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프락토올리고당 첨가 블루베리청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lueberry syrup prepared with fructooligosacchari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085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고열량 당분인 설탕 대신에 프락토올리고당을 사용하여 블루베리 청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설탕 함량, pH 및 색도 측정을 하였고, 항산화활성 및 페놀성...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고열량 당분인 설탕 대신에 프락토올리고당을 사용하여 블루베리 청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설탕 함량, pH 및 색도 측정을 하였고, 항산화활성 및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하여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L^{\ast}$ 값(명도), pH 및 색상은 프락토올리고당의 배합 비율이 높은 청에서 높았다. $a^{\ast}$값(적색도)은 열처리된 청에 대해 높았으며, $b^{\ast}$ 값(황색도)은 $L^{\ast}$ 값과 반대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열처리된 프락토올리고당 함유 청은 열처리 하지 않은 청보다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더 높았다. 블루베리 청의 항산화 활성은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조분쇄 생블루베리와 프락토올리고당을 1:1 비율로 배합하여 열처리한 S2 샘플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용된 감미료의 맛에 대한 우리의 친숙함이 우리의 취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설탕에 적합한 대안을 찾기 위해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한 새로 개발된 감미료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blueberry syrup (cheung) using fructooligosaccharide instead of the traditionally used sucrose. The sugar content, pH, and colorimetric values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prepared syrup, and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blueberry syrup (cheung) using fructooligosaccharide instead of the traditionally used sucrose. The sugar content, pH, and colorimetric values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prepared syrup,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 content were determined to assess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syrup. The $L^{\ast}$ value (lightness), pH, and color were high in syrups containing a high proportion of fructooligosaccharide. The $a^{\ast}$ value (redness) was high in syrups subjected to heat treatment, and the $b^{\ast}$ value (yellowness) tended to be the opposite of the $L^{\ast}$ value. Moreover, syrups containing heat-treated fructooligosaccharide showed higher polyphenol, flavonoid, and anthocyanin contents than the unheated syrups di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blueberry cheung depended on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The highest value was obtained in the cheung prepared using a heat-treated 1:1 mixture of blended raw blueberry and fructooligosaccharide (S2).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ur familiarity with the taste of the sweetener used influences our taste preference.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study other newly developed sweeteners apart from fructooligosaccharide to find a suitable alternative to sucro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희, "프락토올리고당 첨가 흑마늘 잼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916-922, 2010

      2 나연미, "프락토 올리고당을 첨가한 토마토잼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227-232, 2012

      3 고경아, "추출조건에 따른 블루베리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2 (22): 428-436, 2015

      4 한지민, "블루베리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265-271, 2013

      5 엄수나, "느타리속 버섯류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한국식품과학회 42 (42): 90-96, 2010

      6 김민영, "녹두 가수분해물의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열처리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5 (45): 34-39, 2013

      7 문혜경, "국내산과 미국산 블루베리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524-531, 2013

      8 조원준, "국내산 블루베리의 품종별 성분분석 및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잼 제조"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319-323, 2010

      9 황승환, "국내산 블루베리 첨가 머핀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727-734, 2010

      10 신동선, "건조 온도에 따른 블루베리의 품질변화 및 항산화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2 (22): 505-511, 2015

      1 김민희, "프락토올리고당 첨가 흑마늘 잼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916-922, 2010

      2 나연미, "프락토 올리고당을 첨가한 토마토잼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227-232, 2012

      3 고경아, "추출조건에 따른 블루베리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2 (22): 428-436, 2015

      4 한지민, "블루베리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265-271, 2013

      5 엄수나, "느타리속 버섯류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한국식품과학회 42 (42): 90-96, 2010

      6 김민영, "녹두 가수분해물의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열처리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5 (45): 34-39, 2013

      7 문혜경, "국내산과 미국산 블루베리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524-531, 2013

      8 조원준, "국내산 블루베리의 품종별 성분분석 및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잼 제조"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319-323, 2010

      9 황승환, "국내산 블루베리 첨가 머핀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727-734, 2010

      10 신동선, "건조 온도에 따른 블루베리의 품질변화 및 항산화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2 (22): 505-511, 2015

      11 Anesini C,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y of commercially available tea(Camellia sinensis)in Argentina" 56 : 9225-9229, 2008

      12 Hattenschwiler S, "The role of polyphenols in terrestrial ecosystem nutrient cycling" 15 : 238-243, 2000

      13 Moynihan P,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diet and oral health" 64 : 571-580, 2005

      14 Kim MY, "The effects of fructo-oligosaccharid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am" 16 : 530-537, 2000

      15 Kirigaya N, "Studies on antioxidant activity of nonenzym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Part I. Relations of color intensity and reductones with antioxidant activity of browning reaction products" 32 : 287-290, 1968

      16 Rice-Evans CA,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20 : 933-956, 1996

      17 Lee KH, "Quality charateristics of apple jam with fructo-oligosaccharide" Kyungwon University 2010

      18 James J, "Prevention of childhood obesity by reducing soft drinks" 29 : 54-57, 2005

      19 Rousseau V, "Prebiotic effects of oligosaccharides on selected vaginal lactobacilli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11 : 145-153, 2005

      20 Naczk M, "Phenolics in cereals, fruits and vegetables: occurrence, extraction and analysis" 41 : 1523-1542, 2006

      21 Hur KT, "Oligosaccharides" Yuhanmunhwasa 59-, 1992

      22 Gomyo T, "Melanoidin in foods: chemical and physiological aspects" 36 : 331-340, 1983

      23 Hidaka H, "Industrial production of fructooligosaccharides and its application for human and animals" 61 : 915-923, 1987

      24 Ahmad N,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3-gallate differentially modulates nuclear factor κB in cancer cells versus normal cells" 376 : 338-346, 2000

      25 Knekt P, "Flavonoid intake and coronary mortality in Finland: a cohort study" 312 : 478-481, 1996

      26 Kang KH, "Effects of the fructooligosaccharide intake on human fecal microflora and fecal properties" 28 : 609-615, 1996

      27 Laaksonen DE, "Dietary carbohydrate modification enhances insulin secretion in persons with the metabolic syndrome" 82 : 1218-1227, 2005

      28 Sharma OP, "DPPH antioxidant assay revisited" 113 : 1202-1205, 2009

      29 Giusti MM, "Current Protocols in Food Analytical Chemistry" John Wiley and Sons Inc F1.2.1-F1.2.13, 2001

      30 Shim SM, "Consumers’ knowledge and safety perceptions of food additives: Evalu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 preservatives" 22 : 1054-1060, 2011

      31 Parry J, "Chemical compositions, antioxidant capacities,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selected fruit seed flours" 54 : 3773-3778, 2006

      32 Yun JW, "Batch production of high-content fructooligosaccharides from sucrose by the mixed-enzyme system of β-fructofuranosidase and glucose oxidase" 77 : 159-163, 1994

      33 Tsuda T,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anthocyanin pigments cyanidin 3-O-β-D-glucoside and cyanidin" 42 : 2407-2410, 1994

      34 Hertog MGL, "Antioxidant flavonols and coronary heart disease risk" 349 : 699-, 1997

      35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stable free radical" 181 : 1199-1200, 1958

      36 Su MS, "Antioxidant activity, anthocyanins, and phenolics of rabbiteye blueberry(Vaccinium ashei)fluid products as affected by fermentation" 104 : 182-187, 2007

      37 Re R,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6 : 1231-1237, 1999

      38 Martineau LC, "Anti-diabetic properties of the Canadian lowbush blueberry Vaccinium angustifolium Ait" 13 : 612-623,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1-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0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3-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 1.63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