용우의원안) 가상자산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안(김병욱의원안) 가상자산 거래에 관한 법률안(양경숙의원안) 전자금융거래법 일부개정법률안(강민국의원안) 검토보고" 2021

      28 이용우, "가상자산업법안"

      29 김병욱, "가상자산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안"

      30 국무조정실, "가상자산사업자 신고제도 안착에 중점…거래투명성 강화한다"

      31 이지언, "가상자산거래업, 이해상충 규제의 필요성" 한국금융연구원 30 (30): 2021

      32 송화윤, "가상자산 시장의 자율규제 활성화를 위한 법적 연구―불공정거래 규제를 중심으로―" 한국증권법학회 22 (22): 183-210, 2021

      33 송화윤, "가상자산 시장 불공정거래 규제에 관한 법적 연구" 은행법학회 13 (13): 323-363, 2020

      34 이순호, "가상자산 규제감독방향" 한국금융연구원 (11) : 2021

      35 금융위원회, "가상자산 관련 「특정금융정보법 시행령」개정안 입법예고[11.3.~12.14.]"

      36 양경숙, "가상자산 거래에 관한 법률안"

      37 권은희, "가상자산 거래 및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안"

      38 국무조정실, "가상자산 거래 관리방안"

      39 금융위원회, "「특정금융정보법 시행령」입법예고[6.17.~7.26.]"

      40 금융위원회, "「가상통화 관련 자금세탁방지 가이드라인」개정"

      41 FinCEN, "Requirements for Certain Transactions Involving Convertible Virtual Currency or Digital Assets"

      42 SEC, "Release No. 81207; Report of Investigation Pursuant to Section 21(a) of the Securities Exchange Act of 1934: The DAO" 2017

      43 European Commission, "REGULATION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n Markets in Crypto-assets, and amending Directive (EU) 2019/1937"

      44 김범준, "ICO(Initial Coin Offering) 토큰 발행인의 증권법상 책임과 임원배상책임보험(D&O Insurance)의 역할―ICO의 규제와 투자자 보호의 측면에서―" 한국증권법학회 22 (22): 145-181, 2021

      45 국무조정실, "ICO 실태조사 결과 및 향후 대응방향"

      46 "H.R.8373 – Digital Commodity Exchange Act of 2020"

      47 "H.R.1602 – Eliminate Barriers to Innovation Act of 2021"

      48 FATF, "Guidance for a Risk-Based Approach to Virtual Assets and 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s"

      49 European Commission, "Digital Finance Strategy for the EU"

      50 European Commission, "Digital Finance Package: Commission sets our new, ambitious approach to encourage responsible innovation to benefit consumers and businesses"

      51 European Commission,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IMPACT ASSESSMENT Accompanying the document Proposal fora Regulation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on Markets in Crypto-assets and amending Directive (EU) 2019/1937"

      52 "CFTC Release: pr7231-15, CFTC Orders Bitcoin Options Trading Platform Operator and its CEO to Cease Illegally Offering Bitcoin Options and to Cease Operating a Facility for Trading or Processing of Swaps without Registering"

      53 FinCEN, "Application of FinCEN’s Regulations to Persons Administering, Exchanging, or Using Virtual Currencies"

      54 KRX 한국거래소, "2021 유가증권시장 상장심사 가이드북"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0-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ongik law revie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9 0.69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