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활사업의 유형별 고용촉진 효과 분석 = 노동부 자활사업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439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attempt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Workfare approach of Korean public assistance program, and thus to draw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In order to achieve our research goal, we first measure and analyze employment rate and qualification attainment rate of the program participants. The analyses results indicate that the average employment rate is turned out to be 33.5%, and the average qualification attainment rate is 30.46%, which shows low level of program effectiveness. Such a low level of effectiveness is found to be due both to the internal factors including insufficient training and job search services and to the external factors including participants health status and socioeconomic status of households. The policy prescriptions we draw are; first, Korean government should make an effort to enrich the content of training program regardless of the types of programs, and, second, they need to expand the welfare infrastructure in order to promote rapid reemployment of the program participants.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attempt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Workfare approach of Korean public assistance program, and thus to draw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In order to achieve our research goal, we first measure and analyze employment rate and ...

        In this study we attempt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Workfare approach of Korean public assistance program, and thus to draw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In order to achieve our research goal, we first measure and analyze employment rate and qualification attainment rate of the program participants. The analyses results indicate that the average employment rate is turned out to be 33.5%, and the average qualification attainment rate is 30.46%, which shows low level of program effectiveness. Such a low level of effectiveness is found to be due both to the internal factors including insufficient training and job search services and to the external factors including participants health status and socioeconomic status of households. The policy prescriptions we draw are; first, Korean government should make an effort to enrich the content of training program regardless of the types of programs, and, second, they need to expand the welfare infrastructure in order to promote rapid reemployment of the program participa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찬섭, "한국사회빈곤대책의 개선방향: 빈곤문제 해결, 어떻게 할 것인가" 2005

      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홈페이지" 2007년9월10일

      3 한국도시연구소, "한국도시연구소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본 빈곤층 실태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3

      4 "한국노동연구원 홈페이지" 2007년9월7일

      5 이형하, "한국 자활사업의 자활효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자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 : 217-244, 2004

      6 김주섭, "탈빈곤을 위한 직업훈련 정책의 실태와 과제 : 자활 직업훈련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05

      7 박진희, "탈빈곤을 위한 자활직업훈련성과 결정요인 분석" 22 (22): 209-226, 2006

      8 김교성, "취업대상 조건부수급자의 경제적 자활로의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2 : 5-32, 2003

      9 이상록, "지역사회 탈빈곤 정책의 효과분석 전북지역 자활후견 기관 운영의 성과 및 한계 분석과 개선방안의 모색" 52 : 2003

      10 이성희, "조건부수급자의 자활사업 참여와 불참간 의사결정 요인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 : 351-374, 2004

      1 남찬섭, "한국사회빈곤대책의 개선방향: 빈곤문제 해결, 어떻게 할 것인가" 2005

      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홈페이지" 2007년9월10일

      3 한국도시연구소, "한국도시연구소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본 빈곤층 실태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3

      4 "한국노동연구원 홈페이지" 2007년9월7일

      5 이형하, "한국 자활사업의 자활효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자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 : 217-244, 2004

      6 김주섭, "탈빈곤을 위한 직업훈련 정책의 실태와 과제 : 자활 직업훈련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05

      7 박진희, "탈빈곤을 위한 자활직업훈련성과 결정요인 분석" 22 (22): 209-226, 2006

      8 김교성, "취업대상 조건부수급자의 경제적 자활로의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2 : 5-32, 2003

      9 이상록, "지역사회 탈빈곤 정책의 효과분석 전북지역 자활후견 기관 운영의 성과 및 한계 분석과 개선방안의 모색" 52 : 2003

      10 이성희, "조건부수급자의 자활사업 참여와 불참간 의사결정 요인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 : 351-374, 2004

