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Botrytis cinerea에 의한 페페로미아 잿빛곰팡이병 = Gray Mold on Peperomia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592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북 전주시 화원에서 재배중인 페페로미아 화분 재배에서 Botrytis cinerea에 의한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였다. 주요 병징은 잎과 잎자루에 수침상, 변색, 고사의 병징이 발생하였다. 병원균 접...

      전북 전주시 화원에서 재배중인 페페로미아 화분 재배에서 Botrytis cinerea에 의한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였다. 주요 병징은 잎과 잎자루에 수침상, 변색, 고사의 병징이 발생하였다. 병원균 접종 3일후 잎과 잎자루에 수침증상이 나타났으며, 7일부터 병반부위에 많은 쟂빛색의 분생포자를 형성하였다. 다습조건에서 2주가 경과하면 병반부가 물러지고 부패되어 고사하였다. PDA 배지에서 균총은 초기에는 회갈색으로 생장하여 20일경에는 편편하고, 부정형의 균핵을 형성하였다. 단 포자의 분생포자는 난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이고, 분생포자의 색은 무색 또는 옅은 갈색이고, 크기는 6~15 × 4~10 μm이었다. 페페로미아 쟂빛곰팡이병의 병원균은 병징과 병원성,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종합한 결과 B. cinerea으로 확인되었으며, 페페로미아 잿빛곰팡이병으로 명명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Peperomia (Peperomia argyreia) is native to South America, it is getting popular in Korea because Peperomia is a delightful and easy-to-grow plant. Gray mold caused by Botrytis cinerea occurred on Peperomia in flower shop in Jeonju, Korea. Di...

      Although Peperomia (Peperomia argyreia) is native to South America, it is getting popular in Korea because Peperomia is a delightful and easy-to-grow plant. Gray mold caused by Botrytis cinerea occurred on Peperomia in flower shop in Jeonju, Korea. Disease symptoms first appeared as brown, water-soaked spots and later developed into brown rot on the leaves and petioles of infected plants. This diseased plant wilted and eventually died. The disease agent was isolated from symptomatic leaves and petioles on PDA for fungal morphological study and confirmed its pathogenicity based on Koch`s postulates. Many grayish brown conidia spores were observed on the lesions under humid conditions and numerous sclerotia were formed on PDA media. From morphological study, conidia were one celled, were mostly ellipsoidal or ovoid in shape, were colorless to pale brown in color, and were 6~15 × 4~10 μm in size. According to pathogenicity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d fungus, the causal fungus was identified as B. cinerea and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Gray mold of Peperomia by B. cinerea in Korea. Therefore, “Gray mold of Peperomia” was proposed to the name of this diseas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