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Social Support Perceived and Self-Esteem of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510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들이 건강한 생활에 적응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자아존중감이 주변의 의미 있는 타인 즉, 아버지, 어머니, 담임선생님, 학급친구들로부터 받고 있다고 지각하...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들이 건강한 생활에 적응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자아존중감이 주변의 의미 있는 타인 즉, 아버지, 어머니, 담임선생님, 학급친구들로부터 받고 있다고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어떤 상관이 있는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남자보다 여자 어린이가 친구의 지지를 많이 받고 있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아이들은 형제수가 적을수록 어머니의 지지를 많이 받고 있다고 지각하며,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아버지의 지지를 더 많이 받고 있다고 지각하였다. 아이들은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일반적 자아존중감이 높았고, 형제수가 적을수록 높은 가정적 자아존중감을 보였다. 아이들의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지지의 하위 영역 중 정서적 지지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적지지 제공자 중에서는 어머니의 지지와 가장 상관이 있었다. 또한, 아동의 학교와 관련된 자아존중감은 교사의 사회적지지 지각과 가장 높은 상관이 있었다. 또 아동의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친구로부터의 지지 지각과 가장 상관이 높았다. 회귀분석의 결과 아이들의 자아존중감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지지 제공자 변인은 어머니의 지지와 학급친구의 지지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ocial support provided by parents, teachers, classmates and other close people and children's self-esteem that have a meaninful effect on their wholesome life. In this researc...

      The purpose of this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ocial support provided by parents, teachers, classmates and other close people and children's self-esteem that have a meaninful effect on their wholesome life.
      In this research, 331 students of 6th grade students in Haenam, Jeon-Nam Province were selected.
      Coopersmith's self-esteem inventory revised by Whang Chang-gu(1988)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self-esteem and Park Ji-won(1985)'s social-support Inventory revised by Whang Yun-gyeong(1955) to measure children's social suppor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hildren's self-esteem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and children's personal variables(sex, the number of brothers, the number of family, parents' scholarship, etc) didn't have any correlation. Second, female students perceived more social support than male students did from friends. And students perceived more social support when they had fewer brothers and when their mothers had more school education. Third, children's self-esteem was high when their mothers had more school education and when they had fewer brothers. Fourth,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hildren and their self-esteem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Particularly their self- esteem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emotional support perceived. That is, the more emotional support they perceived, the higher their self-esteem was. Fifth, children's self-esteem was influenced more by their mother's support than by any other kind of social support. Also their self-esteem in their school life had high correlation with the teachers' social support on themselves. Finally, mother's and friends' support had the highest influencing power on children's self-estee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