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초고압 처리한 좁쌀약주의 저장 중 미생물수, 효소활성 및 품질변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0592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좁쌀약주를 열 또는 초고압으로 처리한 후 10~37℃에서 64일간 저장하면서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수, 효소활성 및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열 또는 초고압처리구의 일반세균 수는 10℃와 25℃에서 약 102 CFU/mL로 저장기간 동안 큰 변화가 없었지만 37℃ 저장에서 열처리구와 상온 초고압처리구는 저장 55일, 고온 초고압처리구는 저장 25일 이후에 검출되지 않았다. 열 또는 초고압 처리구의 젖산균과 효모는 처리 직후 완전히 사멸된 후 모든 저장온도에서 저장기간 내내 검출되지 않았다. α-Amylase의 상대활성은 10℃에서 저장하는 동안 무처리구와 상온 초고압처리구는 약 100% 이상으로 높은 값을 유지하였으나 열처리구와 고온 초고압처리구는 약 40% 이하로 낮은 값을 유지하였다. 반면 25℃와 37℃에서는 무처리구와 상온 초고압처리구의 상대활성이 급격하게 감소하여 열처리구 및 고온 초고압처리구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무처리구와 상온 초고압처리구의 glucoamylase 활성은 10℃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폭이 더 컸다. 열처리구와 고온 초고압 처리구는 10℃와 25℃에서는 저장기간에 따라 활성이 다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37℃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열처리구와 초고압처리구의 pH는 모든 저장온도에서 저장기간 동안 변화가 거의 없었다. 열처리구와 초고압처리구의 탁도는 저장기간 동안 저장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무처리구의 탁도는 저장온도 25℃에서 저장 34일 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 열처리구와 초고압처리구의 환원당 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저장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무처리구의 환원당 함량은 저장온도 25℃에서 저장 34일 후 부터 급격히 감소하였다.
      번역하기

      좁쌀약주를 열 또는 초고압으로 처리한 후 10~37℃에서 64일간 저장하면서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수, 효소활성 및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열 또는 초고압처리구의 일반세균 수는 10℃와 25℃...

      좁쌀약주를 열 또는 초고압으로 처리한 후 10~37℃에서 64일간 저장하면서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수, 효소활성 및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열 또는 초고압처리구의 일반세균 수는 10℃와 25℃에서 약 102 CFU/mL로 저장기간 동안 큰 변화가 없었지만 37℃ 저장에서 열처리구와 상온 초고압처리구는 저장 55일, 고온 초고압처리구는 저장 25일 이후에 검출되지 않았다. 열 또는 초고압 처리구의 젖산균과 효모는 처리 직후 완전히 사멸된 후 모든 저장온도에서 저장기간 내내 검출되지 않았다. α-Amylase의 상대활성은 10℃에서 저장하는 동안 무처리구와 상온 초고압처리구는 약 100% 이상으로 높은 값을 유지하였으나 열처리구와 고온 초고압처리구는 약 40% 이하로 낮은 값을 유지하였다. 반면 25℃와 37℃에서는 무처리구와 상온 초고압처리구의 상대활성이 급격하게 감소하여 열처리구 및 고온 초고압처리구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무처리구와 상온 초고압처리구의 glucoamylase 활성은 10℃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폭이 더 컸다. 열처리구와 고온 초고압 처리구는 10℃와 25℃에서는 저장기간에 따라 활성이 다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37℃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열처리구와 초고압처리구의 pH는 모든 저장온도에서 저장기간 동안 변화가 거의 없었다. 열처리구와 초고압처리구의 탁도는 저장기간 동안 저장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무처리구의 탁도는 저장온도 25℃에서 저장 34일 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 열처리구와 초고압처리구의 환원당 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저장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무처리구의 환원당 함량은 저장온도 25℃에서 저장 34일 후 부터 급격히 감소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xtail Millet Yakju were treated with heat (65℃/15 min) or high hydrostatic pressure (25℃ (RT) and 65℃ (HT)/400 ㎫/10 min), and stored for 64 days at 10℃, 25℃ and 37℃. Changes in microbial counts, enzyme activity and quality of Yakju during storage were measured. Total viable cells were about 10² CFU/mL, and remained almost constant during storage at 10℃ and 25℃, while decreased significantly at 37oC, and undetected after 55 days of storage in heat- and pressure(RT)-treated, but after 25 days in pressure(HT)-treated Yakju.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in heat- and pressure-treated Yakju were not detected during storage. The relative activities of α-amylase in heat- and pressure(RT)-treated were more than 100%, while those in pressure(HT)-treated were less than 40% during storage of 64 days at 10℃. However, at 25℃ and 37℃ the relative activities in untreated and pressure(RT)-treated were decreased greatly and then reached at the point of the activities of heat- and pressure(HT)-treated. The relative activities of glucoamylase in untreated and pressure(RT)-treated were decreased as the increase of the storage temperature during storage, while those in heat- and pressure(HT)-treated increased slightly as the increase of storage period at 10℃ and 25℃, and had no change at 37℃. pH in heat- and pressure-treated had almost no change. Turbidity and reducing sugar in heat- and pressure-treated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storage temperature during storage.
      번역하기