      11 안홍순, "조건부수급자를 위한 자활사업의 제도화 및 지역사회 노동시장과 연계방안" 12 (12): 1-26, 2002

      12 정원오, "저소득층의 직업훈련효과 결정요인" 1997

      13 김미숙,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2003

      14 박경숙, "저소득 모자가정 빈곤실태와 자활대책 개선방안: 국민기초생활보장 자활사업을 중심으로" 67-136, 2001

      15 유태균, "자활후견기관사업 참여자가구의 제반 특성 및 경제적 어려움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19 (19): 105-133, 2003

      16 오영훈, "자활직업훈련 효과에 관한 연구" 24 (24): 317-341, 2005

      17 노대명, "자활지원제도 개편의 쟁점과 과제" 29 : 22-38, 2007

      18 남기동, "자활지원정책의 시행평가와 내실화 방안" 19 : 355-376, 2003

      19 노대명, "자활지원정책에 대한 평가원칙 및 평가체계" 보건복지포럼 67 : 2002

      20 신명호, "자활사업의 효과, 제대로 평가하자" (80) : 19-45, 2006

      21 손능수, "자활사업의 수혜자 만족도 및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23 : 295-320, 2005b

      22 임동진, "자활사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35 (35): 75-97, 2001b

      23 정원오, "자활사업에 대한 참여자들의 주관적 평가와 자립전망-경기지역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8) : 35-67, 2005

      24 이상록, "자활사업에 대한 자활사업 참여자의 인식과 태도가 자활사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21 (21): 105-136, 2003

      25 유태균, "자활사업 참여가구의 가구특성이 가구생계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서울경기 지역 자활사업 참여가구를 대상으로 한 실증적 고찰" 20 (20): 151-178, 2004

      26 유태균, "자활사업 참여가구 중 근로가구와 비근로가구의 특성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2 : 161-200, 2003

      27 유태균, "자활사업 중도이탈집단과 참여지속집단의 특성 및 중도이탈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0) : 39-70, 2006

      28 강병구, "자활사업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노동부 자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02

      29 신동면, "영국의 근로연계복지에 관한 평가: 신노동당 정부의 New Deal을 중심으로" 56 (56): 2004

      30 이숙진, "여성주의 시각에서 본 자활사업" 18 (18): 37-72, 2002

      31 강남식, "여성복지적 관점에서의 자활지원사업 분석과 활성화 방안" 17,24 (17,24): 49-78, 2001

      32 여지영, "여성가구주와 남성 가구주의 빈곤차이에 관한 연구" 2003

      33 강남식, "여성 조건부 수급자들의 실태와 자활의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19 : 1-29, 2002

      34 남기철, "빈곤정책의 전환 모색: 사회적 배제를 넘어" 진보정치연구소 2005

      35 김주섭, "빈곤계층 대상 직업훈련의 실태와 성과: 자활대상자 직업훈련을 중심으로" (19) : 25-39, 2006

      36 권 승, "비취업대상 조건부 수급자의 수급권 탈피에 관한 연구: 수급권 탈피의 결정요인과 자활 사업의 ‘단계적 발전전략’ 논리의 검증을 중심으로" 22 : 179-205, 2005

      37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2007년9월5일

      38 "노동부 홈페이지" 2007년9월5일

      39 방하남, "노동과 복지의 연계를 위한 정책 설계 및 실천방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자활사업을 중심으로" 18 (18): 71-96, 2002

      40 신동면, "김대중 정부의 사회정책 개혁: 근로연계복지를 향하여" 35 (35): 2001

      41 임동진, "근로연계복지를 위한 자활 사업의 실증적 정책과제 연구" 13 (13): 67-86, 2001a

      42 박능후, "근로연계복지(Workfare) 프로그램 운영모델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43 신명호, "근로연계복지 제도로서 우리나라 자활사업의 특징" (84) : 69-92, 2007

      44 구인회,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근로유인효과 개선방안: 자활사업을 중심으로" 21 (21): 1-29, 2005

      45 손능수, "국민기초생활보장 자활사업의 효과성 평가: 대구광역시 자활 후견 기관의 자활사업을 중심으로" 17 (17): 729-759, 2005a

