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등학교 가정과 선택과목 개발을 위한 미국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사례 연구: 미국 오하이오 주(州)를 중심으로 = Examining the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Curriculum in the Unites States for Developing the Home Economics Elective Courses for South Korean High Schools: A Case Study of the State of Ohi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78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draw lessons from the case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FCS) curriculumsin Ohio and to provide implications to the designing of HE elective courses for high schools in Korea. For this, 19 curriculumdocu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draw lessons from the case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FCS) curriculumsin Ohio and to provide implications to the designing of HE elective courses for high schools in Korea. For this, 19 curriculumdocuments that are available from the website of the Ohio Ministry of Educa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following the example of the Ohio Pathway which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college admission, student’s interests, and the societal change, it is recommended that KoreanHE curriculum consider developing HE Pathway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E education system. Second, Ohio’sFCS curriculum offers a well-structured system consisting of total 18 courses and contents within the four broad FCS Pathwaythemes. Thus, it is suggested that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organize a task force to develop ‘HEPathways’-‘College majors’-‘Elective career focused courses’, and student-centered career exploratory elective courses focusingon the students’ needs. Third, it is necessary for HE teachers and professors to newly develop basic elective courses whichlays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of Home Economics and help students to follow advanced HE elective courses. Lastly,there is a need for designing career-focused elective courses that can provide practical resources for the college admission processby interviewing college admission officers, education specialists, career counselors, college admission specialists, home economicprofessors and teach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가정과 진로 선택과목을 개발해 운영하고 있는 오하이오 주 가정과 교육과정 사례를 살펴, 우리나라고교학점제를 대비하기 위한 가정과 진로 선택과목 개발에 관...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가정과 진로 선택과목을 개발해 운영하고 있는 오하이오 주 가정과 교육과정 사례를 살펴, 우리나라고교학점제를 대비하기 위한 가정과 진로 선택과목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오하이오 주 교육청홈페이지에서 교육과정 문서 19건을 다운받아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하이오주가 제시한 가정과 진로 계열은 학문적 특성, 대학 입시, 학생들의 관심과 요구, 사회의 변화 등을 고려해 개발한 것으로,이를 참고하여 우리나라 가정과 교육 실정에 맞는 가정과 진로 계열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오하이오 주 가정과 교육은4개의 가정과 진로 계열과 각 계열에서 이수할 수 있는 총 18개의 선택과목명과 내용체계를 제시하고 있었다. 이에 한국 가정과교육학회 차원에서 TF팀을 구성하여 ‘가정 진로 계열’-‘대학 학과’-‘진로 선택과목’ 안을 개발한 뒤, 이를 기반으로 가정과 진로선택과목에 관한 고등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해 수요자 중심의 진로 선택과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일반 선택과목인‘기술⋅가정(가정 교과)’, 그리고 진로 선택과목인 ‘가정 과학’의 위계성과 내용 계열성을 고려하여, 가정과 진로 선택과목을이수하기 위한 기초과목으로써 새로운 일반 선택과목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고등학생들의 대입 전형에 실제적인 도움이주기위해 입학사정관, 가정과 교육과정 전문가, 진로 교사, 대입 전문가, 교수, 가정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및 의견을 반영하여 가정 계열 대학 진학을 위해 필요한 진로 선택과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소희, "치유교육 도입을 위한 한국과 미국의 가정과 교육내용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597-623, 2018

      2 박경선, "진로 선택 과목 ‘지식재산 일반’ 교사 역량모델 개발"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214-244, 2019

      3 백선희,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선택 과목의 진로 및 적성 관련 정도에 대한 인식과 영향 요인" 한국교육개발원 41 (41): 57-79, 2014

      4 방지원, "역사교육 계열화의 개념과 원리" 한국역사교육학회 (3) : 7-60, 2006

      5 김샛별, "미국 오하이오 주(州)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분석 및 시사점 제안: 2007년, 2015년 교육과정 문서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503-531, 2020

      6 김혜영,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6 (56): 245-277, 2018

      7 박미정, "기술⋅가정과 교사의 학교교육과정 편성 참여와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2 (32): 15-34, 2020

      8 이준기, "고등학생들의 과학사, 과학, 역사 과목에 대한 관계인식 탐색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진로선택 과목 ‘과학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9 (39): 613-624, 2019

      9 박경선, "고등학교 지식재산교육의 현황 및 과제" 한국지식재산연구원 14 (14): 195-230, 2019

      10 권유진,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선택과목 운영 실태 및 요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2 (32): 179-192, 2020

      1 윤소희, "치유교육 도입을 위한 한국과 미국의 가정과 교육내용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597-623, 2018

      2 박경선, "진로 선택 과목 ‘지식재산 일반’ 교사 역량모델 개발"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214-244, 2019

