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부식산분말 처리에 따른 가축분의 퇴비화 특성 및 시비효과 = Composting of Livestock Manure Blending Humic Acid Powder and Influences on Growth of Lettuce by Its Appl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228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umic acid was used soil amendment or functional fertilizer in Korean agriculture, and its cation exchangeable capacity was high enough to increase soil buffering from plant toxica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humic acid powder (...

      Humic acid was used soil amendment or functional fertilizer in Korean agriculture, and its cation exchangeable capacity was high enough to increase soil buffering from plant toxica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humic acid powder (HA) on composting of livestock manure (LM) and of its application on growth of lettuce. Treatments were designed as follows; livestock manure compost (LM+sawdust+bark+castor meal; Control), control+0.1% HA (0.1% HA), control+0.5% HA (0.5% HA), control+1.0% HA (1.0% HA), control+3.0% HA (3.0% HA), and control+5.0% HA (5.0% HA). The changes of temperature, water content, organic matter content, total nitrogen and ratio of organic matter and nitrogen in HA treatments were similar to those of control. Although pH of 3.0% HA and 5.0% HA blending with HA and LM was lower than those of others, it unaffected by HA blending during composting. Humic acid content of HA treatments was increased by 1.7~4.4 folds than that of control. As compared with odor index, 3.0% HA and 5% HA were decreased than control for composting time. Application of 3.0% HA increased the dry weight of lettuce by about 7% than that of contro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농업에서 부식산은 양이온치환능력이 높아 토양의 완충능력이나 보비력을 개선하는 토양개량제나 기능성비료로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퇴비화에서 부식산의 이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

      농업에서 부식산은 양이온치환능력이 높아 토양의 완충능력이나 보비력을 개선하는 토양개량제나 기능성비료로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퇴비화에서 부식산의 이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가축분퇴비 원료에 부식산분말을 처리 후 퇴비화 특성변화와 퇴비의 시비에 따른 상추의 생육효과를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 부식산분말 0.1% 처리구(0.1% HA), 부식산분말 0.5% 처리구(0.5% HA), 부식산분말 1.0% 처리구(1.0% HA), 부식산분말 3.0% 처리구(3.0% HA),부식산분말 5.0% 처리구(5.0% HA)로 설정하였다. 부식산분말 처리 후 온도, 수분 함량, 유기물 함량, 질소 함량 및 유기물대 질소비는 처리구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퇴비원료 배합 후 3% HA 처리구와 5.0% HA 처리구의 pH는 다른 처리구보다 낮았으나 퇴비화동안에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부식산분말 처리 퇴비의 부식산 함량은 대조구보다 1.7~4.4배 더 높았고, 악취지수는 3.0% HA 처리구와 5.0% HA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부식산분말 처리 퇴비 처리구 중 3.0% HA 처리구에서 상추의 건물중은 대조구보다 약 7% 증가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초록
      • 서론
      • 2. 재료 및 방법
      • 3. 결과 및 고찰
      • Abstract
      • 초록
      • 서론
      • 2. 재료 및 방법
      • 3. 결과 및 고찰
      • 4. 결론
      • 사사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수길, "피트에서 추출한 부식산 표면에 대한 카드뮴과 구리의 경쟁 흡착" 한국토양비료학회 35 (35): 344-351, 2002

      2 한효심, "토착미생물별 가축분 퇴비화 과정중 생물화학적 특성 변화" 한국토양비료학회 45 (45): 1126-1135, 2012

      3 장기운, "축분 퇴비의 이화학적 특성과 발아지수를이용한 부숙도 평가" 한국토양비료학회 41 (41): 137-142, 2008

      4 강종헌, "육류에 대한 쾌락적 신념, 양면가치, 주관적 규범, 태도와 육류 소비행동의 인과관계 평가" 한국생활과학회 17 (17): 141-150, 2008

      5 이상수, "우분 퇴비공장 주변 농경지 및 수계의 계절별 잔류 항생물질 모니터링" 한국토양비료학회 43 (43): 612-618, 2010

      6 김홍기, "부식산 시용이 토마토의 생장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농학회 26 (26): 313-318, 2007

      7 고한종, "메탄발효와 퇴비화 공정이 연계된 가축분뇨 처리시설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 특성 조사" 한국축산학회 50 (50): 391-400, 2008

      8 이종식, "만경강 및 동진강 수계의 BOD에 의한 수질평가" 한국환경농학회 23 (23): 81-84, 2004

      9 김영선, "동애등애 분변토의 혼합비율에 따른 토양이화학적 특성" 한국잔디학회 25 (25): 106-111, 2011

      10 손상목, "기능성 퇴비가 배추의 생육 특성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10 (10): 3-56, 2002

