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도네시아 보로부두르의 밀교적 성격 재고 = A Reassessment of the Esoteric Buddhist Elements in Borobudu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203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보로부두르는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에 이르는 불교의 우주관을 집대성한 조형물이다. 보로부두르에 온 순례자들은 보로부두르 각 층을 오른쪽으로 돌면서 진리를 찾는 선...

      보로부두르는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에 이르는 불교의 우주관을 집대성한 조형물이다. 보로부두르에 온 순례자들은 보로부두르 각 층을 오른쪽으로 돌면서 진리를 찾는 선재동자의 여행을 스스로 재현하고 체험하게 된다. 8-9세기 인도네시아의 건축 기술과 이를 뒷받침하는 수학, 공학, 건설 기술, 예술적 능력을 어떻게 집대성했는가를 잘 보여주는 보로부두르를 건설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은 짧은 기간에 습득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기존에 알려진 대로 샤일렌드라 왕조의 힘만이 아니라 산자야 계통의 후원과 협력으로 건축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탑도 아니고 사원도 아닌 구조이므로 밀교의 만다라로 기획되었다는 주장이 있으나 보로부두르 어디에서도 금강승 불교의 특색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만다라라기보다 샤일렌드라와 산자야 왕조의 권위를 과시하고 부조를 통해 불교 교리를 학습시키기 위해 보로부두르를 건설한 것으로 파악된다. 보로부두르는 불교가 인도네시아 중부 자바에서 어떻게 고도의 세계관을 형상화하는 능력을 구비하게 했으며, 권력의 지향에 따라 어떻게 짧은 시간에 융성할 수 있었는지를 잘 보여주는 구조물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orobudur is an exquisite monument in Central Java, Indonesia, that visually represents the Buddhist cosmology with the compilation of the world of the kāma-dhātu, the rūpa-dhātu, and the ārūpya-dhātu. The pilgrims who come to Borobudur will go...

      Borobudur is an exquisite monument in Central Java, Indonesia, that visually represents the Buddhist cosmology with the compilation of the world of the kāma-dhātu, the rūpa-dhātu, and the ārūpya-dhātu. The pilgrims who come to Borobudur will go up each terrace of Borobudur to the right, searching for the truth, and experiencing the trip of Sudhana by themselves. Borobudur indicates Indonesia's architectural technology and its supporting abilities such as mathematics, engineering, construction technology, and arts were assembled as one monument in the 8th and 9th centuries. Since the knowledge and skills that can construct a huge monument like Borobudur cannot be acquired in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likely to say that the Śailendra dynasty should have gotten support and cooperation from the Sanjaya dynasty. Since it is neither a stupa nor a temple, it is argued that Borobudur was designed as a mandala of Esoteric Buddhism. However, none of the elements of Vajrayana Buddhism can be identified in Borobudur. Rather than a mandala, Borobudur must have been built to show off the authority of the Śailendra and the Sanjaya dynasties and to make people learn Buddhist doctrine through its reliefs. Borobudur shows the way of how Buddhism embodies its philosophy as a monument and how it could have flourished in a short period of time on the back of the power of the kingdo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희정, "禮敬과 善業을 위하여: 繞匝을 위한 塔과 像"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10) : 142-165, 2011

      2 石井和子, "サン・ヒアン・カマハーヤーニカン(聖大乗論)』にみる古ジャワの 密教" 27 (27): 55-70, 1989

      3 田中公明, "インド․チベット曼陀羅の硏究" 法藏館 1996

      4 中村 元, "アヅア佛敎史. インド編VI 東南アヅアの佛敎 傳統と戒律の敎え" 佼成出版社 1973

      5 Zakharov, Anton A., "he Śailendras Reconsidered" The Nalanda-Srivijaya Centr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2

      6 Th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re of Archeology, "Uncovering the Meaning of the Hidden Base of Candi Borobudur" Th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re of Archeology 2009

      7 UNESCO, "UNESCO experts mission to Prambanan and Borobudur Heritage Sites" UNESCO Press release 20040

      8 Stutterheim, Willem F., "The meaning of the Hindu-Javanese Candi" 51 : 1-15, 1931

      9 Coedès, George, "The making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10 Lundquist, John M., "The Top Plan and the Upper Terraces" 45 (45): 283-304, 1995

      1 강희정, "禮敬과 善業을 위하여: 繞匝을 위한 塔과 像"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10) : 142-165, 2011

      2 石井和子, "サン・ヒアン・カマハーヤーニカン(聖大乗論)』にみる古ジャワの 密教" 27 (27): 55-70, 1989

      3 田中公明, "インド․チベット曼陀羅の硏究" 法藏館 1996

      4 中村 元, "アヅア佛敎史. インド編VI 東南アヅアの佛敎 傳統と戒律の敎え" 佼成出版社 1973

      5 Zakharov, Anton A., "he Śailendras Reconsidered" The Nalanda-Srivijaya Centr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2

      6 Th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re of Archeology, "Uncovering the Meaning of the Hidden Base of Candi Borobudur" Th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re of Archeology 2009

      7 UNESCO, "UNESCO experts mission to Prambanan and Borobudur Heritage Sites" UNESCO Press release 20040

      8 Stutterheim, Willem F., "The meaning of the Hindu-Javanese Candi" 51 : 1-15, 1931

      9 Coedès, George, "The making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10 Lundquist, John M., "The Top Plan and the Upper Terraces" 45 (45): 283-304, 1995

      11 Jaini, P. S., "The Story of Sudhana and Manohara : An Analysis of the Texts and the Borobudur Reliefs" 29 (29): 533-558, 1966

      12 Fontein, Jan, "The Sculpture of Indonesia" National Gallery of Art 1990

      13 Buswell Jr, Robert E.,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14 Fontein, Jan, "The Pilgrimage of Sudhana : A Study of Gandavyuha Illustrations in China, Japan and Java" Mouton 1967

      15 Sundberg, Jeffrey, "The Life of the Tang Court Monk Vajrabodhi as Chronicled by Lü Xiang(呂向) : South Indian and Śrī Laṅkān Antecedents to the Arrival of the Buddhist Vajrayāna in Eighth-Century Java and China" 13 : 129-222, 2011

      16 Soekmono, R., "The Javanese Candi Function and Meaning" E. J. Brill 1995

      17 Coedès, George,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68

      18 Boechari, M., "Preliminary report on the discovery of an old Malay inscription at Sojomerto" III : 241-251, 1966

      19 van der Meulen, W. J., "King Sañjaya and His Successors" 28 (28): 17-54, 1979

      20 Fontein, Jan, "Entering the Dharmadhātu : A Study of the Gandavyūha Reliefs of Borobudur" E.J. Brill 2012

      21 Soekmono, R., "Candi Borobudur: A Monument of Mankind" Unesco Press 1976

      22 Gifford, Julie A., "Buddhist Practice and Visual Culture in Borobudur" Routledge 2011

      23 Snellgrove, David L., "Borobudur: Stūpa or Maṇḍala?" 46 (46): 477-483, 1996

      24 Krom, N. J., "Borobudur, Archaeological Description" Nijhoff 1927

      25 de Casparis, J. G., "Barabudur: History and Significance of a Buddhist Monument" Asian Humanities Press 1981

      26 Klokke, Marijke J., "Ancient Indonesian Sculpture" KITLV Press 1994

      27 Kempers, A. H. Bernet, "Ageless Borobudur" Servire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5 1.004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