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유교국가 조선의 정치이념과 통치 구조 형성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유학자이자 정치가인 三峯鄭道傳이 『周禮』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주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542903
2008
-
151.05
KCI등재
학술저널
327-358(32쪽)
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유교국가 조선의 정치이념과 통치 구조 형성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유학자이자 정치가인 三峯鄭道傳이 『周禮』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주례』...
이 논문은 유교국가 조선의 정치이념과 통치 구조 형성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유학자이자 정치가인 三峯鄭道傳이 『周禮』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주례』는 유학자들이 이상적인 재상으로 평가하는 周公의 작품이기에 고려를 이은 朝鮮을 東周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가진 유학자, 정치가에게 이것은 중요한 준거가 되었을 것으로 여겨져왔다. 특히 유학자로서 현실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던 정도전에게 있어서 『주례』는 조선을 유교국가로 설계하는데 있어서 적합한 참고서였을 것이다. 그간 학계에서는 이런 정도전의 저술인 「조선경국전」과 『주례』의 연관성을 인정하고 있었으나 구체적으로 『주례』의 어떤 내용이 참고가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과제로 남겨져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그 점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정도전이 「조선경국전」, 「경제문감」등을 저술함에 있어서 『주례』에서 영향받은 내용 중에서 특히 다음과 같은 3가지 측면을 주목하여 서술하였다. 우선 정도전은 『주례』에서 "정치의 공공성" 측면을 주목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는 국가, 정치, 권력과 같은 것이 사적인 소유물이 아니라 공적인 것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조선에서 표방하는 유교정치에서 그런 측면을 강조하고 그런 근거와 사례를 『주례』에서 찾았다. 그 다음으로 주목한 것은 『주례』의 "총재"에 관한 것으로, 정도전은 『주례』의 천관총재에서 설명된 총재정치론을 전적으로 참고하여 「조선경국전」과 「경제문감」을 저술하였다. 정도전은 현실적으로 기존의 정치권위의 존재와 그 의미를 인정하는 한편, 현실적으로 가능한 유교정치의 실현을 위해 강력한 권력을 갖는 총재정치를 구상하였다. 정도전은 이러한 총재정치에 입각하여 『주례』의 기본적인 틀인 天, 地, 春, 夏, 秋, 冬의 "육전체제"를 「조선경국전」에 도입하면서 조선의 상황에 맞는 유교국가의 통치구조를 설계하였음을 분석하였다. 그러면서 이런 정도전의 정치 구상은 당시의 정치를 이론적으로는 한 단계 공적인 차원으로 격상시키는 것이지만 또한 현실정치의 차원에서 총재정치론은 그 당시에는 여전히 이상적인 것이었음을 지적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oson Dynasty has been known as a confucian State. In this paper I studied the origins of confucian political thought of Jeong Do-jeon who had been a political advisor to the first king of Choson Dynasty. Jeong Do-jeon also had wrote 『Code of A...
The Choson Dynasty has been known as a confucian State. In this paper I studied the origins of confucian political thought of Jeong Do-jeon who had been a political advisor to the first king of Choson Dynasty. Jeong Do-jeon also had wrote 『Code of Administration of the Choson Dynasty』 and 『Mirror for Governance』 These two books were about new constitution and the structure of government of Choso Dynasty. In doing that, he had studied 『Zhou-li』, the oldest Chinese book about confucian law and government structure and office names. In this paper I found that Jeong Do-jeon had refered 『Zholi-li』 so much and he had adapted the basic ideas of 『Zhou-li』 Among that I think that following 2 points were really impressive ideas to Jeong Do-jeon in his thinking about Choson Dynasty new constitution and government structure. The one of that was about the politics of confucian Prime minister who has strong political power almost same to King, but he had to be responsible to the his politics. Jeong Do-jeon also had adapted ideas about the six codes of public administration system. Unfortunately he had executed by court Coud`etat leaders. But his contributions of providing the legal foundations for the new dynasty`s government was so great. But his ideas about the prime minister politics was a little idealistic so that late Choson Kings did not developed that idea. But other his suggestion of building confucian state had been adapted in making Choson Dynasty constitution and public administr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孟子"
2 정성식, "포은과 삼봉의 철학사상" 심산 2003
3 지재희, "주례" 자유문고 2002
4 김석근, "조선시대 군신관계의 에토스와 그 특성:비교사상적인 관점에서" 29 (29): 1995
5 최상용, "정치가 정도전" 까치 2007
6 부남철, "정도전의 재상론과 태조" 2007
7 최연식, "여말선초의 권력구상:왕권론, 신권론, 군신공치론을 중심으로" 32 (32): 1998
8 김인호, "여말선초 육전체제의 성립과 전개" 118 : 2002
9 도현철, "여말선초 개혁사상의 전개와"주례"" 혜안 2005
10 김용옥, "삼봉 정도전의 건국철학" 통나무 2004
1 "論語 孟子"
2 정성식, "포은과 삼봉의 철학사상" 심산 2003
3 지재희, "주례" 자유문고 2002
4 김석근, "조선시대 군신관계의 에토스와 그 특성:비교사상적인 관점에서" 29 (29): 1995
5 최상용, "정치가 정도전" 까치 2007
6 부남철, "정도전의 재상론과 태조" 2007
7 최연식, "여말선초의 권력구상:왕권론, 신권론, 군신공치론을 중심으로" 32 (32): 1998
8 김인호, "여말선초 육전체제의 성립과 전개" 118 : 2002
9 도현철, "여말선초 개혁사상의 전개와"주례"" 혜안 2005
10 김용옥, "삼봉 정도전의 건국철학" 통나무 2004
11 정도전, "국역 삼봉집" 민족문화추진회 1977
12 정약용, "경세유표" 한길사 1997
13 김영수, "건국의 정치:여말선초,혁명과 문명의 전환" 이학사 2006
14 한영우, "鄭道傳思想의 硏究" 서울대학교출판부 1987
15 숙종32년 丙戌) 출판본(1997년 학민문화사 영인본 乾,坤 2권, "纂圖互註周禮"
16 趙世延等, "經世大典序錄, 文淵閣 四庫全書(電子版), 元文類, 卷四十"
17 歐陽玄, "文淵閣 四庫全書"
18 "周禮 조선후기 필사본"
19 이상백, "三峰 人物攷(I):戊寅難雪?記를 중심으로" 2 : 1935
20 이원택, "15-16세기"주례"의 이해와 국가경영" 혜안 2005
투고논문 : <황부인전> 구조 연구 -과제 제시와 해결 구조를 중심으로-
기획논문 : 고령지역 사상(思想)의 특징과 사적(史的) 전개(展開) ; 고령의 반룡사와 체원(體元)의 화엄사상
기획논문 : 고령지역 사상(思想)의 특징과 사적(史的) 전개(展開) ; 만구(晩求) 이종기(李種杞)의 성리학적 입장에 대한 검토 -한주학파(寒洲學派)와의 논변을 중심으로-
기획논문 : 고령지역 사상(思想)의 특징과 사적(史的) 전개(展開) ; 풍수사상으로 살펴본 고령지역의 풍수지리학적 특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7-01-23 | 통합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2-2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퇴계학과 한국문화 -> 퇴계학과 유교문화 | ![]()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8-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퇴계학과 학국문화 -> 퇴계학과 한국문화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