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philanthropy : focusing on Seoul citize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9152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복지국가위기론 이후 제기된 민간사회복지와의 역할분담, 특별히 자원영역에 대한 관심이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 총체적 복지수요의 총량확대와 다양화에 대응하기 위한 절실한 대안으로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민간자원을 사회복지영역에 동원하기 위한 연구와 방법론의 개발이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으며, 일반시민들의 주된 참여형태인 자원봉사와 금전적 기부에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이미 자원봉사나 기부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거나, 정책적 개입이 용이하지 않은 개인의 동기가 참여에 주는 영향들을 살피는 것, 지속성을 높이기 위한 만족도 연구들이 그 주류를 이루어왔다. 즉, 개인이 자신이 소유한 자원인 물질과 시간을, 사회복지분
      야에 기부하기로 결정하는 것에 관하여 체계적이고 인과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전적 기부와 자원봉사가 모두 개인의 자원이라는 측면에서 기부(philanthropy)라는 상위개념으로 묶고 이를 단계적 모델로 설정하여 기부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각 단계 중 첫 번째 단계인 배경요인은 동시대의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았고, 두 번째 단계인 개인적 요인을 개인요인으로서의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태도요인으로 설정한 기부태도요인으로 나누었고, 사회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는 수준과 기부에 대한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보상체계에 대한 선호도를 세 번째 단계인 상황요인을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인은 기부결정으로 기부경험과 의향의 두 가지 하위범주를 가지도록 하였다. 이를 실증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표본추출과정에 의해 표집된 서울시민 198명을 대상으로 전화설문을 실시하였다. 기부결정에 각 요인들이 미치는 설명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고, 단계별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부현황을 살펴보면, 2000년 한 해 동안 물질적 기부의 경험이 있는 경 우는 전체 응답자의 71.2%였으나, ARS기부를 제외하면 전체 응답자의 41.4%였고, 시간적 기부의 경험은 전체 응답자의 13.6%였다. 2001년도의 기부의향은 물질적 기부 85.9%, 시간적 기부 58%로 잠재적 기부자의 층이 두터움을 시사해주었다. 또한 시간적 기부를 하고 있는 사람들이 물질적 기부를 할 확률이 높았으며, 기부경험이 있는 경우 의향에서도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요인이 기부결정을 설명하는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는 물질적/시간적 기부 결정의 두 가지 차원인 경험과 의향 모 두에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인 종교와 학력변수가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종교가 있는 경우는 정기적 기부에 참여할 확률이 높았으며, 시간적 기부에 참여할 확률도 높았으나, 종교가 없는 경우에는 ARS기부를 할 확률이 높고, 시간적 기부에 참여할 확률이 저조하였다. 그리고 학력이 대졸인 경우 기부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기부의향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부에 대한 태도변수는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경험과 의향확률이 높게 나타났고, 사회문제 심각성 인식의 정도는 기부결정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사회문제를 인식하고 행동화하는 과정에서 이념적 가치와 실천적 동기가 상호 분리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보상요인은 시간적 기부의향에서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보상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수록 기부의향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잠재적 기부자들을 현재화하기 위해서 보상체계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주는 부분이라고 하겠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기부에 대한 태도와 사회문제 심각성 인식수준, 기부 보상 선호도에 어떤 인과적 영향을 주는지를 회귀 분석하여 기부결정의 단계적 모델을 검증한 결과, 기부태도와 심각성 인식에는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었으나 보상선호도에서는 설명력이 없었다. 보상요인에서 인과모델이 성립되지 않은 것은 기부에 대한 인식이 단순한 동정의 차원인 것과 활성화수준이 미약하여 인지도가 낮은 탓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지배적 원리에 동조함으로써 각 개인이 갖고 있는 관점은 각기 달라도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것에 자신의 견해를 동일시하는 사회적 경향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민간복지참여가 종교영역에 한정되어진 것을 사회복지영역에서 주도권을 가지고 활성화해야할 필요를 제안하고, ARS기부로 인하여 기부가 보편화되어진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ARS기부의 동정적이고 일회적인 성격은 성숙한 기부문화를 형성하는데 있어 장애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경제적 보상과 사회적 보상체계를 강화함으로써 잠재적 기부자들의 자원을 동원할 것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복지국가위기론 이후 제기된 민간사회복지와의 역할분담, 특별히 자원영역에 대한 관심이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 총체적 복지수요의 총량확대와 다양화에 대응하기 ...

