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치료교육전담 순회교사들의 근무여건과 만족도를 알아보고, 순회 치료교육활동의 운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치료교육전담 순회교사 총 130명을 대상으로 하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030476
2007
Korean
순회 치료교육활동 ; 치료교육전담 순회교사 ; 치료교육 ; 특수학급
KCI등재
학술저널
249-277(29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는 치료교육전담 순회교사들의 근무여건과 만족도를 알아보고, 순회 치료교육활동의 운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치료교육전담 순회교사 총 130명을 대상으로 하였...
본 연구는 치료교육전담 순회교사들의 근무여건과 만족도를 알아보고, 순회 치료교육활동의 운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치료교육전담 순회교사 총 1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회수
된 설문지 92부 중에서 불성실 답변을 한 5부를 제외한 87부(66.9%)를 분석하였다.
첫째, 치료교육전담 순회교사 근무 장소로는‘교육청 학무국’이 가장 많았으며, 만족도는 46%가
불만이었으며, 자가 연수가 있는 경우는 42.5%에 불과했다. 이동(교통) 수단으로는‘대중교통’이
56.3%로 가장 많았으며, 현재 만족도(M=3.99), 학생 수 만족도(M=3.14), 행정 지원 만족도
(M=3.82) 등에서 불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료교육전담 순회교사는 평균 7.11개 학교, 8.91개 학급, 16.16명의 학생을 담당하며,‘주
당 수업 시수’는 16.78시간, 대상 학생은‘초등부’가 88.4%,‘정신지체’가 48.5% 나타났으며, 수
업 형태는‘개별 수업’이 75.5%, 지도 영역은‘언어치료’가 47.0%, 수업 장소는‘특수학급 교실’
이 56.5%로 가장 많았다. 연간운영계획은 80.5%가 수립되어 있지만 예산 편성이 되어 있는 곳은
23.0%에 불과 했으며, 가장 큰 문제점으로‘수업자료 빈약’(35.6%)을 들었으며,‘치료교육전담 순
회교사’(8.0%)보다‘특수학교 치료교육교사’(70.2%)를 더 선호하였다.
셋째, 치료교육전담 순회교사의 가장 중요한 자질은‘전문지식’이 62.1%로 가장 많았으며, 선호하는
지도 유형은‘개별 및 집단 지도’가 56.4%, 집단 인원은‘2명’이 46.0%, 주당 수업 횟수는‘2회’가
69.0%, 1회당 시간은‘1시간’이 72.4%로 가장 많았다. 치료교육전담 순회교사 1인이 담당하는 전체
학생은‘7-9명’이 39.2%, 적정 주당 수업시수는‘14-16시간’이 57.6%로 가장 많았다. 직무연수는
97.7%가‘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순회 치료교육활동의 활성화 방안별 필요 정도에서는‘치료교육 기자
재 확충’과‘치료교육전담 순회교사의 근무여건 개선’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특수학교 순회교사의 교육수행활동에 대한 실태와 문제분석" 1998
2 "특수아 치료교육원론" 대구 :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6
3 "특수교육진흥법 규정의 분석과 해석 주요 용어의 정의를 중심으로" 10 (10): 3-32, 2003
4 "특수교육 자문교사 및 순회교사제 운영방안" 경기 : 국립특수교육원 1996
5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서울 : 교육부 2006b
6 "특수교육 실태조사서" 서울 : 교육부 2006a
7 "치료교육의 해체와 특수교육의 재구성" 2 (2): 23-55, 2001
8 "중복·지체부자유아 교육" 대구 :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3
9 "재택·순회교육 지원체제의 한·일 비교 연구" 40 : 59-84, 2002
10 "재택·순회교육" 대구 :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9
1 "특수학교 순회교사의 교육수행활동에 대한 실태와 문제분석" 1998
2 "특수아 치료교육원론" 대구 :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6
3 "특수교육진흥법 규정의 분석과 해석 주요 용어의 정의를 중심으로" 10 (10): 3-32, 2003
4 "특수교육 자문교사 및 순회교사제 운영방안" 경기 : 국립특수교육원 1996
5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서울 : 교육부 2006b
6 "특수교육 실태조사서" 서울 : 교육부 2006a
7 "치료교육의 해체와 특수교육의 재구성" 2 (2): 23-55, 2001
8 "중복·지체부자유아 교육" 대구 :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3
9 "재택·순회교육 지원체제의 한·일 비교 연구" 40 : 59-84, 2002
10 "재택·순회교육" 대구 :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9
11 "자폐아동의 방과후 지도 실태와 학부모 욕구 분석" 19 (19): 19-44, 2003
12 "순회재택교육에서의 치료교육의 실제"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1999
13 "순회교육의 운영 방향" 경기 : 국립특수교육원 4 (4): 1997
14 "미국의 재택 순회교욱 현황" 경기 : 국립특수교육원 4 (4): 1997
15 "The itinerant teacher's handbook" Hillsboro, OR: Butte Publications 2003
16 "Itinerant Teaching : Tricks of the Trade for Teacher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Second Edition" New York :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2005
Praat를 이용한 자가 음성훈련 프로그램이 성대결절 환자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효과
1차 산업 분야에서의 장애인 사회적 기업 육성 가능성 및 전략에 대한 고찰
교수-학습지원센터 홈페이지의 접근성 및 특수교육 콘텐츠 현황 분석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1.2 | 1.2 | 1.2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1.18 | 1.16 | 1.464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