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형 기동강습단 운용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Korean Expedition Strike Grou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686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국 안보환경이 급변하고 있고, 미래 해양안보는 전통적 안보위협과 더불어 초국가적, 비군사적 위협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세계 각국은 해양주권을 앞세워 자국의 이익만을 추구하여 군비경쟁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해군은 급변하는 안보상황에 대한 균형을 이루기 위해 해군력 발전이 시급하며 국제범죄와 재해재난 발생에 대비하여 해군의 역할 확대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제는 미래 해양안보를 고려한 해군의 역할을 확장해야 할 시점이다.
      관련하여 전통적으로 해양강국이며 현재의 패권국인 미국에서는 증대되는 안보위협에 대비한 효율적인 전투력 투사가 가능하도록 대체 방안을 추진하였다. 특히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새롭게 등장한 무기체계와 함정을 바탕으로 항모강습단을 대체할 강습상륙함을 중심으로 하는 원정강습단의 개념발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해군은 안보위협과 미래전의 양상을 고려할 때 미국 해군의 원정강습단을 어떻게 운용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한반도의 다양한 위협에 대응이 가능한 대한민국 해군에 적합한 한국형 원정강습단 운용개념을 검토하여 발전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국형 원정강습단 운용개념 발전에 있어 대한민국 해군의 기동함대사로의 발전과 연계하여 원정강습단이라는 용어를 대한민국 해군에게 적합한 개념의 용어로 변경하고, 대한민국 해군의 실정에 부합하도록 지휘 및 부대구조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향후 도입될 미래 한국형 항공모함의 전력화에 대비하여 전략적 가치를 지닌 한국형 원정강습단 운용개념을 정립하고 공세적, 적극적 해군력 운용을 위한 단계별 체계적 추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최근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국 안보환경이 급변하고 있고, 미래 해양안보는 전통적 안보위협과 더불어 초국가적, 비군사적 위협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세계 각국은 해양주권을 앞세워 자...

      최근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국 안보환경이 급변하고 있고, 미래 해양안보는 전통적 안보위협과 더불어 초국가적, 비군사적 위협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세계 각국은 해양주권을 앞세워 자국의 이익만을 추구하여 군비경쟁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해군은 급변하는 안보상황에 대한 균형을 이루기 위해 해군력 발전이 시급하며 국제범죄와 재해재난 발생에 대비하여 해군의 역할 확대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제는 미래 해양안보를 고려한 해군의 역할을 확장해야 할 시점이다.
      관련하여 전통적으로 해양강국이며 현재의 패권국인 미국에서는 증대되는 안보위협에 대비한 효율적인 전투력 투사가 가능하도록 대체 방안을 추진하였다. 특히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새롭게 등장한 무기체계와 함정을 바탕으로 항모강습단을 대체할 강습상륙함을 중심으로 하는 원정강습단의 개념발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해군은 안보위협과 미래전의 양상을 고려할 때 미국 해군의 원정강습단을 어떻게 운용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한반도의 다양한 위협에 대응이 가능한 대한민국 해군에 적합한 한국형 원정강습단 운용개념을 검토하여 발전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국형 원정강습단 운용개념 발전에 있어 대한민국 해군의 기동함대사로의 발전과 연계하여 원정강습단이라는 용어를 대한민국 해군에게 적합한 개념의 용어로 변경하고, 대한민국 해군의 실정에 부합하도록 지휘 및 부대구조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향후 도입될 미래 한국형 항공모함의 전력화에 대비하여 전략적 가치를 지닌 한국형 원정강습단 운용개념을 정립하고 공세적, 적극적 해군력 운용을 위한 단계별 체계적 추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第1章 序 論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
      • 第2章 韓半島 安保環境 變化와 機動强襲團의 必要性 8
      • 제1절 한반도 전장 환경의 변화와 주변국 해군력 증강 8
      • 第1章 序 論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
      • 第2章 韓半島 安保環境 變化와 機動强襲團의 必要性 8
      • 제1절 한반도 전장 환경의 변화와 주변국 해군력 증강 8
      • 제2절 신 작전개념 도입 필요성과 제반 환경조성 14
      • 제3절 기동강습단의 개념 및 필요성 19
      • 第3章 美國 遠征强襲團의 現況 및 國內導入 檢討 22
      • 제1절 미국 원정강습단 운용 현황 22
      • Ⅰ. 미국 원정강습단 등장 배경 및 발전 22
      • Ⅱ. 미국 원정강습단 운용개념 26
      • 제2절 한국형 원정강습단 필요성 및 명칭변경 27
      • Ⅰ. 對 북한 위협 27
      • Ⅱ. 對 주변국 위협 31
      • Ⅲ. 비군사적‧초군사적 위협 37
      • Ⅳ. 시사점 40
      • 第4章 韓國形 機動强襲團 運用方案 44
      • 제1절 기본 운용 개념 44
      • 제2절 지휘 및 부대 구조 46
      • Ⅰ. 기본 지휘 및 부대 구조 46
      • Ⅱ. 한국형 기동강습단으로의 3단계 발전방향 48
      • 제3절 전력구성 방안 51
      • Ⅰ. 임무목적별 한국형 기동강습단 구성 방안 51
      • Ⅱ. 위협수준별 한국형 기동강습단 구성 방안 56
      • Ⅲ. 한국형 기동강습단의 의의와 기반 조성 61
      • 제4절 기동강습단의 운용방안 62
      • 第5章 結 論 6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