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약개발 프로젝트 선정평가 영향 요인 분석 :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지원과제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112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신약개발은 오랜 기간의 개발 기간과 낮은 성공률이 존재하는 고위험 지식 집약적 산업이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투자 결정의 민감도를 높이게 되어 결국 투자가 위축되어 신약개발 과정에 죽음의 계곡이라는 영역을 만들어 투자의 재순환이 이루어지기 어렵게 된다. 정부는 이러한 간극을 없애기 위하여 신약개발 전주기 개발 단계를 지원하는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단을 발족하게 된다. 2011년 출범한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은 국내 우수한 신약개발 프로젝트 발굴하고 지원하여 기술이전, 특허, 논문 등 여러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신약개발 프로젝트 선정 평가시 영향을 끼치는 평가 요인을 분석하고자,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의 1단계 사업 지원 과제의 선정에 영향을 끼치는 평가 요인을 분석했다. 또한, 지원과제의 특성별로 그룹화하여 과제 선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 평가요인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신약개발 프로젝트 평가를 받을 과제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뿐만 아니라, 평가 요인의 개선에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 총 165개의 과제들 중 선정된 과제는 44개의 과제이며 121개의 과제는 탈락을 하였다. 우선 전체 집단에서 선정에 영향을 끼친 평가 요인은 기술의 우위성, 작용기전, 미충적 수요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과제 선정에 유의한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약물의 형태에 따라 바이오와 非바이오 그룹으로, 약물의 개발단계에 따라 임상 단계 이전과 임상 단계로, 연구 기관에 따라 산업계와 비산업계로, 약물의 혁신성에 따라 First-in-class 와 비-First-in-class 로 나누어 평가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제의 특성별로 각기 다른 평가 요인이 프로젝트 선정에 영향을 끼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신약개발은 오랜 기간의 개발 기간과 낮은 성공률이 존재하는 고위험 지식 집약적 산업이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투자 결정의 민감도를 높이게 되어 결국 투자가 위축되어 신약개발 과...

      신약개발은 오랜 기간의 개발 기간과 낮은 성공률이 존재하는 고위험 지식 집약적 산업이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투자 결정의 민감도를 높이게 되어 결국 투자가 위축되어 신약개발 과정에 죽음의 계곡이라는 영역을 만들어 투자의 재순환이 이루어지기 어렵게 된다. 정부는 이러한 간극을 없애기 위하여 신약개발 전주기 개발 단계를 지원하는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단을 발족하게 된다. 2011년 출범한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은 국내 우수한 신약개발 프로젝트 발굴하고 지원하여 기술이전, 특허, 논문 등 여러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신약개발 프로젝트 선정 평가시 영향을 끼치는 평가 요인을 분석하고자,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의 1단계 사업 지원 과제의 선정에 영향을 끼치는 평가 요인을 분석했다. 또한, 지원과제의 특성별로 그룹화하여 과제 선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 평가요인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신약개발 프로젝트 평가를 받을 과제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뿐만 아니라, 평가 요인의 개선에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 총 165개의 과제들 중 선정된 과제는 44개의 과제이며 121개의 과제는 탈락을 하였다. 우선 전체 집단에서 선정에 영향을 끼친 평가 요인은 기술의 우위성, 작용기전, 미충적 수요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과제 선정에 유의한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약물의 형태에 따라 바이오와 非바이오 그룹으로, 약물의 개발단계에 따라 임상 단계 이전과 임상 단계로, 연구 기관에 따라 산업계와 비산업계로, 약물의 혁신성에 따라 First-in-class 와 비-First-in-class 로 나누어 평가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제의 특성별로 각기 다른 평가 요인이 프로젝트 선정에 영향을 끼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ew drug development is a high risk knowledge intensive industry with long development periods and low success rates.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raises the sensitivity of investment decisions process, which in turn shrinks investment in drug development industry and it sets up the death valley in the process. By a result, In order to overcome the death valley, Korean government launch a new drug development supporting program. One of an outstanding program is Korea Drug Development Fund, which established in 2011 to support Korean novel and innovative drug development communities. Korea Drug Development Fund has been showing an remarkable achievements in global technology transfer and generating patents and SCI pap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new drug development program. In addition, each program is group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and is analyzed factors that potentially effect the selec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44 projects were selected and 121 project were not out of 165 projects which have applied to first period of Korea Drug Development Fund.
      First of all, the evaluation factors that influencing the selection in the entire project were positive comments on technology, mechanism of action and medical unmet needs by investment and science committee. Secondl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drug, development stages, research institutes, and radicalness of innovation, the factors that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the project have shown differently. It means different factors influence the project sele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s.
      The study does not only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new drug projects which apply to new drug program, but also provide implication for improvement of evaluation process and factors in the field of new drug development and research communities.
      번역하기

      New drug development is a high risk knowledge intensive industry with long development periods and low success rates.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raises the sensitivity of investment decisions process, which in turn shrinks investment in drug develop...

