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의 직무만족도 저해 요인 탐구 = Exploring the factors that hinder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288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Exploring the factors that hinder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Kim Yangju Major in Education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ABSTRACT

      Exploring the factors that hinder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Kim Yangju
      Major in Education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explore in-depth the factors that hinder job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special teachers working at the Gyeonggi-do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 looked at the problems presented by research participants at the structural, human resources, political and symbolic levels and sought ways to improve them.
      The factors that hinder job satisfaction at the structural level were the loc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he sense of separation from the education support office, the narrowness of physical space, ambiguity of manager's absence and business boundaries, financial support without autonomy, and difficulty in operation. As it was established outside the Office of Education, it was said that it was not only difficult to enter the tenant's position and to feel belonging, but also difficult to cooperate with the work. In addition, the absence of manag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determines the difficulty of work depending on the degree of support from the scholarship in charge, and it is difficult to exercise leadership and coordinate work in the center because the team leader is not granted legal authority.
      Forced placement of new and low-career teachers who did not want to hinder job satisfaction at the human resource level, lack of training or manual for unfamiliar tasks, and no vacation as education officials work according to the service of local officials.
      At the political level, the absence of managers, difficulty in exercising team leadership, the gap between scholarships, conflicts between various occupations, and conflicts with field teachers were among factors that hindered job satisfaction. Conflicts with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said that each person needs to take time to share their work and make efforts to build a sense of community by raising pride and encouraging them.
      It mentioned the vertical culture of the Office of Education, the number of teachers increasing, and the reduction of business and avoidance of businesses as factors that hinder job satisfaction at the symbolic and cultural level.
      Improvement plans included the creation of a stable environment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e need for human reorganization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sets,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utonomy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compensation systems, and democratic community culture.
      As a result of an in-depth interview with special teachers in three areas of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t will be difficult to generalize to all regions of Gyeonggi Province.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hopes that all teachers working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ill be more happy workplaces, referring to the factors that hinder job satisfaction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경기도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직무만족도 저해 요인과 개선방안을 질적 연구 방법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경기도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직무만족도 저해 요인과 개선방안을 질적 연구 방법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가 제시하는 문제점을 구조적, 인적자원, 정치적, 상징적 차원에서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구조적인 차원의 직무만족도 저해 요인으로 특수교육지원센터 설치 장소, 교육지원청과의 괴리감, 물리적 공간의 협소함, 관리자의 부재와 업무 경계의 모호함, 자율성 없는 재정 지원, 순회교육 운영의 어려움 등을 언급하였다. 교육지원청 밖에 설치됨으로써 세입자 입장이 되고, 소속감을 느끼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업무 협조에서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특수교육지원센터 내에 관리자의 부재로 담당 장학사의 지원 정도에 따라 업무곤란도가 달라지, 업무 총괄자인 팀장의 합법적인 권한이 부여되지 않아 리더십 발휘와 센터 내 업무 조정이 어렵다고 하였다.
      인적자원의 차원의 직무만족도 저해 요인으로 희망하지 않은 신규 및 저경력 교사 강제 배치, 생소한 업무에 대한 연수나 매뉴얼 부재, 교육공무원이지만 지방공무원의 복무에 따라 근무하므로 담임수당이 없고, 방학이 없으며, 근무시간의 연장 등이 있었다.
      정치적 차원에서 직무만족도 저해 요인으로 관리자의 부재와 팀장 리더십 발휘의 어려움, 장학사의 지원 격차, 다양한 직종 간 갈등, 현장 교사와의 갈등 등이 있었다. 특수교육지원센터 내의 갈등은 업무를 공유하는 시간을 갖고, 각자 자신의 업무에 대한 자부심 고취와 격려로 공동체감을 형성하는 서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상징·문화적 차원의 직무만족도 저해 요인으로 교육청의 수직적 문화, 교원 수가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무리 짓기, 사업축소와 회피 현상 등을 언급하였다.
      개선방안으로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안정적인 환경 조성,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인적 조직 개편의 필요성,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직원의 전문성 향상 지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자율성 보장, 보상체제 마련, 교육청의 민주적 공동체 문화 형성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청 세 지역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통해 조사한 결과로 경기도 전 지역에 일반화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경기도교육청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직무만족도 저해 요인을 참고하여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모든 교사가 좀 더 행복한 근무지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해 주기를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 초록
      • Ⅰ. 서론 1
      • 목 차
      • 국문 초록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문제 3
      • 3. 연구의 제한점 3
      • Ⅱ. 이론적 배경 4
      • 1. 특수교육지원센터 4
      • 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 및 역할 4
      • 나.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직원 현황 6
      • 다.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현황 7
      • 2. 직무만족도 11
      • 가. 직무만족도의 개념 11
      • 나. 직무만족도 영향요인 14
      • 3. Bolman & Deal의 조직의 네 가지 프레임 15
      • 4. 선행연구의 분석 18
      • 가. 일반교사의 직무만족도 18
      • 나.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20
      • Ⅲ. 연구 방법 23
      • 1. 연구 참여자 23
      • 2. 연구 도구 24
      • 3. 연구 절차 및 자료 분석 25
      • 가. 예비 심층 면담 25
      • 나. 본 심층 면담 25
      • 다. 자료 분석 26
      • Ⅳ. 연구 결과 27
      • 1. 구조적 차원 27
      • 가. 학교 안의 세입자 28
      • 나. 교육청 소속이지만 바깥식구 30
      • 다. 물리적 공간의 협소함 31
      • 라. 업무의 편중, 경계의 모호함 33
      • 마. 자율성 없는 재정 지원 34
      • 바. 순회교육 운영의 어려움 35
      • 2. 인적자원 차원 37
      • 가. 신규 및 저경력 교사의 정체성 혼미 38
      • 나. 낯선 업무, 맨땅에 헤딩 40
      • 다. 사전 직무연수의 결여 41
      • 라. 보상체계의 부족 43
      • 3. 정치적 차원 45
      • 가. 반장 같은 팀장, 관리자의 부재 45
      • 나. 장학사의 지원 격차 47
      • 다. 다양한 직종 간 갈등 49
      • 라. 현장 특수교사와의 갈등 51
      • 4. 상징·문화적 차원 52
      • 가. 교육청의 수직적 문화 53
      • 나. 무리 짓기 54
      • 다. 사업축소와 회피 55
      • Ⅴ. 논의 및 제언 56
      • 참 고 문 헌 60
      • ABSTRACT 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