      3 백선희,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선택 과목의 진로 및 적성 관련 정도에 대한 인식과 영향 요인" 한국교육개발원 41 (41): 57-79, 2014

      4 방지원, "역사교육 계열화의 개념과 원리" 한국역사교육학회 (3) : 7-60, 2006

      5 김샛별, "미국 오하이오 주(州)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분석 및 시사점 제안: 2007년, 2015년 교육과정 문서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503-531, 2020

      6 김혜영,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6 (56): 245-277, 2018

      7 박미정, "기술⋅가정과 교사의 학교교육과정 편성 참여와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2 (32): 15-34, 2020

      8 이준기, "고등학생들의 과학사, 과학, 역사 과목에 대한 관계인식 탐색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진로선택 과목 ‘과학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9 (39): 613-624, 2019

      9 박경선, "고등학교 지식재산교육의 현황 및 과제" 한국지식재산연구원 14 (14): 195-230, 2019

      10 권유진,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선택과목 운영 실태 및 요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2 (32): 179-192, 2020

      11 김대영, "고교학점제에 대한 국제비교 연구" 안암교육학회 25 (25): 1-27, 2019

      12 이상은, "고교학점제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 과정에 나타난 쟁점과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09-136, 2019

      13 김동욱,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선택 교육과정 편성의 실제 및 학생 선택 경향성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131-157, 2019

      14 이상은, "고교학점제 선택과목 확대 가능성 탐색: 교사 전공별 담당교과 현황 및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49-73, 2019

      15 정은정,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국악교육의 선택권 강화와 내실화 방안"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14 (14): 213-240, 2020

      16 홍후조, "고교 학점제 도입의 문제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99-724, 2018

      17 유지연, "가정과학의 교육내용에 대한 필요도: 델파이 조사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8 (18): 125-134, 2006

      18 Kim, L., "The needs of housing contents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among students" 20 (20): 145-161, 2008

      19 Ministry of Education, "The direction of the promo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research school operation plan (proposal)"

      20 Kim, E. J., "The direction for revis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the u.s. national standards" 25 (25): 37-54, 2013

      21 Kim, S. H., "The current practice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high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 focusing on Busan, Ulsan and Kyoungnam area" 17 (17): 61-77, 2005

      22 Vincenti, V., "Rethinking home economics: Women and the history of a profession" Cornell University Press 301-320, 1997

      23 Lee, S. H., "Principles of curriculum development" Hakjisa 2004

      24 Ministry of Education, "Press release on 2015 revised curriculum"

      25 National Asociation of State Administrators for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National standards for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education" NASAFACS

      26 Lancaster City Schools, "Lancaster high school FCS course options and descriptions"

      27 Brunswick high school,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course offerings"

      28 Ohio Department Education,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carer filed technical content standards" Ohio Office of Education

      29 Park, M. L., "An investigation into recognizing about music and career elective subjects on high school music teachers" Ewha Womans University 2018

      30 Lee, J. H., "An analysis of 「clothing and fashion」 part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science textbook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2

      31 Choi, H. S., "A study on the plan for increasing curricular options for studen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6

      32 Park, K. S., "A study on the operation model of 2017intelligent property cours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Korea Invention Promotion Association 2017

      33 Lee, K. U.,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4

      34 Choi, J. H.,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on high school students' choice of ‘the science of homeeconomics’course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12 (12): 157-170, 2000

      35 Park, M. J., "A discussion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2015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50-53, 2015

      36 Kwon, Y. M., "A course selection guidebook related to students’ career and academics in accordance with 2015 revised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ment No. 2015-74)"

      37 Kim., H. S,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home economic curriculum and American practical problem focused family & consumer sciences curricula" 19 (19): 91-117, 2007

      38 Kim, S. B., "A comparative study of American national standards for Family and Consumer Sciences(FCS) education and fcs curricula in the United States: Focusing on Maryland, Minnesota, Ohio, and Pennsylvania"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2

      39 Kwon, Y. J., "A comparative analysis of South Korean and the U. S. home economics curricula and achievement standards" 25 (25): 29-46, 2013

      40 박미정,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고등학교 가정과 선택 교육과정 편성 방안 탐색" 대한가정학회 55 (55): 539-553, 2017

      41 Hilliard City Schools, "2020-2021 High school program of studies" Hilliard city schools

      42 심승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교 진로선택과목「여행지리」의 개발과 관련 논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4 (24): 87-98, 2016

      43 이동민, "2015 개정 고등학교 여행지리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의미구조 분석" 한국지리학회 5 (5): 1-11, 2016

      44 박경선, "2015 개정 ‘지식재산일반’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효과" 한국교원교육학회 35 (35): 339-371, 2018

      45 Ohio Department Education, "091201 Introduction to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Ohio Office of Educ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37 1.6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