      New drug development is a high risk knowledge intensive industry with long development periods and low success rates.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raises the sensitivity of investment decisions process, which in turn shrinks investment in drug development industry and it sets up the death valley in the process. By a result, In order to overcome the death valley, Korean government launch a new drug development supporting program. One of an outstanding program is Korea Drug Development Fund, which established in 2011 to support Korean novel and innovative drug development communities. Korea Drug Development Fund has been showing an remarkable achievements in global technology transfer and generating patents and SCI pap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new drug development program. In addition, each program is group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and is analyzed factors that potentially effect the selec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44 projects were selected and 121 project were not out of 165 projects which have applied to first period of Korea Drug Development Fund.
      First of all, the evaluation factors that influencing the selection in the entire project were positive comments on technology, mechanism of action and medical unmet needs by investment and science committee. Secondl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drug, development stages, research institutes, and radicalness of innovation, the factors that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the project have shown differently. It means different factors influence the project sele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s.
      The study does not only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new drug projects which apply to new drug program, but also provide implication for improvement of evaluation process and factors in the field of new drug development and research commun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제2장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4
      • 1. 투자와 평가 4
      • 2. 평가 요인 7
      • 제1장 서론 1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제2장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4
      • 1. 투자와 평가 4
      • 2. 평가 요인 7
      • 3. 과제의 특성별 그룹 9
      • 1) 약물의 형태 9
      • 2) 약물의 개발단계 9
      • 3) 연구기관 10
      • 4) 약물의 혁신성 10
      • 4. 정부의 다부처 사업의 진화 11
      • 1) 국가주도 다부처 R&D 사업 11
      • 2)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13
      • 3)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성과 14
      • 4) 혁신형 글로벌 신약개발사업 15
      • 5) 혁신형 글로벌 신약개발사업 평가요인 16
      • 제3장 연구 방법 18
      • 1. 연구대상 18
      • 2. 분석변수 19
      • 1) 전체 분석 변수 19
      • 2) 프로젝트 특성변수 20
      • 3) 선정 및 탈락 요인 변수 20
      • 3. 분석방법 24
      • 제4장 연구결과 27
      • 제1절 선정 및 탈락 현황 분석 27
      • 1. 전체 대상 과제의 현황 특성 27
      • 1) 사업단 지원과제 전체 27
      • 2. 세부그룹별 과제 현황 특성 29
      • 1) 세부 그룹별 과제 현황 29
      • a. 약물의 형태: 바이오와 非바이오 29
      • b. 약물의 개발단계: 임상이전 단계와 임상 단계 29
      • c. 연구책임자의 소속기관: 산업계 非산업계 30
      • d. 약물의 혁신성: First-in-class 非First-in-class 30
      • 2) 세부 그룹별 과제 탈락요인 31
      • a. 약물의 형태별 탈락요인 31
      • b. 약물의 개발단계별 탈락요인 32
      • c. 연구책임자의 소속기관별 탈락요인 33
      • d. 약물의 혁신성별 탈락요인 34
      • 제2절 과제 특성별 선정 및 탈락 요인 분석 37
      • 1. 전체 과제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37
      • 2. 세부 그룹별 로지스틱 회귀분석 40
      • 1) 바이오 그룹과 非바이오 그룹 비교 40
      • 2) 임상 이전 단계 그룹과 임상 단계 그룹 비교 42
      • 3) 산업계 그룹과 非소산업계 그룹 비교 45
      • 4) First-in-class 그룹과 非First-in-class 그룹 비교 48
      • 3. 전체 및 세부 집단별 선정 및 탈락 요인 요약 51
      • 제5장 고찰 및 결론 52
      • 1. 연구 결과 요약 및 해석 52
      • 2. 연구의 한계 55
      • 참고문헌 57
      • ABSTRACT 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