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재즈 드럼 반주법 연구 : 멜로디 반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69592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명지대학교 문화예술 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Jazz Drum Accompaniment

      • 형태사항

        ⅹ, 86 p : 일부 악보 ; 26cm + 전자 광디스크(CD-ROM) 1매(12 cm)

      • 일반주기명

        명지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한정석
        권말에 부록 수록
        참고문헌 : p.74

      • 소장기관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리듬패턴 위주의 드럼 반주법에서 벗어나 한층 더 음악적인 반주가 되기 위해 멜로디가 가지고 있는 리듬적 요소를 드럼 리듬에 효과적으로 적용한 드럼 반주의 예를 찾아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의 기준이 된 반주의 방법은 세 가지로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멜로디를 표현하는 반주법이다. 스윙 장르 6곡을 분석곡으로 선정하여 멜로디가 가지고 있는 리듬을 그대로 표현하면서 발생하는 드럼 리듬의 변화와 이에 따른 드럼세트의 활용 방법을 비교 분석 하였다.

      두 번째 리듬적인 멜로디 섹션 반주법이다. 펑크 장르 3곡과 스윙 스타일 3곡을 분석곡으로 선정하여 리듬적 요소가 강한 멜로디 섹션을 연주할 때 발생하는 드럼 리듬의 변화와 이에 따른 드럼세트의 활용 방법을 비교 분석 하였다.

      세 번째 멜로디 당김음 반주법이다. 스윙 장르 4곡을 분석곡으로 선정하고 각 멜로디의 당김음에 대해 드럼 리듬을 표현하는 반주 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위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멜로디의 리듬을 응용한 드럼 반주법을 적용하여 스윙 장르 3곡, 펑크 장르 1곡을 재현 후 녹음하였다.

      재즈 드럼 반주법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멜로디를 표현하는 반주법에는 스네어, 킥 드럼, 하이햇 또는 라이드 등 주요 드럼 리듬을 구성하는 오케스트레이션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오케스트레이션을 통해 멜로디가 가지고 있는 리듬을 모방하였다. 또한 멜로디 리듬을 표현하면서 발생되는 드럼 리듬의 추가하기, 생략하기, 장식하기를 사용하여 리듬 변화가 이루어 졌다.

      두 번째, 리듬적인 멜로디 섹션 반주법에는 탐과 플로어 탐을 추가하여 전체적인 드럼세트 오케스트레이션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오케스트레이션을 응용해 멜로디 섹션 음정 진행에도 반응하였다. 역시 드럼 리듬의 추가하기, 생략하기, 장식하기를 사용한 리듬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세 번째, 멜로디 당김음 반주법에 대해서는 붙임줄 당김음, 쉼표적 당김음, 엑센트적 당김음의 3가지 종류가 있음을 먼저 확인할 수 있었다. 이 3가지 종류의 멜로디 당김음은 드럼 반주시에, 사용하기, 이와 반대로 사용 안하기, 임의적 사용하기, 그리고 준비음 사용하기를 통해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리듬패턴 위주의 드럼 반주법에서 벗어나 한층 더 음악적인 반주가 되기 위해 멜로디가 가지고 있는 리듬적 요소를 드럼 리듬에 효과적으로 적용한 드럼 반주의 예를 찾아...

      본 논문의 목적은 리듬패턴 위주의 드럼 반주법에서 벗어나 한층 더 음악적인 반주가 되기 위해 멜로디가 가지고 있는 리듬적 요소를 드럼 리듬에 효과적으로 적용한 드럼 반주의 예를 찾아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의 기준이 된 반주의 방법은 세 가지로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멜로디를 표현하는 반주법이다. 스윙 장르 6곡을 분석곡으로 선정하여 멜로디가 가지고 있는 리듬을 그대로 표현하면서 발생하는 드럼 리듬의 변화와 이에 따른 드럼세트의 활용 방법을 비교 분석 하였다.

      두 번째 리듬적인 멜로디 섹션 반주법이다. 펑크 장르 3곡과 스윙 스타일 3곡을 분석곡으로 선정하여 리듬적 요소가 강한 멜로디 섹션을 연주할 때 발생하는 드럼 리듬의 변화와 이에 따른 드럼세트의 활용 방법을 비교 분석 하였다.