      복지국가위기론 이후 제기된 민간사회복지와의 역할분담, 특별히 자원영역에 대한 관심이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 총체적 복지수요의 총량확대와 다양화에 대응하기 위한 절실한 대안으로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민간자원을 사회복지영역에 동원하기 위한 연구와 방법론의 개발이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으며, 일반시민들의 주된 참여형태인 자원봉사와 금전적 기부에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이미 자원봉사나 기부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거나, 정책적 개입이 용이하지 않은 개인의 동기가 참여에 주는 영향들을 살피는 것, 지속성을 높이기 위한 만족도 연구들이 그 주류를 이루어왔다. 즉, 개인이 자신이 소유한 자원인 물질과 시간을, 사회복지분
      야에 기부하기로 결정하는 것에 관하여 체계적이고 인과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전적 기부와 자원봉사가 모두 개인의 자원이라는 측면에서 기부(philanthropy)라는 상위개념으로 묶고 이를 단계적 모델로 설정하여 기부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각 단계 중 첫 번째 단계인 배경요인은 동시대의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았고, 두 번째 단계인 개인적 요인을 개인요인으로서의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태도요인으로 설정한 기부태도요인으로 나누었고, 사회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는 수준과 기부에 대한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보상체계에 대한 선호도를 세 번째 단계인 상황요인을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인은 기부결정으로 기부경험과 의향의 두 가지 하위범주를 가지도록 하였다. 이를 실증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표본추출과정에 의해 표집된 서울시민 198명을 대상으로 전화설문을 실시하였다. 기부결정에 각 요인들이 미치는 설명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고, 단계별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부현황을 살펴보면, 2000년 한 해 동안 물질적 기부의 경험이 있는 경 우는 전체 응답자의 71.2%였으나, ARS기부를 제외하면 전체 응답자의 41.4%였고, 시간적 기부의 경험은 전체 응답자의 13.6%였다. 2001년도의 기부의향은 물질적 기부 85.9%, 시간적 기부 58%로 잠재적 기부자의 층이 두터움을 시사해주었다. 또한 시간적 기부를 하고 있는 사람들이 물질적 기부를 할 확률이 높았으며, 기부경험이 있는 경우 의향에서도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요인이 기부결정을 설명하는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는 물질적/시간적 기부 결정의 두 가지 차원인 경험과 의향 모 두에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인 종교와 학력변수가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종교가 있는 경우는 정기적 기부에 참여할 확률이 높았으며, 시간적 기부에 참여할 확률도 높았으나, 종교가 없는 경우에는 ARS기부를 할 확률이 높고, 시간적 기부에 참여할 확률이 저조하였다. 그리고 학력이 대졸인 경우 기부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기부의향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부에 대한 태도변수는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경험과 의향확률이 높게 나타났고, 사회문제 심각성 인식의 정도는 기부결정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사회문제를 인식하고 행동화하는 과정에서 이념적 가치와 실천적 동기가 상호 분리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보상요인은 시간적 기부의향에서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보상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수록 기부의향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잠재적 기부자들을 현재화하기 위해서 보상체계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주는 부분이라고 하겠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기부에 대한 태도와 사회문제 심각성 인식수준, 기부 보상 선호도에 어떤 인과적 영향을 주는지를 회귀 분석하여 기부결정의 단계적 모델을 검증한 결과, 기부태도와 심각성 인식에는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었으나 보상선호도에서는 설명력이 없었다. 보상요인에서 인과모델이 성립되지 않은 것은 기부에 대한 인식이 단순한 동정의 차원인 것과 활성화수준이 미약하여 인지도가 낮은 탓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지배적 원리에 동조함으로써 각 개인이 갖고 있는 관점은 각기 달라도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것에 자신의 견해를 동일시하는 사회적 경향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민간복지참여가 종교영역에 한정되어진 것을 사회복지영역에서 주도권을 가지고 활성화해야할 필요를 제안하고, ARS기부로 인하여 기부가 보편화되어진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ARS기부의 동정적이고 일회적인 성격은 성숙한 기부문화를 형성하는데 있어 장애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경제적 보상과 사회적 보상체계를 강화함으로써 잠재적 기부자들의 자원을 동원할 것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ole sharing of voluntary sector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Korea, since it has come to the economic crisis in the year of 1997. The methods to activate the private sectors has become a urgent alternative to cope with the expansion and the diversity of welfare demand. Many researches have been therefore enforced to mobilize private resources in the social welfare. Among them there are numerous papers which deal with voluntary actions and donations as main participation form of plain citizens. But the existing studies investigate the person who participate in voluntary action as well as in donation, or they discuss only the motivations or degree of satisfaction in voluntary works. We can not easily find the studies which explain factors systematically to determine philanthropy by citizens- their time and money-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This thesis has objective of identifying the determinants of philanthropy. For that purpose, it analyzed step by step the determinants on the philanthropy sequential specificity model, while voluntary actions and donations in the aspect of private resources were placed both under the concept of the philanthropy. Social background factors, the first step in the model were excluded in the analysis, because it covered citizens in current Seoul area. In the second step, personality factors were divided into two individual factors; one as social background and social roles of the individual, the other one as attitudes of philanthropy. And situational factors in the third step were composed of perceptions of social problems and rewards of philanthropy. Dependent variable in the model is determinations to philanthropy which has two dimensions: participations of philanthropy and intentions of philanthropy participations.
