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DHD 위험군 아동의 중재를 위한 원격로봇의 적용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Tele-presence Robot Intervention for at-Risk Children with ADHD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원격 로봇을 통한 ADHD 위험군 아동의 중재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통합 연구이다. 연구 방법은 초등학교 3학년과 4학년에 재학 중인 6명의 ADHD 위험군 아동이 교사의 진행 하...

      이 연구는 원격 로봇을 통한 ADHD 위험군 아동의 중재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통합 연구이다. 연구 방법은 초등학교 3학년과 4학년에 재학 중인 6명의 ADHD 위험군 아동이 교사의 진행 하에 2개 그룹에서 각각 주 3회, 10회기 40분씩 주의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원격로봇이 또래 역할로서 함께 참여하였다. 아동의 중재는 원격 관찰과 IP CAM과 휴대폰을 이용하여 녹화 및 녹음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사전·사후 검사 및 교사와 아동의 인터뷰, 관찰노트를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로봇을 통한 중재는 ADHD 위험군 아동의 주의력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원격로봇을 통한 중재는 ADHD 위험군 아동의 학습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ADHD 위험군 아동은 적용된 원격로봇에 대해 수동적 로봇에서 능동적 로봇으로 인식변화, 바른 행동의 모델로서 인식, 또래로서의 인식, 학습도우미로서 인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원격로봇이 적용된 ADHD 위험군 아동의 중재 결과는 효과적이었으며, 원격로봇의 적용은 다양한 측면에서 ADHD 위험군 아동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ele-presence robot intervention for at-risk children with ADHD. As for the research method, six selected students who were in their third and four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were div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ele-presence robot intervention for at-risk children with ADHD. As for the research method, six selected students who were in their third and four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each group participated in an attention promotion program in 10 sessions, three times a week, 40 minutes each. And tele-presence robot served as their peers. Long- distance observations were made while the intervention was provided for the children, and all the process was recorded by IP CAMs and mobile phon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hich involved pretest and posttest scores, interview data of the teachers and the children and observation not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vention via tele-presence robot was effective at boosting the attention of the at-risk children with ADHD. Second, the intervention via the tele-presence robot exercis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earning attitude of the at-risk children with ADHD. Third, children at-risk children with ADHD was changes of perception from passive to active robot for tele-presence robot, perceived as a model of correct behavior, as a peer, as a learning assistant.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it produced effective results when the intervention was offered for the at-risk children with ADHD via tele-presence robot, and that the application of tele-presence robot was influential in diverse and positive way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윤희, "텔레프리젠터 로봇을 통한 정서․행동장애 및 위기학생의 상호작용 탐색연구: 경북 N초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9 (29): 217-248, 2013

      2 신윤희, "텔레프리젠스 로봇 활용 중재를 통한 정서·행동장애 위험 아동의 공감 및 조정시도에 대한 반응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30 (30): 123-150, 2014

      3 김도연,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에 대한 인지행동놀이치료·부모훈련 병합치료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4 이명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부주의와 충동성 감소를 위한 인지중재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6

      5 박채진, "정서·행동장애 위험 아동을 위한 텔레프리젠스 로봇 활용 사회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31 (31): 397-415, 2015

      6 강민경,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로봇활용 연구의 최근 동향 : 2000년 이후 국내외 학술지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소 12 (12): 127-152, 2013

      7 김창걸, "자폐 아동의 선호자극 선별을 위한 통합자극 로봇의 개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353-367, 2011

      8 김건희,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표현활동 학습: 로봇의 활용을 통하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8 (28): 325-347, 2012

      9 오현숙, "임상실무가를 위한 FAIR 주의력검사" 중앙적성연구원 2002

      10 조광수, "인지로봇의 자폐 범주성 장애 중재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자폐학회 9 (9): 45-60, 2009

      1 신윤희, "텔레프리젠터 로봇을 통한 정서․행동장애 및 위기학생의 상호작용 탐색연구: 경북 N초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9 (29): 217-248, 2013

      2 신윤희, "텔레프리젠스 로봇 활용 중재를 통한 정서·행동장애 위험 아동의 공감 및 조정시도에 대한 반응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30 (30): 123-150, 2014

      3 김도연,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에 대한 인지행동놀이치료·부모훈련 병합치료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4 이명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부주의와 충동성 감소를 위한 인지중재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6

      5 박채진, "정서·행동장애 위험 아동을 위한 텔레프리젠스 로봇 활용 사회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31 (31): 397-415, 2015

      6 강민경,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로봇활용 연구의 최근 동향 : 2000년 이후 국내외 학술지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소 12 (12): 127-152, 2013

      7 김창걸, "자폐 아동의 선호자극 선별을 위한 통합자극 로봇의 개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353-367, 2011

      8 김건희,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표현활동 학습: 로봇의 활용을 통하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8 (28): 325-347, 2012

      9 오현숙, "임상실무가를 위한 FAIR 주의력검사" 중앙적성연구원 2002

      10 조광수, "인지로봇의 자폐 범주성 장애 중재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자폐학회 9 (9): 45-60, 2009

      11 곽근창, "인간과 로봇이 자연스럽게 교감하는 상호작용 기술"

      12 현은자,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사보조 로봇에 대한 유아의 경험과 인식" 한국아동학회 31 (31): 267-282, 2010

      13 오진환, "소아암 아동에 대한 로봇매개 놀이활동 프로그램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모자보건학회 14 (14): 122-132, 2010

      14 김영애, "로봇활용교육 효과 분석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2

      15 남현욱, "로봇교육을 통한 조작적 활동이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7 (27): 181-199, 2014

      16 김철, "로봇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및 교육효과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16 (16): 233-243, 2012

      17 신나민, "로봇과 학습의 관계 맺기: 초ㆍ중ㆍ고등학생의 관점에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79-99, 2007

      18 김영환, "로봇/학습용 로봇 시스템의 활용과 그 효과" 12 (12): 211-226, 1996

      19 뉴스와이어, "로봇 갖고 놀면 집중력이 향상 된다... 로봇사랑‘트랜스폼-에듀’ 프로그램 무료진행"

      20 유충훈, "교육매체로서의 로봇과 컴퓨터에 대한 발달장애아동의 인식 비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91-120, 2014

      21 유준희, "교실놀이 활용 학급경영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생활 만족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2 정한울, "교사들이 인식한 유치원 R-러닝 수업활동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1 (11): 27-47, 2012

      23 Han, J., "The educational use of home robots for children" 378-383, 2005

      24 Dautenhahn, K., "Robots as Social Actors: AURORA and the Case of Autism" 1999

      25 Franois, M., "Perspectives on mobile robots as tools for child development and pediatric rehabilitation" 19 (19): 21-36, 2007

      26 Robins B., "From Isolation to Communication: A Case Study Evaluation of Robot Assisted Play for Children with Autism With a Minimally Expressive Humanoid Robot" 205-211, 2009

      27 Dautenhahn, K., "Design issues on interactive environments for children with autism" 153-161, 2000

      28 배숙경, "ADHD 성향 아동의 창의성 증가와 부주의성 및 과잉행동충동성 감소를 위한 인지학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29 Kozima, H., "A playful robot for research, therapy, and entertainment" 1 : 3-18,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6 1.46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