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6학년 듣기 · 말하기 수업을 위한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Practical Use of the Digital Textbook for Korean for 6 grade Speaking-Listening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290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기존의 서책형교과서와 차별화된 디지털교과서 활용 국어과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연구학교에 적용하여 그 의미와 효과를 탐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현재 연구학교에서 사용 중인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 디지털교과서의 내용 중 ‘듣기 · 말하기’ 영역에 해당하는 면담하기 수업 단원을 선택하여,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의 장점을 살릴 수 있도록 담화 자료 및 수업 상호 작용 등을 위한 기술적 도구를 수정 · 보완하여 수업을 설계하였다. 이 수업은 담화의 수용과 생산을 중심으로 한 국어과 수업의 사례로서, 학생들이 ‘면담(interview)’이라는 담화 장르에 대한 개념적 지식을 이해하기 위해 적합한 내용과 형식의 담화 자료를 활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세계의 직업인을 면담하는 방식의 실생활과 긴밀히 연관된 과제를 수행하되, 이 과정에서 학습자 주도적인 방식의 언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온라인 대화 · 토론 · 글쓰기’, ‘녹음하여 들어보기’, ‘온라인 협력적 글쓰기’, ‘타임라인 작성하기’, ‘멀티미디어 자료 제작하기’, ‘발표 자료 제작하기’, ‘성찰노트 작성하기’ 등의 학습 활동을 적절히 활용하도록 하였다.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의 적용 결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교사와 학생 간, 그리고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더 활발해졌고, 학생들의 모둠 내 학습의 과정과 결과가 기록, 저장, 공유되고 가시화되어 교사가 학생들의 학습 과정을 확인하는 것이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 활용 수업에 비해 더 수월해졌다. 그리고 이로 인해 교사가 학생들의 개별적 · 집단적 학습 과정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며 수준별로 지도하는 것이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교실 안의 언어 사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국어과 수업이 디지털 도구의 활용을 통해 교실 밖 실세계로 확장되고 그 경험을 다시 교실 안으로 들여올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고,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보다 주도적으로 도구를 활용하며 면담하기 활동을 경험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보다 실질적인 담화의 수용과 생산 교육이 가능해지고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흥미와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의미 있고 효과적인 국어과 디지털교과서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기존의 서책형교과서와 차별화된 디지털교과서 활용 국어과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연구학교에 적용하여 그 의미와 효과를 탐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연구진...

      이 연구는 기존의 서책형교과서와 차별화된 디지털교과서 활용 국어과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연구학교에 적용하여 그 의미와 효과를 탐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현재 연구학교에서 사용 중인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 디지털교과서의 내용 중 ‘듣기 · 말하기’ 영역에 해당하는 면담하기 수업 단원을 선택하여,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의 장점을 살릴 수 있도록 담화 자료 및 수업 상호 작용 등을 위한 기술적 도구를 수정 · 보완하여 수업을 설계하였다. 이 수업은 담화의 수용과 생산을 중심으로 한 국어과 수업의 사례로서, 학생들이 ‘면담(interview)’이라는 담화 장르에 대한 개념적 지식을 이해하기 위해 적합한 내용과 형식의 담화 자료를 활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세계의 직업인을 면담하는 방식의 실생활과 긴밀히 연관된 과제를 수행하되, 이 과정에서 학습자 주도적인 방식의 언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온라인 대화 · 토론 · 글쓰기’, ‘녹음하여 들어보기’, ‘온라인 협력적 글쓰기’, ‘타임라인 작성하기’, ‘멀티미디어 자료 제작하기’, ‘발표 자료 제작하기’, ‘성찰노트 작성하기’ 등의 학습 활동을 적절히 활용하도록 하였다.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의 적용 결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교사와 학생 간, 그리고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더 활발해졌고, 학생들의 모둠 내 학습의 과정과 결과가 기록, 저장, 공유되고 가시화되어 교사가 학생들의 학습 과정을 확인하는 것이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 활용 수업에 비해 더 수월해졌다. 그리고 이로 인해 교사가 학생들의 개별적 · 집단적 학습 과정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며 수준별로 지도하는 것이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교실 안의 언어 사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국어과 수업이 디지털 도구의 활용을 통해 교실 밖 실세계로 확장되고 그 경험을 다시 교실 안으로 들여올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고,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보다 주도적으로 도구를 활용하며 면담하기 활동을 경험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보다 실질적인 담화의 수용과 생산 교육이 가능해지고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흥미와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의미 있고 효과적인 국어과 디지털교과서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anguage arts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digital textbooks, and to validate its effectiveness. The researchers reviewed the existing digital textbook, Korean curriculum, and consulted with teachers of research schools. And newly developed teaching designing was applied to the class. The instruction has been developed for conceptual knowledge acquisition and actual use of language. This plan make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textbooks, including the use of multimedia materials, recording and video recording and editing, online interaction tools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this plan, teacher-student, student-student interaction was more active in the on-and off-line. and individual student’ work and process of learning was visualized well. therefore, students' interest and concentration increased. teachers can feedback their students easily, examination their learning proces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anguage arts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digital textbooks, and to validate its effectiveness. The researchers reviewed the existing digital textbook, Korean curriculum, and consulted with teachers of re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anguage arts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digital textbooks, and to validate its effectiveness. The researchers reviewed the existing digital textbook, Korean curriculum, and consulted with teachers of research schools. And newly developed teaching designing was applied to the class. The instruction has been developed for conceptual knowledge acquisition and actual use of language. This plan make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textbooks, including the use of multimedia materials, recording and video recording and editing, online interaction tools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this plan, teacher-student, student-student interaction was more active in the on-and off-line. and individual student’ work and process of learning was visualized well. therefore, students' interest and concentration increased. teachers can feedback their students easily, examination their learning proc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국어과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의 설계
      • 1. ‘학습자 주도’ 수업의 측면
      • 2.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의 측면
      • 3. ‘국어과’ 수업의 측면
      • Ⅰ. 서론
      • Ⅱ. 국어과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의 설계
      • 1. ‘학습자 주도’ 수업의 측면
      • 2.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의 측면
      • 3. ‘국어과’ 수업의 측면
      • Ⅲ.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의 실행
      • 1. 연구의 과정 및 절차
      • 2. 수업 개관
      • 3. 수업 적용 효과
      • Ⅳ.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칠성, "화법 교육과정의 ‘담화 유형’에 대한 범주적 접근" 한국화법학회 (12) : 149-188, 2008