      To identify empirically this model, this study conducted the telephone interview with 198 Seoul citizens who were chosen by probability proportionate to size.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such as logistic regression, regression, χ^(2) through SPSSwin 9.0 program package.
      Main research outcomes of the thesis are as follows: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ocial background factors, especially the religion and the education influenced significantly the participation and the intention of philanthropy; The persons who lead any religious life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voluntary actions and donations than non-believers. And the persons who were educated at higher level participated positively in voluntary actions and donations as well as higher intentions of participations.
      The attitudes of philanthropy influenced strongly on the determination, while the perceptions of social problems did not give any statistical signification. It could be explained that ideal values are not yet keeping in with practical deeds in Korea. The reward of philanthropy influenced only on the intention of volunteer. It means important to intensify the system of rewards in other to mobilize potential donators and volunteers.
      In examining the philanthropy sequential specificity model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social background factors as the individual factor in the personality step influenced on the attitudes of philanthropy as the perception of social problems. but the rewards of philanthropy as the other situational step had not any interrelation. It was mainly for the reason that philanthropy is regarded in Korea as if charity, and that 'culture of philanthropy' is still not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outcomes, the Study suggests in Korea the activation of non-religion volunteer sector, the elimination of negative effects through the ARS, and the establishment of philanthropy culture. In addition, it is quite necessary to reinforce the system of rewards of philanthropy to mobilize the potential donators and volunteers.
      번역하기

      Role sharing of voluntary sector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Korea, since it has come to the economic crisis in the year of 1997. The methods to activate the private sectors has become a urgent alternative to cope wi...

      Role sharing of voluntary sector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Korea, since it has come to the economic crisis in the year of 1997. The methods to activate the private sectors has become a urgent alternative to cope with the expansion and the diversity of welfare demand. Many researches have been therefore enforced to mobilize private resources in the social welfare. Among them there are numerous papers which deal with voluntary actions and donations as main participation form of plain citizens. But the existing studies investigate the person who participate in voluntary action as well as in donation, or they discuss only the motivations or degree of satisfaction in voluntary works. We can not easily find the studies which explain factors systematically to determine philanthropy by citizens- their time and money-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This thesis has objective of identifying the determinants of philanthropy. For that purpose, it analyzed step by step the determinants on the philanthropy sequential specificity model, while voluntary actions and donations in the aspect of private resources were placed both under the concept of the philanthropy. Social background factors, the first step in the model were excluded in the analysis, because it covered citizens in current Seoul area. In the second step, personality factors were divided into two individual factors; one as social background and social roles of the individual, the other one as attitudes of philanthropy. And situational factors in the third step were composed of perceptions of social problems and rewards of philanthropy. Dependent variable in the model is determinations to philanthropy which has two dimensions: participations of philanthropy and intentions of philanthropy participations.