      1 임수길, "피트에서 추출한 부식산 표면에 대한 카드뮴과 구리의 경쟁 흡착" 한국토양비료학회 35 (35): 344-351, 2002

      2 한효심, "토착미생물별 가축분 퇴비화 과정중 생물화학적 특성 변화" 한국토양비료학회 45 (45): 1126-1135, 2012

      3 장기운, "축분 퇴비의 이화학적 특성과 발아지수를이용한 부숙도 평가" 한국토양비료학회 41 (41): 137-142, 2008

      4 강종헌, "육류에 대한 쾌락적 신념, 양면가치, 주관적 규범, 태도와 육류 소비행동의 인과관계 평가" 한국생활과학회 17 (17): 141-150, 2008

      5 이상수, "우분 퇴비공장 주변 농경지 및 수계의 계절별 잔류 항생물질 모니터링" 한국토양비료학회 43 (43): 612-618, 2010

      6 김홍기, "부식산 시용이 토마토의 생장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농학회 26 (26): 313-318, 2007

      7 고한종, "메탄발효와 퇴비화 공정이 연계된 가축분뇨 처리시설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 특성 조사" 한국축산학회 50 (50): 391-400, 2008

      8 이종식, "만경강 및 동진강 수계의 BOD에 의한 수질평가" 한국환경농학회 23 (23): 81-84, 2004

      9 김영선, "동애등애 분변토의 혼합비율에 따른 토양이화학적 특성" 한국잔디학회 25 (25): 106-111, 2011

      10 손상목, "기능성 퇴비가 배추의 생육 특성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10 (10): 3-56, 2002

      11 곽정훈, "공기공급량에 따른 산란계분의 퇴비화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 16 (16): 135-142, 2010

      12 김영선, "골프장에 사용되는 4가지 토양개량제들의 혼합비율에 따른 토양이화학성의 변화" 한국잔디학회 24 (24): 205-210, 2010

      13 이종진, "가축분뇨를 활용한 도시텃밭 재배용토 제조 및 효능성 평가" 유기성자원학회 23 (23): 61-66, 2015

      14 Miller, F.C., "Thermodynamic and matric water potential analysis in field and laboatory scale composting ecosystem" University Microfilms 1985

      15 Kim, S.B., "The study of reuse, putting the bulking agent into food waste and livestock feces" 9 (9): 127-135, 2001

      16 NIAST, "The methods of analysis and sampling for fertilizer"

      17 Lee, Y.S, "The effect of humic acids on the moderation of high salt toxicity" 9 (9): 257-260, 1976

      18 박연희, "Phyllite를 이용한 퇴비 시용에 따른 토양특성 변화 및 작물에 대한 효용성 평가" 유기성자원학회 10 (10): 2002

      19 Kang, H.W., "Investigation on optimal aeration rate for minimizing odor emission during composting poultry manure with sawdust" 20 (20): 225-231, 2001

      20 Han, D.S., "Influence of humic or fulvic acid on phytotoxicity of bentazone" 12 (12): 162-168, 1993

      21 Han, B.K., "Estimation on ability of livestock manure digestion for upland crops" 34 (34): 165-172, 2001

      22 Choi, M.H., "Effects of seeding on the microbial changes during thermophilic composting of food waste" 4 (4): 1-11, 1996

      23 Lee, S.H., "Effects of functional ingredients supplementation as a bulking agent in composting of swine manure" 9 (9): 113-121, 2001

      24 Choi, D.U., "Effect of zeolite supplement on the composition of compost" 16 (16): 223-227, 1983

      25 Min, K.H.,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aper mill sludge amended with pig manure in composting process" 8 (8): 86-92, 2000

      26 Lee, J.T.,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flora of pig manure due to composting with some bulking agents" 34 (34): 134-144, 2001

      27 Kenyon, P.M., "Attitudes towards meat-eating in vegetarian and non-vegetarian teenage girls in England: An ethnographic approach" 30 : 185-198, 1998

      28 Yang, J.E., "Amino acids in humic acids extracted from orgaic by-product fertilizer" 31 (31): 128-136, 1998

      29 Shon, S.M., "Agronomic effect of high quality compost mixed with brown seaweed for environmentally benign organic farming" 10 (10): 95-109,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2차)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5-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폐기물자원화 -> 유기물자원화
      외국어명 : Jornal of Korea Organic Waste Recycling Council -> Jornal of Korea Organic Resource Recycling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2 0.39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