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회적 변화에 따라 정신질환자들의 피해망상 속에 나타난 박해자 유형변화 = Social Change and Change of Persecutors in Persecutory Delusions of Psychiatric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271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persecutors in persecutory delusions of the psychiatric patients who didn't undergo the arrest or traumatic injury, reside in Gwangju Jeonnam area, and were admitted to the hospital after the 5.18 p...

      Objective: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persecutors in persecutory delusions of the psychiatric patients who didn't undergo the arrest or traumatic injury, reside in Gwangju Jeonnam area, and were admitted to the hospital after the 5.18 prodemocracy movement in Gwangju in 1980 upward 10 years.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the persecutors before and after the prodemocracy movement and in capital and Gwangju Jeonnam area. Subjects and Methods: Among the 896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department of psychiatry, Chosun University Hospital from Jan. 1. 1989 to Dec. 31. 1991, we choosed 144 patients with persecutory delusion who had lived in Gwangju Jeonnam area for 10 years after 5.18 prodemocracy movement as subjects. Persecutors were classified into 7 class: unspecified, family, neighbors, communist or spy, police or army or secret agent, impersonal, others. Results: 1) In our study, the frequency of persecutors was family, unspecified, neighbors, police or army or secret agent, impersonal, others, communist or spy in descending order. A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1956-2003) including our study about frequency of persecutor at capital area and Gwangju Jeonnam area, and before and after 5.18 prodemocracy movement, 2) At capital area, in the early 1980s, police, family, neighbors, unspecified person was frequent in descending order. In the both of early 1970s, 1990s, neighbors, family, unspecified person, police was frequent in descending order. 3) At Gwangju Jeonnam area, in the early 1970s, family, unspecified person, neighbors, police was frequent in descending order. In the early 1990s, unspecified person and family, neighbors, police was frequent in descending order. 4) The police class was most frequent at capital area in the early 1980s. Conclusions: We suppose that class of persecutor in persecutory delusions of psychiatric patients are changing according to social change, and frequency of police class was decreasing in both of capital and Gwangju, Jeonnam a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동아일보사, "현대 한국을 뒤흔든 60대 사건: -해방에서 제 5공화국 까지-" 동아일보사 1998

      2 장환일, "한국인의 망상특징" 11 : 63-73, 1992

      3 오승환, "한국인 정신증 환자의 피해망상에 나타난 박해자" 9 : 77-84, 1970

      4 이병윤, "한국인 정신분열증 환자의 망상에 대한 연구-제 1편, 정신분열증 환자의 망상에 대한 통계적 고찰" 1 : 35-40, 1962

      5 중앙일보사, "한국사회 10대 분야 100대 드라마"

      6 김광일, "한국문화와 정신질환" 22 (22): 870-876, 1979

      7 조선일보사, "한국 현대사 119 대사건" 조광출판사 1993

      8 이대희, "편집성 정신분열증의 아형별 망상 및 환각에 대한 내용분석" 13 : 315-324, 1974

      9 민성길, "최신정신의학. 제 5판" 일조각 256-, 2006

      10 이형영, "정신증 환자의 망상에 나타난 대상" 11 : 1479-1483, 1974

      1 동아일보사, "현대 한국을 뒤흔든 60대 사건: -해방에서 제 5공화국 까지-" 동아일보사 1998

      2 장환일, "한국인의 망상특징" 11 : 63-73, 1992

      3 오승환, "한국인 정신증 환자의 피해망상에 나타난 박해자" 9 : 77-84, 1970

      4 이병윤, "한국인 정신분열증 환자의 망상에 대한 연구-제 1편, 정신분열증 환자의 망상에 대한 통계적 고찰" 1 : 35-40, 1962

      5 중앙일보사, "한국사회 10대 분야 100대 드라마"

      6 김광일, "한국문화와 정신질환" 22 (22): 870-876, 1979

      7 조선일보사, "한국 현대사 119 대사건" 조광출판사 1993

      8 이대희, "편집성 정신분열증의 아형별 망상 및 환각에 대한 내용분석" 13 : 315-324, 1974

      9 민성길, "최신정신의학. 제 5판" 일조각 256-, 2006

      10 이형영, "정신증 환자의 망상에 나타난 대상" 11 : 1479-1483, 1974

      11 조완숙, "정신분열증환자에서 시대적 흐름에 따른 망상내용의 분석" 22 : 207-218, 1985

      12 장환일, "정신분열증의 피해망상에 대한 고찰" 1974

      13 유태열, "정신분열증의 망상에 대한 다각적 검토" 33 (33): 357-372, 1980

      14 이준석, "정신분열증 망상에 나타난 박해자: 인구학적 및 임상요인별 출현빈도" 15 : 148-157, 1996

      15 어호근, "정신분열증 망상 속의 박해자: 과거 10년간의 비교" 32 : 195-200, 1993

      16 최주연, "정신분열병의 망상: 발병시대에 따른 망상 내용의 차이" 18 : 134-146, 1999

      17 이준석, "정신분열병 환자의 종교성향과 망상에 나타난 박해자" 37 : 1034-1043, 1998

      18 김한석, "정신분열병 및 기타 정신증 환자에서 나타난 박해자의 시대에 따른 변화" 32 (32): 35-52, 2007

      19 이헌재, "정신병환자의 망상에 관한 연구" 11 : 655-672, 1974

      20 이형영, "정신병 환자의 망상에 나타난 대상" 31 : 23-31, 1995

      21 한동세, "정신과학" 일조각 48-49, 1969

      22 황인복, "정신과 입원환자의 피해망상에 나타난 박해자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1991

      23 김학렬, "입원환자의 피해망상에 대한 임상적고찰" 16 : 257-262, 1977

      24 김승곤, "일 대학병원에서 치료받은 피해망상을 가진 정신분열병 환자의 박해자" 9 : 10-15, 2004

      25 김광일, "문화와 정신분열증" 10 : 97-118, 1991

      26 김광일, "꿈속의 박해자에 관한 문화정신의학적 고찰" 1 : 77-90, 1983

      27 김광일, "꿈과 망상속의 박해자에 관한 비교고찰" 1 : 91-98, 1983

      28 Solomon P, "The Handbook of Psychiatry. 3rd ed" Lange Med. Pub 68-69, 1974

      29 Hales RE, "Textbook of Clinical Psychiatry. 4th ed"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379-390, 2003

      30 Lehmann HE, "Schizophrenia I,: Introduction and history. Schizophrenia IV: Cliniucal feature, In Comprehensive Textbook of Psychiatry" Williams and Wilkins Co 593-598, 1967

      31 W.H.O., "Report of the International Pilot Study of Schizophrenia" World Health Organization 219-220, 1973

      32 Kolb LC, "Modern Clinical Psychiatry. 8th ed" W.B. Saunders Company 105-107, 1973

      33 Winokur G, "Manic Depressive Illness" The. C.V. Mosby Company 71-88, 1969

      34 Hamilton M., "Fish's Clinical Psychopathology. John Wright & Sons" John Wright & Sons 43-48, 1985

      3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 gnostic a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 APA Press 274-275, 1994

      36 Murphy HBM, "Cultural aspects of delusion" 20 : 684-692, 1967

      37 Freedman AM, "Compre- hensive Textbook of Psychiatry, Vol. 1. 5th ed" The Williams &Wilkins Company 563-,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신규평가)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