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전체필름을 이용한 평행판검출기의 납 차폐물 두께변화에 대한 반응 = Response for Lead Block Thickness of Parallel Plate Detector using Dielectric Fil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873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납 차폐물의 두께변화에 대한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크롬으로 코팅된 전극을 사용한 FEP 유전체필름과, 그들 사이에 PTFE 유전체 필름을 삽입한 형태의 평행판 검출기를 제작...

      본 연구에서는 납 차폐물의 두께변화에 대한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크롬으로 코팅된 전극을 사용한 FEP 유전체필름과, 그들 사이에 PTFE 유전체 필름을 삽입한 형태의 평행판 검출기를 제작하였다. 측정조건은 선원-팬텀표면 간의 거리 100 Cm, 조사면 크기 10x10 cm, 그리고 팬텀의 표면으로부터 깊이 5 cm 되는 지점과 10 cm 되는 지점에 유전체필름을 이용한 제작검출기와 Farmer형 전리함을 설치하고 6 MV, 10 MV X-선을 조사하였다. 차폐물은 조사면을 충분히 포함하도록 제작하여 측정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Tray 위에 놓아서 두께변화에 대한 감쇄효과를 확인하고 두 검출기 간의 반응함수를 알고자 하였다. 차폐효과에 대한 두 검출기 간의 반응함수는 선량에 대하여 지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작검출기와 비교검출기로 측정한 선형감쇄계수 ${\mu}(cm^{-1})$는 6 MV X-선으로 조사한 경 우 0.1414, 0.541이 었고, 10 MV X-선으로 조사한 경우 각각 0.1368, 0.5279로서 납 차폐물의 두께 변화에 의한 선형감쇄계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계산된 반응함수로부터 제작검출기는 전리함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반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작검출기에서 측정한 선량값(R)과 전리함에서 측정한 선량값($D_r$) 간의 반응함수를 최적화 과정을 통하여 계산하였다. 이들 반응함수의 최적화 상수 값들은 고 에너지 X-선 크기에 비교적 무관한 경향을 보였다. 제작 검출기와 비교검출기 간의 최적화된 반응함수를 계산한 결과 6 MV X-선의 경우 1%, 10 MV X-선의 경우 4% 이내의 범위 내에서 측정된 선량이 일치함으로써 상대 선량계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parallel plate detector containing PTFE films in FEP film for relative dosimetry was designed to measure the response of detectors to S and 10 MV X-rays from a medical linear accelerator through different thicknesses of lead. The dielectric material...

      A parallel plate detector containing PTFE films in FEP film for relative dosimetry was designed to measure the response of detectors to S and 10 MV X-rays from a medical linear accelerator through different thicknesses of lead. The dielectric materials were 100 m thick. The set-up conditions for measurements with this detector were as follows: SSD=100 cm the test detector was at a depth of 5 cm and the reference chamber was at a depth of 10 cm from the phantom surface for 6 and 10 MV X-rays. Lead blocks were designed to cover the irradiated field. They were added to the tray to increase thickness sequentially. We found that the detector response decreased exponentially with the thickness of lead added. The linear attenuation coefficients of the test detector and reference chamber were 0.1414 and 0.541, respectively, for 6 MV X-rays and 0.1358 and 0.5279 for 10 MV X-rays. The test detector response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reference chamber. The response function was calculated from the measured values of the test detector and reference chamber using optimization. These optimized constants for the detector response function were independent of theenergy. As a result of optimizing the response function between detectors, the use of a relative dosimeter was validated, because the response of the test detector was 1% for 6 MV X-rays and 4% for 10 MV X-ray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Time-resolved X-radiation induced conductivity in polyethylenetetrephthalate" 66 (66): 5478-5483, 1989

      2 "Teflon-FEP와 PET film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9 : 11-21, 1998

      3 "Radiation-induced conductivity in electron-beam irradiated insulating polymer films" 27 (27): 843-848, 1992

      4 "Radiation induced conductivity of teflon in electret ionization chamber" 26 : 2015-2021, 1993

      5 "Radiation induced conductivity in teflon irradiated by X-Rays" 52 (52): 571-577, 1980

      6 "Handbook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Insulating Materials" IEEE 304-305, 1995

      7 "Gamma-ray induced conduction in polyethylene-tetraphthalate under high electric fields" 50 (50): 758-764, 1979

      8 "Electrets" Laplacian 1 : 217-220, 2003

      9 "Dynamics of radiation-induced conductivity in the presence of spatial charge" 50 : 109-117, 2001

      10 "Dielectrics in Electric Fields" Marcel Dekker 360-375, 2003

      1 "Time-resolved X-radiation induced conductivity in polyethylenetetrephthalate" 66 (66): 5478-5483, 1989

      2 "Teflon-FEP와 PET film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9 : 11-21, 1998

      3 "Radiation-induced conductivity in electron-beam irradiated insulating polymer films" 27 (27): 843-848, 1992

      4 "Radiation induced conductivity of teflon in electret ionization chamber" 26 : 2015-2021, 1993

      5 "Radiation induced conductivity in teflon irradiated by X-Rays" 52 (52): 571-577, 1980

      6 "Handbook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Insulating Materials" IEEE 304-305, 1995

      7 "Gamma-ray induced conduction in polyethylene-tetraphthalate under high electric fields" 50 (50): 758-764, 1979

      8 "Electrets" Laplacian 1 : 217-220, 2003

      9 "Dynamics of radiation-induced conductivity in the presence of spatial charge" 50 : 109-117, 2001

      10 "Dielectrics in Electric Fields" Marcel Dekker 360-375, 2003

      11 "Charge storage and its dynamics in PTFE films electrects" 10 (10): 102-108, 2002

      12 "6 MV X-선 검출특성 조사를 위하여 유전체필름을 이용하여 제작한 평행판 검출기의 유용성" 15 (15): 105-111,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7-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edical Physics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