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산재근로자의 사회관계 변화와 삶의 만족 변화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of Social Relations and Life Satisfaction of Injured wor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265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change on the change of life satisfaction and the satisfaction of life injured workers with time. In order to achieve this study objective, this study applied the latent growth model using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anel 1-5, 1,616 waves of the Korea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Corpor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the tendency of changes in the satisfaction of life of injured workers showed the gradually decreased with the passage of time. Second, through the analysis of latent growth model, we could confirm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relations change and the satisfaction of life of the injured work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satisfaction and social relations of life injured workers were gradually lowered with time. Therefore, policy maker have to efforts and services for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relations of injured workers. This study suggested that an integrated approach of social relations system is needed to improve social relations in relation to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injured work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change on the change of life satisfaction and the satisfaction of life injured workers with time. In order to achieve this study objective, this study applied the latent growth model us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change on the change of life satisfaction and the satisfaction of life injured workers with time. In order to achieve this study objective, this study applied the latent growth model using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anel 1-5, 1,616 waves of the Korea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Corpor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the tendency of changes in the satisfaction of life of injured workers showed the gradually decreased with the passage of time. Second, through the analysis of latent growth model, we could confirm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relations change and the satisfaction of life of the injured work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satisfaction and social relations of life injured workers were gradually lowered with time. Therefore, policy maker have to efforts and services for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relations of injured workers. This study suggested that an integrated approach of social relations system is needed to improve social relations in relation to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injured work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산재근로자의 삶의 만족 변화와 삶의 만족 변화에 대한 사회관계 변화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산재보험패널 1-5차 년도 조사에 모두 응답한 1,616명 자료 활용한 잠재성장모델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산재근로자의 삶의 만족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점차 삶의 만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산재근로자의 사회관계와 삶의 만족 변화 궤적과 상호 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산재근로자의 삶의 만족과 사회관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낮아지는 것을 고려하여 산재근로자의 삶의 만족과 사회관계를 향상하기 위한 노력과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의 삶의 만족을 향상과 관련하여 사회관계를 향상하기 위한 사회관계의 체계별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산재근로자의 삶의 만족 변화와 삶의 만족 변화에 대한 사회관계 변화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산재보험패널 1-5차 ...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산재근로자의 삶의 만족 변화와 삶의 만족 변화에 대한 사회관계 변화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산재보험패널 1-5차 년도 조사에 모두 응답한 1,616명 자료 활용한 잠재성장모델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산재근로자의 삶의 만족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점차 삶의 만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산재근로자의 사회관계와 삶의 만족 변화 궤적과 상호 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산재근로자의 삶의 만족과 사회관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낮아지는 것을 고려하여 산재근로자의 삶의 만족과 사회관계를 향상하기 위한 노력과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의 삶의 만족을 향상과 관련하여 사회관계를 향상하기 위한 사회관계의 체계별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병선,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1 (41): 63-92, 2013

      2 박애선, "재취업 산재근로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웰니스학회 13 (13): 349-362, 2018

      3 오진주, "재가 산재장애인들의 지역사회 재활서비스 이용 실태 및 요구도" 14 (14): 179-189, 2003

      4 김경희, "장해를 가진 산업재해근로자의 경제활동과 사회경제적 지위상태의 변화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2) : 93-116, 2017

      5 김선주, "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분석: 경향점수에 의한 결합표집방법을 활용하여" 사회과학연구소 29 (29): 361-385, 2013

      6 "안전보건공단 2017년 산업재해 발생현황, 2018.6월말 산업재해 발생현황"

      7 한정원, "산재환자의 외상후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167-177, 2018

      8 전보영, "산재장애인의 취업 및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애발생 후 직업복귀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199-222, 2010

      9 장유미, "산재장애인 재활서비스와 일상생활만족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재활복지공학회 9 (9): 275-283, 2015

      10 근로복지공단, "산재보상·재활 서비스 가이드 2018"

      1 박병선,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1 (41): 63-92, 2013

      2 박애선, "재취업 산재근로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웰니스학회 13 (13): 349-362, 2018

      3 오진주, "재가 산재장애인들의 지역사회 재활서비스 이용 실태 및 요구도" 14 (14): 179-189, 2003

      4 김경희, "장해를 가진 산업재해근로자의 경제활동과 사회경제적 지위상태의 변화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2) : 93-116, 2017

      5 김선주, "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분석: 경향점수에 의한 결합표집방법을 활용하여" 사회과학연구소 29 (29): 361-385, 2013

      6 "안전보건공단 2017년 산업재해 발생현황, 2018.6월말 산업재해 발생현황"

      7 한정원, "산재환자의 외상후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167-177, 2018

      8 전보영, "산재장애인의 취업 및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애발생 후 직업복귀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199-222, 2010

      9 장유미, "산재장애인 재활서비스와 일상생활만족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재활복지공학회 9 (9): 275-283, 2015

      10 근로복지공단, "산재보상·재활 서비스 가이드 2018"

      11 정원일, "산재발생요인과 근로손실분석- 소규모 제조업체에 고용된 국내 근로자와 외국인 노동자 비교분석 -" 한국경제연구학회 29 (29): 139-174, 2011

      12 이윤진, "산재근로자의 재활서비스 이용 욕구와 성공적인 직업복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3-27, 2015

      13 박유진, "산재근로자의 신체, 심리, 직업적 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 모형 구축을 통해" 한국직업재활학회 27 (27): 43-64, 2017

      14 김선미, "산재근로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389-411, 2015

      15 김영춘, "산재 근로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813-822, 2018

      16 우미경, "산업재해환자 가족원의 부담감과 적응에 관한 연구" 15 (15): 104-114, 2006

      17 옥금희, "산업재해 환자의 정신과적 문제" 7 (7): 27-33, 2002

      18 김수인, "산업재해 환자의 삶의 질, 자살사고 및 우울증상"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0 (40): 416-424, 2001

      19 장정미, "산업재해 근로자의 사건충격, 불안 및 우울 수준"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 (20): 234-242, 2009

      20 송태민, "보건복지연구를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 한나래아카데미 2012

      21 신성일, "노인의 삶의 질에 관련된 변인들의 메타분석" 한국상담학회 14 (14): 3673-3690, 2013

      22 Iravani, M, R., "Sociological Study of th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Disabled Workers" 2 (2): 211-224, 2014

      23 박성민, "Satisfaction with life and the risk of occupational injury" 대한직업환경의학회 30 (30): 1-7, 2018

      24 Fuhrer, J. M., "Relationship of Life Satisfaction to Impairment, Disability, and Handicap Among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Living in the Community" 73 : 552-557, 1992

      25 Marcel W. M., "LIFE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COMPARED TO A POPULATION GROUP" 30 : 23-30, 1998

      26 Choi, W. S., "Impact of the number of painful stimuli on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industrial accident workers completing convalescence" 54 : 460-468, 2016

      27 Marcel W. M., "Impact of social support on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in people with a spinal cord injury" 14 (14): 679-695, 1996

      28 Marcel P. J.,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mong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80 : 867-876, 1999

      29 배병렬, "AMOS 21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도서출판 청람 2014

      30 근로복지공단, "2018년도 산재·고용보험 가입 및 부과업무 실무편람"

      31 김장기, "2011 경제발전경험모듈화사업: 산재보험제도의 구축과 운영" 고용노동부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2 1.52 2.001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