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충남 서산 대로리 일대 토양 내 석면의 광물학적 특성 =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of Asbestos in Soil at Daero-ri, Seosan, Chungnam,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696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석면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산업적 이용 규제 및 석면포함물질 처리 뿐 아니라 자연발생석면의 이해와 정화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암석 내 산출되는 자연발생석...

      최근 석면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산업적 이용 규제 및 석면포함물질 처리 뿐 아니라 자연발생석면의 이해와 정화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암석 내 산출되는 자연발생석면의 특성이나 풍화작용을 거쳐 토양 내 잔류하는 자연발생석면에 대한 기존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변성퇴적암류가 기반암인 충남 서산 대로리 일대의 토양 내 자연발생석면의 존재를 확인하고 석면형(asbestiform) 광물의 산출양상 및 광물학적 특성을 통해 석면오염토양의 효과적인 정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토양의 입도 분리 및 광물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토양 내 무게 백분율은 모래가 26~93%, 미사가 4~23%, 점토가 3~70%이며, 토성은 사토(sand), 사양토(sandy loam), 사질 식토(sandy clay), 식토(clay)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 모든 시료에서 석면형 투각섬석과 석면형 양기석이 함께 산출되었고 석면의 함량은 평균 1.5%로 미국 EPA 기준(1% 이상)에 따라 석면 포함물질로 분류되었다. 모래에 존재하는 투각섬석은 벽개가 발달한 주상 형태로 평균 길이 $288{\mu}m$, 폭 $69{\mu}m$, 종횡비 4.1:1의 특징을 보인 반면, 미사에 존재하는 투각섬석은 평균 길이 $49.2{\mu}m$, 폭 $5.8{\mu}m$로 크기는 더 작고 종횡비가 8.5:1인 개별섬유 형태로 나타났다. 이는 투각섬석이 풍화작용을 받으면서 종횡비는 커지고 형태는 비산이 가능한 개별 섬유로 바뀐 것으로 사료된다. $5{\mu}m$ 이상 크기의 석면형 투각섬석과 석면형 양기석의 함량은 토양 중 미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석면오염토양 정화 시 입도 분리를 이용한 선택적인 석면 제거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NOA) from disturbance of rocks and soils has been overlooked as a source of exposure that could potentially have a detrimental impact on human health. But, few researches on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NOA occurred i...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NOA) from disturbance of rocks and soils has been overlooked as a source of exposure that could potentially have a detrimental impact on human health. But, few researches on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NOA occurred in soil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NOA occurred in soils at Daero-ri area, Seosan, Chungnam Province, Korea. Sedimentation method was used for particle size separation of the asbestos-containing soils. XRD and PLM analyses were used to characterize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mineral assemblages in soils. SEM-EDS and TEM-EDS analyses were used to characterize mineral morphology and chemical composition. Particle size analyses of the asbestos-containing soils showed they were composed of 26-93% sand, 4-23% silt and 3-70% clay. Soil texture of the soils was mainly sand, sandy loam, sandy clay, and clay. PLM analyses of the soil showed that most of the soil contained asbestiform tremolite and actinolite. The average content of asbestos in the soil was 1.5 wt. %. Therefore, the soil can be classified into asbestos-contaminated soils based on U. 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lassification (content of asbestos in contaminated soil > 1%). Morphologically different types of tremolite such as long fibrous, needle-like, fiber bundle, bladed and prismatic forms co-existed. Prismatic tremolite was dominant in sand fraction and asbestiform tremolite was dominant in silt fract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prismatic form of tremolite transform gradually into a fibrous form of tremolite due to soil weathering because tremolite asbestos was mainly existed in silt fraction rather than sand frac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동묵, "환경성 석면노출의 건강영향" 한국환경보건학회 35 (35): 71-77, 2009

      2 윤근택, "충남 보령지역의 폐석면 광산에서 산출하는 투각섬석 석면의 특성" 한국광물학회 23 (23): 73-84, 2010

      3 송석환, "충남 광천지역 석면의 산출 유형 및 광물학적 특징" 한국산업보건학회 18 (18): 271-281, 2008

      4 김수근, "석면에 의한 건강장해의 진단과 보상" 대한가정의학회 30 (30): 335-343, 2009

      5 (사)한국광물학회, "석면 표준분석법: 토양·물 중 석면 함유량 분석" 한국광물학회 23 (23): 171-183, 2010

      6 함승헌, "석면 분석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산업보건학회 19 (19): 213-232, 2009

      7 Choi, J.K., "The production, the use, the number of workers and exposure level of asbestos in Korea" 8 (8): 242-253, 1998

      8 Perkins, R.L., "Test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sbestos in Bulk Building Materials"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99-, 1993

      9 McManus, J., "Techmiques in Sedimentology" Blackwell 63-85, 1988

      10 Pulleda, S., "Quantitative x-ray diffraction analysis of four types of amphibolic asbestos by the siver membrane filter method" 36 (36): 209-220, 1989

      1 강동묵, "환경성 석면노출의 건강영향" 한국환경보건학회 35 (35): 71-77, 2009

      2 윤근택, "충남 보령지역의 폐석면 광산에서 산출하는 투각섬석 석면의 특성" 한국광물학회 23 (23): 73-84, 2010

      3 송석환, "충남 광천지역 석면의 산출 유형 및 광물학적 특징" 한국산업보건학회 18 (18): 271-281, 2008

      4 김수근, "석면에 의한 건강장해의 진단과 보상" 대한가정의학회 30 (30): 335-343, 2009

      5 (사)한국광물학회, "석면 표준분석법: 토양·물 중 석면 함유량 분석" 한국광물학회 23 (23): 171-183, 2010

      6 함승헌, "석면 분석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산업보건학회 19 (19): 213-232, 2009

      7 Choi, J.K., "The production, the use, the number of workers and exposure level of asbestos in Korea" 8 (8): 242-253, 1998

      8 Perkins, R.L., "Test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sbestos in Bulk Building Materials"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99-, 1993

      9 McManus, J., "Techmiques in Sedimentology" Blackwell 63-85, 1988

      10 Pulleda, S., "Quantitative x-ray diffraction analysis of four types of amphibolic asbestos by the siver membrane filter method" 36 (36): 209-220, 1989

      11 Gee, G.W., "Particle size analysis. In A. Klute (ed.)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1" ASA and SSSA 383-411, 1986

      12 Vacek, P.M., "Occupational epidemiology" Elsevier Science Publications 189-193, 1990

      13 Lee, R.J.,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A recurring public policy challenge" 153 (153): 1-21, 2008

      14 Hendrickx, M.,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in eastern Australia: a review of geological occurrence, disturbance and mesothelioma risk" 57 (57): 927-928, 2009

      15 Kim, D.H., "Geological report of the Daesan-Eigog sheet (1:50,000)" Kore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27-, 1982

      16 NIOSH, "Asbestos fibers and other elongate mineral particles: State of the science and roadmap for research" DHHS (NIOSH) Publication 174-, 2011

      17 Kwon, J.W., "Asbestos analysis of Bulk samples using a polarized Light microscop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80-, 2009

      18 Choi, J.K., "A study on several minerals contaminated with asbestiform fibers in Korea" 8 (8): 254-263,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7 0.62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