      2 임정훈,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개발방향 탐색"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6 (16): 125-150, 2012

      3 권낙원, "현장교사를 위한 수업모형" 동문사 2010

      4 김정자, "학생의 글에 반응하는 것에 대한 교사의 경험 및 인식 조사" 국어교육학회 (38) : 99-125, 2010

      5 서유경, "학교교육 적용을 위한 국어과 전자교과서의 개발 방향 연구" 국어교육학회 (29) : 205-228, 2007

      6 류지헌,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대한교실생태학적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4 (24): 271-297, 2008

      7 정혜승, "초등학생의 읽기 태도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34) : 355-384, 2011

      8 임정훈, "초등학교에서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9 (9): 141-168, 2010

      9 조재윤, "초등학교 쓰기 수업 관찰 연구 -6학년 설득하는 글 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8) : 339-370, 2005

      10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5-2 교사용 지도서" 2011

      1 임칠성, "화법 교육과정의 ‘담화 유형’에 대한 범주적 접근" 한국화법학회 (12) : 149-188, 2008

      2 임정훈,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개발방향 탐색"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6 (16): 125-150, 2012

      3 권낙원, "현장교사를 위한 수업모형" 동문사 2010

      4 김정자, "학생의 글에 반응하는 것에 대한 교사의 경험 및 인식 조사" 국어교육학회 (38) : 99-125, 2010

      5 서유경, "학교교육 적용을 위한 국어과 전자교과서의 개발 방향 연구" 국어교육학회 (29) : 205-228, 2007

      6 류지헌,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대한교실생태학적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4 (24): 271-297, 2008

      7 정혜승, "초등학생의 읽기 태도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34) : 355-384, 2011

      8 임정훈, "초등학교에서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9 (9): 141-168, 2010

      9 조재윤, "초등학교 쓰기 수업 관찰 연구 -6학년 설득하는 글 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8) : 339-370, 2005

      10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5-2 교사용 지도서" 2011

      11 이창수, "초등 국어과 전자 교과서 개발 연구" 국어교육학회 (39) : 437-465, 2010

      12 임성규, "직접 교수 모형의 수업 적용 연구" 4 : 43-64, 2000

      13 옥현진, "중학생을 위한 신문과 생활" 한국언론진흥재단 2012

      14 이재승, "작문 교육의 현황과 발전 과제" 한국작문학회 (1) : 39-64, 2005

      15 Belisle, C., "읽기 쓰기의 진화: 아이들은 미디어를 어떻게 읽고 쓰고 만드는가" 사회평론사 1997

      16 이재학, "위키 기반 협동적 글쓰기 학습 모형 개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7 김두규, "위키 기반 협동적 글쓰기 학습 모형 개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7) : 5-40, 2008

      18 정순원, "스마트교육 해외 우수사례" 181 : 58-63, 2012

      19 주형미, "스마트(SMART) 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기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20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 교육 추진 전략" 2011

      21 노명완, "문식성 연구" 박이정 2002

      22 정현선, "매체언어 교육 단원 개발과 수업 실행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국어 교과서의 뉴스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8) : 311-654, 2012

      23 옥현진, "디지털교과서의 현황과 국어교과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식"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1 : 29-52, 2012

      24 정문성,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사회과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25 노정민,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모형 연구: 초등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3

      26 김혜숙,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사례 분석. 디지털교과서의 현재와 미래" 2012

      27 임정훈,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ㆍ학습활동 명세서: 공통 및 교과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28 서지영, "디지털교과서 내용 표준(안)및 심의 기준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2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디지털교과서 검정 실시 공고(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고 제2012- 100호)"

      30 임철일, "디지털교과서 2.0 모형 및 개발방법(과학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31 교육과학기술부, "디지털 교과서 연구학교용 국어과 6학년 2학기 듣기ㆍ말하기 디지털교과서"

      32 최미숙, "국어교육의 이해" 사회평론 2012

      33 오세영, "국어과 디지털교과서의 평가 준거와 개발 방향: 고등학교 국어과 e-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1 (11): 213-243, 2012

      34 정혜승,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모형 개발"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155-178, 2012

      35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2012-14호 [별책 5])"

      36 최지현,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 역락 2007

      37 정혜승, "교과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전략적 학습자 만들기" 교육과학사 2008

      38 임정훈, "‘활동’ 중심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방법 탐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27-52, 2008

      39 정현선, "‘도구’ 활용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한 국어과 디지털교과서 교수 · 학습 활동의 비판적 검토와 제언" 한국어교육학회 (140) : 509-544, 2013

      40 Bearne, E., "Ways of knowing: ways of showing-towards an integrated theory of text, In Art, Narrative and Childhood, Stoke-on-Trent" Trentham Books 2003

      41 Kress, G., "Literacy in the New Media Age" Routledge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7 1.353 0.8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