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조직의 사내기업가정신 인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국내 공공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 Effect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Awarenes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Public Organizations: Focusing on Domestic Public Sector Practi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573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awarenes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sing a case study of a domestic public institution—something that had not been done b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the personal entrepreneurship of each organization member. Specifically, we studied the effects of four aspect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innovation, risk sensitivity, goal orientation, and autonomy—on the effectiveness of the organization with regard to personal entrepreneurship, defined by creativit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 public institution. We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the facets of private entrepreneurship—innovation, risk sensitivity, and goal orientation—on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of an organization and individual innovation, creativity, and entrepreneurship in domestic public institutions. We found that corporate entrepreneurship significantly influenc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 also found that private entrepreneurship has partially influence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result indicates that specifically personal entrepreneurship in a public organization with a corporate structure contributes in part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refore, the efforts made for disruptive innovation and the innovative strategies of corporates with personal entrepreneurship should be kept up for the long haul in order to influence the achievements of organizations in the public sector significantly. The need of the hour is for public institutions to disseminate and extend entrepreneurship at the national level. Furthermore, studies on corporate entrepreneurship in different fields in organizations in the public domain are needed.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awarenes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sing a case study of a domestic public institution—something that had not been done b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awarenes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sing a case study of a domestic public institution—something that had not been done b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the personal entrepreneurship of each organization member. Specifically, we studied the effects of four aspect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innovation, risk sensitivity, goal orientation, and autonomy—on the effectiveness of the organization with regard to personal entrepreneurship, defined by creativit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 public institution. We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the facets of private entrepreneurship—innovation, risk sensitivity, and goal orientation—on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of an organization and individual innovation, creativity, and entrepreneurship in domestic public institutions. We found that corporate entrepreneurship significantly influenc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 also found that private entrepreneurship has partially influence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result indicates that specifically personal entrepreneurship in a public organization with a corporate structure contributes in part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refore, the efforts made for disruptive innovation and the innovative strategies of corporates with personal entrepreneurship should be kept up for the long haul in order to influence the achievements of organizations in the public sector significantly. The need of the hour is for public institutions to disseminate and extend entrepreneurship at the national level. Furthermore, studies on corporate entrepreneurship in different fields in organizations in the public domain are nee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그동안 깊이 있게 다루지 않았던 공공부문에서의 조직 내 사내기업가정신 (Corporate Entrepreneurship)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국내 공공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조직기업가정신의 네 가지 요인으로 혁신추구성, 위험감수성, 목표지향성, 자율성이 공공조직의 유효성 요인인 창의성발휘,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조직 내 구성원의 개인적 기업가정신 요인으로 혁신추구성과 위험감수성, 목표지향성이 조직유효성에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공공조직에서의 사내기업가정신은 조직유효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의 기업가정신 함양여부 정도에 따라 조직유효성에 부분적으로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공공부문에서 기업가정신이 조직성과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조직차원과 개인차원의 기업가정신이 공공조직 문화로 확산되기 위한 파괴적 혁신과 변화를 자체적으로 시행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한 혁신과 변화를 장기적으로 지속,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아울러 전 국가적 차원에서 공공부문에 기업가정신 관련 정책보급을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향후 다양한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공부문에서의 업무와 분야를 바탕으로 좀 더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그동안 깊이 있게 다루지 않았던 공공부문에서의 조직 내 사내기업가정신 (Corporate Entrepreneurship)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국내 공공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

      본 연구는 그동안 깊이 있게 다루지 않았던 공공부문에서의 조직 내 사내기업가정신 (Corporate Entrepreneurship)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국내 공공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조직기업가정신의 네 가지 요인으로 혁신추구성, 위험감수성, 목표지향성, 자율성이 공공조직의 유효성 요인인 창의성발휘,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조직 내 구성원의 개인적 기업가정신 요인으로 혁신추구성과 위험감수성, 목표지향성이 조직유효성에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공공조직에서의 사내기업가정신은 조직유효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의 기업가정신 함양여부 정도에 따라 조직유효성에 부분적으로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공공부문에서 기업가정신이 조직성과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조직차원과 개인차원의 기업가정신이 공공조직 문화로 확산되기 위한 파괴적 혁신과 변화를 자체적으로 시행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한 혁신과 변화를 장기적으로 지속,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아울러 전 국가적 차원에서 공공부문에 기업가정신 관련 정책보급을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향후 다양한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공부문에서의 업무와 분야를 바탕으로 좀 더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인학, "한국의 기업가정신의 실상과 과제(15-26)" 한국경제연구원 2015

      2 정찬근, "한국 중소기업에서의 기업가적 경향과 조직 구조의 유기성간의 관련성" 19 (19): 213-230, 1997

      3 조세근, "창업지향성과 학습지향성이 중소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10 (10): 1-13, 2015

      4 이재익, "직무불안정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26 (26): 141-163, 2011

      5 강성두, "중소기업 경영자의 기업가정신과 조직구성원의 목표지향성이 조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 모형 접근" 한국콘텐츠학회 12 (12): 439-452, 2012