      Foxtail Millet Yakju were treated with heat (65℃/15 min) or high hydrostatic pressure (25℃ (RT) and 65℃ (HT)/400 ㎫/10 min), and stored for 64 days at 10℃, 25℃ and 37℃. Changes in microbial counts, enzyme activity and quality of Yakju dur...

      Foxtail Millet Yakju were treated with heat (65℃/15 min) or high hydrostatic pressure (25℃ (RT) and 65℃ (HT)/400 ㎫/10 min), and stored for 64 days at 10℃, 25℃ and 37℃. Changes in microbial counts, enzyme activity and quality of Yakju during storage were measured. Total viable cells were about 10² CFU/mL, and remained almost constant during storage at 10℃ and 25℃, while decreased significantly at 37oC, and undetected after 55 days of storage in heat- and pressure(RT)-treated, but after 25 days in pressure(HT)-treated Yakju.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in heat- and pressure-treated Yakju were not detected during storage. The relative activities of α-amylase in heat- and pressure(RT)-treated were more than 100%, while those in pressure(HT)-treated were less than 40% during storage of 64 days at 10℃. However, at 25℃ and 37℃ the relative activities in untreated and pressure(RT)-treated were decreased greatly and then reached at the point of the activities of heat- and pressure(HT)-treated. The relative activities of glucoamylase in untreated and pressure(RT)-treated were decreased as the increase of the storage temperature during storage, while those in heat- and pressure(HT)-treated increased slightly as the increase of storage period at 10℃ and 25℃, and had no change at 37℃. pH in heat- and pressure-treated had almost no change. Turbidity and reducing sugar in heat- and pressure-treated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storage temperature during stor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류제조교본" 167-169, 1997

      2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426-428, 1959

      3 "Quality changes of non- sterilized Yakju during storage and its shelf-life estimation" 1997

      4 "Quality assessment of Yakju brewed with conventional Nuruk" 78-89, 1994

      5 "Optimization of heat sterilization condition for Yakju" 137-143, 1998

      6 "On the changes of amylase activity and saccharifying ability in Takjoo mashes during the process of brewing" 141-146, 1968

      7 "Improvement of shelf-life of Yakju by membrane filtration" 1134-1139, 1998

      8 "Effects of high pressure on inactivation of enzymes and microorganisms in non-pasteurized rice wine" 1025-1030, 1990

      9 "Effect of high pressure on shelf-lif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ngelica keiskei juice" 105-108, 1996

      10 "Determination of the shelf-life of pasteurized Korean rice wine" 156-163, 1995

      1 "주류제조교본" 167-169, 1997

      2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426-428, 1959

      3 "Quality changes of non- sterilized Yakju during storage and its shelf-life estimation" 1997

      4 "Quality assessment of Yakju brewed with conventional Nuruk" 78-89, 1994

      5 "Optimization of heat sterilization condition for Yakju" 137-143, 1998

      6 "On the changes of amylase activity and saccharifying ability in Takjoo mashes during the process of brewing" 141-146, 1968

      7 "Improvement of shelf-life of Yakju by membrane filtration" 1134-1139, 1998

      8 "Effects of high pressure on inactivation of enzymes and microorganisms in non-pasteurized rice wine" 1025-1030, 1990

      9 "Effect of high pressure on shelf-lif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ngelica keiskei juice" 105-108, 1996

      10 "Determination of the shelf-life of pasteurized Korean rice wine" 156-163, 1995

      11 "Changes in microorganisms enzymes and texture of Dongchimi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596-601, 1998

      12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meju during fermentation" 27 : 56-62,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