      세 번째 멜로디 당김음 반주법이다. 스윙 장르 4곡을 분석곡으로 선정하고 각 멜로디의 당김음에 대해 드럼 리듬을 표현하는 반주 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위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멜로디의 리듬을 응용한 드럼 반주법을 적용하여 스윙 장르 3곡, 펑크 장르 1곡을 재현 후 녹음하였다.

      재즈 드럼 반주법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멜로디를 표현하는 반주법에는 스네어, 킥 드럼, 하이햇 또는 라이드 등 주요 드럼 리듬을 구성하는 오케스트레이션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오케스트레이션을 통해 멜로디가 가지고 있는 리듬을 모방하였다. 또한 멜로디 리듬을 표현하면서 발생되는 드럼 리듬의 추가하기, 생략하기, 장식하기를 사용하여 리듬 변화가 이루어 졌다.

      두 번째, 리듬적인 멜로디 섹션 반주법에는 탐과 플로어 탐을 추가하여 전체적인 드럼세트 오케스트레이션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오케스트레이션을 응용해 멜로디 섹션 음정 진행에도 반응하였다. 역시 드럼 리듬의 추가하기, 생략하기, 장식하기를 사용한 리듬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세 번째, 멜로디 당김음 반주법에 대해서는 붙임줄 당김음, 쉼표적 당김음, 엑센트적 당김음의 3가지 종류가 있음을 먼저 확인할 수 있었다. 이 3가지 종류의 멜로디 당김음은 드럼 반주시에, 사용하기, 이와 반대로 사용 안하기, 임의적 사용하기, 그리고 준비음 사용하기를 통해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xamples of applying rhythmic elements of melody on rhythm of drum, so that the one can be musically better accompanying drummer without remaining in rhythm pattern oriented drum accompaniment. The way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elody expressing accompaniment. 6 selected swing style renditions show comparison and analysis that show the change of drum rhythm occurring with expressing rhythm as melody contains and the methods of utilizing the drum set.

      Second, rhythmic melody section accompaniment. By selecting 3 funk style renditions and 3 swing style renditions, rhythm changes of drum when playing melodic section which has strong rhythm elements and the methods of utilizing the drum set are compared and investigated.

      For the last, melodic syncopation accompaniment. Choosing 4 swing style renditions, and concentrating on comparing and analyzing the ways to express about the melodic syncopation with the rhythm of the drum.

      By applying example of research, 3 swing style renditions and 1 funk style rendition are recorded.
      The result computed through research of accompaniment is as follows.

      First, about the melody expressing accompaniment, orchestration mainly composed of drum rhythm is used with snare, kick drum, hihat or ride. and it takes adding, leaving out, ornamenting rhythm of the drum regarding melodic rhythm.

      Second, about rhythmic melody section accompaniment, it uses orchestration of the overall drum set adding tom and floor tom, utilizing orchestration reacting towards melodic tune progression of the section. And it utilizes adding, emitting, ornamenting with drum rhythm regarding melodic section rhythm.

      Third, about melodic syncopation accompaniment, there are three types of melodic syncopation; tie syncopation, rest syncopation and accent syncopation. Melodic syncopation can be expressed by utilizing three types of melodic syncopation as the drummer accompaniment or not using it on the other way, arbitrary uses, and using preparation notes.
      번역하기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xamples of applying rhythmic elements of melody on rhythm of drum, so that the one can be musically better accompanying drummer without remaining in rhythm pattern oriented drum accompaniment. ...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xamples of applying rhythmic elements of melody on rhythm of drum, so that the one can be musically better accompanying drummer without remaining in rhythm pattern oriented drum accompaniment. The way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elody expressing accompaniment. 6 selected swing style renditions show comparison and analysis that show the change of drum rhythm occurring with expressing rhythm as melody contains and the methods of utilizing the drum set.

      Second, rhythmic melody section accompaniment. By selecting 3 funk style renditions and 3 swing style renditions, rhythm changes of drum when playing melodic section which has strong rhythm elements and the methods of utilizing the drum set are compared and investigated.