      6 김민환, "중등학교장의 리더십과 임파워먼트,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연구" 127-145, 2003

      7 이춘우, "조직앙트라프러뉴십의 역할과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 자원기초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8 윤종록, "조직기업가정신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환경특성변수와 개인특성변수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16 (16): 869-888, 2003

      9 류병곤, "조직구조와 조직문화가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연구" 258-282, 2011

      10 황상규, "조직 내 기업가정신이 자기효능감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경남지역 중소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대한안전경영과학회 15 (15): 345-356, 2013

      1 황인학, "한국의 기업가정신의 실상과 과제(15-26)" 한국경제연구원 2015

      2 정찬근, "한국 중소기업에서의 기업가적 경향과 조직 구조의 유기성간의 관련성" 19 (19): 213-230, 1997

      3 조세근, "창업지향성과 학습지향성이 중소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10 (10): 1-13, 2015

      4 이재익, "직무불안정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26 (26): 141-163, 2011

      5 강성두, "중소기업 경영자의 기업가정신과 조직구성원의 목표지향성이 조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 모형 접근" 한국콘텐츠학회 12 (12): 439-452, 2012

      6 김민환, "중등학교장의 리더십과 임파워먼트,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연구" 127-145, 2003

      7 이춘우, "조직앙트라프러뉴십의 역할과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 자원기초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8 윤종록, "조직기업가정신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환경특성변수와 개인특성변수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16 (16): 869-888, 2003

      9 류병곤, "조직구조와 조직문화가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연구" 258-282, 2011

      10 황상규, "조직 내 기업가정신이 자기효능감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경남지역 중소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대한안전경영과학회 15 (15): 345-356, 2013

      11 이춘우, "자원기초이론의 비판적 고찰을 통한 벤처기업의 핵심경영자원에 관한 개념적 연구" 161-194, 2002

      12 이춘우, "앙트라프러뉴십 연구의 개관과 핵심연구주제의 설정"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1998

      13 김명희, "새로운 유형의 기업가정신" 12 (12): 44-51, 2014

      14 고환상, "상사의 리더십과 개인의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26 (26): 347-377, 2011

      15 고종남, "사내기업가정신이 기술혁신을 매개로 한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혁신형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 한국경영교육학회 27 (27): 477-502, 2012

      16 오종석, "벤처기업의 기업가정신과 성과와의 관계" 22 : 285-307, 1999

      17 박상용, "벤처기업 CEO의 기업가정신, 구성원의 임파워먼트,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대한 구조적 모형"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4

      18 이우진, "대한민국 창업교육 연대기: 창업교육의 특징분석과 미래 발전방안" 한국벤처창업학회 10 (10): 171-182, 2015

      19 위홍복, "기업가정신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3

      20 최무진, "기업가정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역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28 (28): 235-255, 2013

      21 김종관, "기업가정신의 개념과 연구접근방법" 9 : 27-52, 1994

      22 이상진, "기업가정신과 리더십이 중소기업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아노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공학회 15 (15): 159-176, 2010

      23 황인학, "기업가정신 지수의 장기변화 추이 분석(16-03)" 한국경제연구원 2016

      24 이정호, "기업가 정신, 조직구조, 조직문화 및 조직성과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5

      25 김민영, "공직봉사동기와 기업가 정신에 관한 실증 연구: 공공부문의 개인-조직 적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7 (27): 1135-1164, 2015

      26 윤대혁, "경영자의 기업가정신의 결정요인에 관한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4 (14): 99-121, 2007

      27 이재훈, "가족 및 학교 내 사회자본과 학업성취" 안암교육학회 13 (13): 175-208, 2007

      28 Kanter, R. M., "When giants learn to dance: mastering the challenge of strategy, Management and Careers in the 1990s" 1989

      29 Roberts, N. C., "Transforming Public Policy. Dynamics of Policy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Jossey-Bass 1996

      30 Schumpeter, J. A.,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An inquiry into profits, capital, credit, interest, and the business cycle" Transaction publishers 55-, 1934

      31 Barringer, B. R.,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strategic management" 20 (20): 421-444, 1999

      32 Drucker, P. F., "The principle of innovation" 85 (85): 67-80, 1985

      33 Chin, W. W.,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95 (295): 295-336, 1998

      34 Lassen, A. H., "The nexu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radical innovation" 15 (15): 359-372, 2006

      35 Locke, E. A.,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1 : 1297-1343, 1976

      36 Schumpeter, J. A., "The march into socialism" 40 (40): 446-456, 1950

      37 Miller, D., "The longitudinal analysis of organizations: A methodological perspective" 28 (28): 1013-1034, 1982

      38 Eisenhauer, J. G., "The entrepreneurial decision: Economic theory and empirical evidence" 19 (19): 67-80, 1995

      39 Hébert, R. F., "The entrepreneur: mainstream views & radical critiques" Praeger Publishers 1988

      40 Brockhaus, R. H., "The effect of job dissatisfaction on the decision to start a business" 18 (18): 37-, 1980

      41 Covin, J. G.,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organizational-level entrepreneurship scale" 1 (1): 626-639, 1986