      46 김수원, "고용촉진훈련 체계 개편 및 효율화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47 "경기지역 고령층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특성에 관한 연구: 사업에 대한 평가와 자립전망을 중심으로" (36) : 113-138, 2007

      48 Besharov, D. J, "welfare reform-four years later" The Public Interest, summer 17-35, 2000

      49 Edin, K, "Work, Welfare, and Single Mothers' Economic Survival Strategies" 62 (62): 253-266, 1997

      50 McCrate, Elaine, "When Work Doesn't Work: The Failure of Current Welfare Reform" 12 (12): 61-80, 1998

      51 Gooden, S. T, "Welfare and Work: Job-Retention Outcomes of Federal Welfare-to-Work Employees" 61 (61): 83-91, 2001

      52 Freeman, Edith M, "Welfare Reforms and Services for Children and Families: Setting a New Practice, Research, and Policy Agenda" 41 (41): 521-532, 1996

      53 Lens, Vicki, "TANF: What Went Wrong and What to Do Next" 47 (47): 279-290, 2002

      54 Veum, J. R, "Sources of Training and Their Impact on Wages" 48 (48): 812-826, 1995

      55 Cancian, M, "Rhetoric and Reality of Work-Based Welfare Reform" 46 (46): 309-314, 2001

      56 Dean, Hartley, "Re-conceptualizing Welfare-To-Work for People with Multiple Problems and Needs" 32 (32): 441-459, 2003

      57 Chi-Fang Wu, "Public and Private Sources of Assistance for Low-Income Households" 34 (34): 121-149, 2007

      58 Raheim, Salome, "Problems and Prospects of Self-Employment as an Economic Independence Option for Welfare Recipients" 42 (42): 44-53, 1997

      59 Jayakody, R,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Single Mothers: Implications for Work and Welfare Reform" 56 (56): 617-634, 2000

      60 Scott, Jeff, "Job Satisfaction Among TANF Leavers" 33 (33): 127-149, 2006

      61 Duncan, Kevin, "Incentives and the Work Decisions of Welfare Recipients: Evidence from the Panel Survey of Income Dynamics, 1981-1988" 59 (59): 433-449, 2000

      62 Long, D. A, "From support to self- sufficiency: how successful are programs in advancing the financial independence and well-being of welfare recipients?" 24 : 389-408, 2001

      63 Robins, Philip, K, "Financial Incentives and Welfare Reform in the United States" 20 (20): 129-149, 2001

      64 Peterson, C. D, "Female-Headed Families on AFDC: Who Leaves Welfare Quickly and Who Doesn't" 29 (29): 619-628, 1995

      65 Anthony, Jerry, "FAMILY SELF-SUFFICIENCY PROGRAMS: An Evaluation of Program Benefits and Factors Affecting Participants' Success" 41 (41): 65-92, 2005

      66 Blank, Rebecca, M, "Evaluating Welfare Reform in the United States" 40 (40): 1105-1166, 2002

      67 Demetrios, James Caraley, "Ending Welfare as We Know It: A Reform Still in Progress" 116 (116): 525-560, 2002

      68 Raheim, Salome, "Economic Empowerment of Low-Income Women Through Self-Employment Programs" 10 (10): 138-154, 1995

      69 Pavetti, L. A, "Creating a New Welfare Reality: Early Implementation of the Temporary Assistance for Needy Families Program" 56 (56): 601-616, 2000

      70 Leigh, D. E, "Can a Voluntary Workfare Program Change the Behavior of Welfare Recipients? New Evidence from Washington State's Family Independence Program(FIP)" 14 (14): 567-589, 1995

      71 보건복지부, "2007년도 자활사업안내" 보건복지부

      72 김안나, "2006 자활사업 모니터링 및 평가연구"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2006

      73 노대명, "2004년도 저소득층 자활사업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건복지부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95 0.73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