      For the last, melodic syncopation accompaniment. Choosing 4 swing style renditions, and concentrating on comparing and analyzing the ways to express about the melodic syncopation with the rhythm of the drum.

      By applying example of research, 3 swing style renditions and 1 funk style rendition are recorded.
      The result computed through research of accompaniment is as follows.

      First, about the melody expressing accompaniment, orchestration mainly composed of drum rhythm is used with snare, kick drum, hihat or ride. and it takes adding, leaving out, ornamenting rhythm of the drum regarding melodic rhythm.

      Second, about rhythmic melody section accompaniment, it uses orchestration of the overall drum set adding tom and floor tom, utilizing orchestration reacting towards melodic tune progression of the section. And it utilizes adding, emitting, ornamenting with drum rhythm regarding melodic section rhythm.

      Third, about melodic syncopation accompaniment, there are three types of melodic syncopation; tie syncopation, rest syncopation and accent syncopation. Melodic syncopation can be expressed by utilizing three types of melodic syncopation as the drummer accompaniment or not using it on the other way, arbitrary uses, and using preparation not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목 차 ▶
      • 악보목차 ⅲ
      • 표 목차 ⅵ
      • 국문 초록 ⅶ
      • ◀ 목 차 ▶
      • 악보목차 ⅲ
      • 표 목차 ⅵ
      • 국문 초록 ⅶ
      • 제1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 목적과 필요성 1
      • 제 2 절 연구범위 2
      • 제 3 절 연구곡 선정 4
      • 제 4 절 연구방법 8
      • 제 5 절 드럼 악보 표기법 10
      • 제 6 절 선행연구 11
      • 제2장 본 론 12
      • 제1절 멜로디를 표현하는 반주법 12
      • 2.1.1 Oleo - Sonny Rollins 12
      • 2.1.2 In Walked Bud - Thelonius Monk 13
      • 2.1.3 Billie's Bounce - Charlie Parker 16
      • 2.1.4 Evidence - Thelonius Monk 17
      • 2.1.5. Giant Steps - John Coltrane 20
      • 2.1.6. Pent Up House - Sonny Rollins 22
      • 제 2 절 리듬적인 멜로디 섹션 반주법 25
      • 2.2.1 Chameleon - Herbie Hancock 26
      • 2.2.2 The Chicken - Jaco Pastorius 29
      • 2.2.3 Rio Funk - Lee Ritenour 32
      • 2.2.4 Four On Six - Wes Montgomery 37
      • 2.2.5 Dear Old Stockholm - Varme Land 39
      • 2.2.6 Doxy - Sonny Rolllins 42
      • 제 3 절 멜로디 당김음 반주법 45
      • 2.3.1 멜로디의 당김음 사용하기 45
      • 2.3.2 멜로디의 당김음 사용 안하기 49
      • 2.3.3 임의적 사용하기 52
      • 3.3.4 준비음(preparation note) 사용하기 55
      • 제 4 절 연구 결과 적용 58
      • 2.4.1 Four - Miles Davis 58
      • 2.4.2 Move - Denzil Best 59
      • 2.4.3 Isn't She Lovely - Stevie Wonder 60
      • 2.4.4 Moose the Mooche / Charile Parker 62
      • 제3장 결 론 72
      • 제 1 절 결론 72
      • 제 2 절 제언 73
      • 참고 문헌 74
      • 부록 1 - Oleo 전체 멜로디 75
      • 부록 2 - 1In Walked Bud 전체 멜로디 76
      • 부록 3 - Billie's Bounce 전체 멜로디 77
      • 부록 4 - Evidence 전체 멜로디 78
      • 부록 5 - Giant Steps 전체 멜로디 79
      • 부록 6 - Pent Up House 전체 멜로디 80
      • 부록 7 - Four 전체 멜로디 81
      • 부록 8 - Move 전체 멜로디 82
      • 부록 9 - Moose the Mooche 전체 멜로디 83
      • 부록 10 - 적용하여 녹음한 4곡의 세부사항 84
      • Abstract 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