      42 Khandwalla, P. N., "The design of organizations" Houghton Mifflin Harcourt 1977

      43 Venkatraman, N., "The concept of fit in strategy research: Toward verbal and statistical correspondence" 14 (14): 423-444, 1989

      44 Barringer, B. R., "The Performance Implications of Achieving a Fit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Strategic Management Practices" Th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1995

      45 Mowday, R. T.,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14 (14): 224-247, 1979

      46 Miller. D., "The Correlates of Entrepreneurship in Three Types of Firm" 29 (29): 770-791, 1983

      47 Hall, W. K., "Survival strategies in a hostile environment" 58 (58): 75-85, 1980

      48 Kuratko, D. F., "Strategic entrepreneurial growth, Recording for the Blind & Dyslexic"

      49 Knight, F., "Risk, uncertainty, and profit" Houghton Mifflin 1921

      50 Barrett, H., "Relations among corporate entrepreneurship, marketing mix factors, and business performance" School of Business and Entrepreneurship, Nova Southeastern University 1996

      51 Osborne, D., "Reinventing Government: How the Entrepreneurial Spirit is Transforming the Public Sector" Addison-Wesley Public Comp 1992

      52 Bellone, C. J., "Reconciling Public Entrepreneurship and Democracy" 52 (52): 130-134, 1992

      53 Nunnally, F C.,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1978

      54 Steers, R. M., "Problems in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546-558, 1975

      55 Zahra, S. A., "Predictors and Financial Outcome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 Exploratory Study" 6 (6): 259-285, 1991

      56 Dalton, D. R.,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Performance" 5 (5): 49-64, 1980

      57 Campbell, J. P., "New perspectiv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13-, 1977

      58 Gibb, A. A., "New Findings and perspectives in Entrepreneurship" Gower Publishing Company Ltd 33-67, 1990

      59 Dweck, C. S., "Motivational Processes Affecting Learning" 41 (41): 1040-1048, 1986

      60 Etzioni, A., "Modern organizations (No. HM131 E8)"

      61 Burgelman, R. A., "Managing corporate entrepreneurship: New structures for implemen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7 (7): 91-103, 1985

      62 Drucker, P. F.,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Practice and Principles" Harper & Row 1985

      63 Hébert, R. F., "In search of the meaning of entrepreneurship" 1 (1): 39-49, 1989

      64 Dweck, C. 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Wiley 643-691, 1983

      65 Guth, W. D., "Guest editors' introduction: Corporate entrepreneurship" 5-15, 1990

      66 Zahra, S. A., "Goverance, ownership, and corporate entrepreneurship: The moderating impact of industry technological opportunities" 39 (39): 1713-1735, 1996

      67 Linden, R. M., "From vision to reality: Strategies of successful innovators in government" Lel Enterprises 1990

      68 Lieberman, M. B., "First‐mover advantages" 9 (9): 41-58, 1988

      69 Zahra, S. A., "Environment,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Financial Performance: A Taxonomic Approach" 8 (8): 319-340, 1991

      70 Morris, M. H., "Entrepreneurship in established organizations: The case of the public sector" 24 (24): 71-71, 1999

      71 Covin, J. G., "Entrepreneurship as firm behavior: A research model" 2 : 175-224, 1995

      72 Reich, R., "Entrepreneurship Reconsidered: The Tam as Hero" 65 (65): 77-84, 1987

      73 Henley, A., "Entrepreneurial aspiration and transition into self-employment: evidence from British longitudinal data" 19 (19): 253-280, 2007

      74 장대성, "EO(Entrepreneurial Orientation)와 창업성과간의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18 (18): 1121-1143, 2005

      75 Herron, L., "Cultivating corporate entrepreneurs" 15 (15): 3-3, 1992

      76 Seijts, G. H., "Coworker perceptions of outcome fairness of breastfeeding accommodation in the workplace" 16 (16): 149-166, 2004

      77 Morris, M. H., "Corporat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development within organizations" South-Western Pub 2002

      78 Covin, J. G.,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the pursuit of competitive advantage" 23 (23): 47-47, 1999

      79 Block, Z., "Corporate Venturing"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3

      80 Lumpkin, G. T., "Clarifying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struct and linking it to performance" 21 (21): 135-172, 1996

      81 Farber, S., "CE Within the Small Single Business Firm" the Graduate University of Claremont 1999

      82 Cromie, S., "Business ownership as a means of overcoming job dissatisfaction" 20 (20): 19-24, 1991

      83 Balabanis, G. I., "Being an entrepreneurial exporter: does it pay?" 12 (12): 233-252, 2003

      84 Hornsby, J. S., "An interactive model of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 process" 17 (17): 29-38, 1993

      85 Covin, J. G., "A conceptual model of entrepreneurship as firm behavior" 16 (16): 7-25,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12 1.187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