      To identify empirically this model, this study conducted the telephone interview with 198 Seoul citizens who were chosen by probability proportionate to size.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such as logistic regression, regression, χ^(2) through SPSSwin 9.0 program package.
      Main research outcomes of the thesis are as follows: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ocial background factors, especially the religion and the education influenced significantly the participation and the intention of philanthropy; The persons who lead any religious life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voluntary actions and donations than non-believers. And the persons who were educated at higher level participated positively in voluntary actions and donations as well as higher intentions of participations.
      The attitudes of philanthropy influenced strongly on the determination, while the perceptions of social problems did not give any statistical signification. It could be explained that ideal values are not yet keeping in with practical deeds in Korea. The reward of philanthropy influenced only on the intention of volunteer. It means important to intensify the system of rewards in other to mobilize potential donators and volunteers.
      In examining the philanthropy sequential specificity model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social background factors as the individual factor in the personality step influenced on the attitudes of philanthropy as the perception of social problems. but the rewards of philanthropy as the other situational step had not any interrelation. It was mainly for the reason that philanthropy is regarded in Korea as if charity, and that 'culture of philanthropy' is still not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outcomes, the Study suggests in Korea the activation of non-religion volunteer sector, the elimination of negative effects through the ARS, and the establishment of philanthropy culture. In addition, it is quite necessary to reinforce the system of rewards of philanthropy to mobilize the potential donators and volunte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목 차례
      • 제1장 서론 = 1
      • 제1절 문제제기 = 1
      • 제2절 연구의 목적 = 7
      • 제2장 이론적 배경 = 8
      • 제목 차례
      • 제1장 서론 = 1
      • 제1절 문제제기 = 1
      • 제2절 연구의 목적 = 7
      • 제2장 이론적 배경 = 8
      • 제1절 기부의 개념 = 8
      • 1. 물질적 기부(금전적 기부) = 9
      • 2. 시간적 기부(자원봉사) = 11
      • 제2절 기부결정을 설명하는 이론 = 13
      • 1. Smith의 연속적 단계모델(Smith's Sequential Specificity Model) = 13
      • 2. 사회적 교환이론 = 16
      • 3. 태도이론v24
      • 4. 선행연구상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 29
      • 제3절 기부결정모델 = 31
      • 제3장 연구 방법 = 34
      • 제1절 변수의 정의 및 측정 = 34
      • 1. 종속변수 = 34
      • 2. 독립변수 = 35
      • 제2절 연구가설과 모형 = 37
      • 1. 연구가설 = 37
      • 2. 연구모형 = 39
      • 제3절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 40
      • 제4절 분석방법 = 41
      • 제5절 연구의 한계점 = 42
      • 제4장 연구 결과 = 43
      •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43
      • 제2절 기부에 대한 태도실태 = 45
      • 제3절 사회문제 심각성 인식실태 = 46
      • 제4절 보상체계 선호실태 = 49
      • 제5절 기부현황과 의향정도 = 52
      • 1. 기부현황 = 52
      • 2. 기부의향 정도 = 56
      • 제6절 기부결정요인 = 59
      • 1. 기부경험결정요인 = 59
      • 2. 기부의향결정요인 = 62
      • 3. 기부결정여부와 인구사회학특성 = 65
      • 제7절 연속적 단계 모델의 검증 = 67
      • 1. 인구사회학특성이 기부태도에 미치는 영향 = 67
      • 2. 인구사회학특성이 사회문제심각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70
      • 3. 인구사회학특성이 보상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72
      • 제5장 결론 = 76
      • 제1절 연구내용의 요약 = 76
      • 제2절 연구결과의 함의 = 79
      • 제3절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83
      • 참고문헌 = 85
      • 부록(설문지) = 91
      • Abstract = 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