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문학(文學)] : 『임진록』의 작가의식과 민족의식 고찰 ―민족의식의 자각을 중심으로― = Literature : A Study on Imjinrok``s Authors`` Professionalism and National Conscious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866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임진록』은 16세기 임진전쟁이 반발하기 전 후의 조정과 왜적의 실상을 알려주는 군담소설이다. 당시 당파간의 갈등은 국가의 이익보다 사리사욕이 앞서 자신이 소속하고 있는 당을 먼저 ...

      『임진록』은 16세기 임진전쟁이 반발하기 전 후의 조정과 왜적의 실상을 알려주는 군담소설이다. 당시 당파간의 갈등은 국가의 이익보다 사리사욕이 앞서 자신이 소속하고 있는 당을 먼저 챙겼다. 이율곡은 임진전쟁이 일어 날 것을 예견하여 10만 양병 설을 주장 했지만 당시조정은 아랑곳하지 인했다. 또 풍신수길(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국서(國書)에는 왜국이 명나라를 치겠다는 명분을 내세워 조선을 통과할 길을 빌리자고 요청하자는 내용이었지만 거절하였다. 당시 통신서는 서인(西人) 황윤길과 동인 김성일이다. 선조는 이들에게 풍신수길의 인물됨에 대해 물었다. 황윤길은 풍신수길에 대해. 범상하지 인물로 미구에 전쟁이 일어날 것을 선조에게 아뢰었다. 동인(東人) 김성일은 풍신수길에 대해 눈은 미물인 쥐와 같이 생겨 전쟁을 일으킬 위인이 못된다고 보고했다. 좌의정 유성룡이 김성일에게 전쟁이 일어나면 어떻게 하려고 그런 말을 하느냐고 하니, 김성일이 누가 그런 줄 모르고 말한 것은 아니라고 했다. 당시 선조는 신하들 간에 당쟁이 극도로 심화되어 국정의 안위문제를 올바로 파악하지 못하고 동인(東人)들 보고에 따라 전쟁준비에 힘쓰지 안했다. 조정은 당시상황을 무사안일로 대처해 왜적은 그 기회를 틈타 부산에 상륙하여 파죽지세로 서울을 19일 만에 함락시켜 선조는 의주에 몽진하게 되었다. 왜적은 조중연합군(朝中聯合軍)에 의해 조선에서 물러났지만. 7년에 걸치는 임진전쟁의 피해는 16세기를 기준으로 할 때 역사상 미증유의 큰 손실의 참화(慘禍)를 입었다. 임진전쟁이 끝난 후에는 백성들의 의식이 달라졌다. 전쟁 당시에는 조선군이 왜군에게 열세를 면하지 못했지만 이순신이 해전에서 23전 23승과 사명대사의 승군이 왜적을 물리쳤고, 의병이 활약상을 내용으로 통쾌한 승리를 내용으로 한 『임진록』이 출판되어 인구에 회자되었다. 오늘에 전하는 『임진록』의 이본(異本)이 120여종에 이르고 있고, 일제 강점기에는 금서로 지정된 것으로 보면 400년 이상을 애독하여 온 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임진록』이 쓰인 것은 전쟁이 끝난 직후라고 할 수 있다. 작가들은 전장의 피해가 엄청나게 컸던 것으로 인하여 실의에 빠진 사람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돋구어주기 위해 전승을 내용으로 쓴 것이다. 흔히 『임진록』은 일부사람들과 학자에 따라 정신적으로 승리한 픽션을 내용으로 한 복수문학이라 했다. 대체로 한문본은 역사계열인 관계로 허구인 내용도 겸했지만 한글본과 비교할 때 논픽션의 경향을 띄고, 한글본은 허구적인 픽션이 한문본 보다 심한 편이다. 『임진록』은 작가의식과 민족의식이 집단적 무의식을 내용으로 하여 실의에 빠진 사람들에게 희망과 광명을 주는 용기를 북돋아 주었다. 그 저력은 다른 데 있는 것이 아니고 단군신화의 동굴모티프가 수용되어 민족의 정서가 영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임진전쟁은 작가들의 의식과 민족의식을 자각케 하였다. 이로 인해여 『임진록』은 작가들에 의해 420년이 지난 오늘에도 읽혀지고 영상매체로써 활용하게 되어 민족의 정서로 승화시켜 놓았다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더구나 작가들은 민족의식의 서린 정서를 집단적 무의식적으로 수용하여 단군신화를 형상화한 것에서 문학적 가치와 의의를 지니게 한다. 필자는 『임진록』을 분석하는 일환으로 서구학설을 인용하고 도표를 삽입 시킨 것을 밝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mjinrok is a war novel reflecting the condition of 16th century Joseon about the court and Japanese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During this time, Joseon officials in the central government were loyal to their factions before the country f...

      Imjinrok is a war novel reflecting the condition of 16th century Joseon about the court and Japanese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During this time, Joseon officials in the central government were loyal to their factions before the country for their personal interests. For this reason, the court did not pay attention when Yi Yulgok insisted the development of 100,000 military forces based on his prediction of possible Japanese invasion. Toyotomi Hideyoshi``s official letter to grant the passage to attack Ming through Korean land was refused. At this time envoys were Hwang Yun-gil of Western-ban and Kim Seong-il of Eastern-ban. Seonjo asked about the personality of Toyotomi Hideyoshi. Hwang responded that he was not ordinary man and capable of starting a war. On the other hand, Kim told the king Hideyoshi looked like rat and had no ability to start a war. When Left-Councilor Yu Seong-ryong pointed out to Kim, he would be responsible when the war broke. Kim responded that he understood the consequences. At the time of intense conflict among the factions, Seonjo accept the recommendation of Eastern-ban and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preparation for a possible war. Japan took advantage of the situation and quickly took over Seoul in 19 days after landing in Busan. Seonjo fled to Uiju. Japan retreated by the allied forces of Joseon and Ming, but 7 years of war brought chaos and the casualties were incomparable to the standard of 16th century. After the war, people``s consciousness changed. Although Joseon military forces suffered throughout the war, Admiral Yi Sun-sin owned all 23 naval battles and Samyeong Great Monk``s forces defeated Japanese forces. Also many righteous armies brought outstanding victories against Japanese troops. They became the frame of Imjinrok and it was published and became popular. Today, there are over 120 versions of the book and Japan ban this book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For 400 years people loved to read Imjinrok. It was published just after the war of Japanese invasion. Author(s) tried to provide the hope and courage to the people who suffered from the war. That is why they wrote the stories of victories. Some people including scholars consider Imjinrok is a revenge literature with fictions of victories. Chinese version including some fictions and Korean versions have more fiction in character. Imjinrok encouraged hopeless people for hope and liberation with the authors`` professionalism and national consciousness. In fact the foundation came from the cave-motif of the Dangun Mythology with national consciousness. Japanese Invasion awakened the authors`` professionalism and national consciousness. This is why the book is still wide read and became visual materials as the reflec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after 420 years of the publication. Also its materialization of Dangun Mythology gives the literary significance. This study uses Western thoughts and tables to analyze the Imjinrok.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흑룡일기"

      2 "흑룔록"

      3 박성의, "한국고대소설사" 일지사 1950

      4 "징비록"

      5 주왕산, "조선고대소설사" 정음사 1950

      6 "임진명장기"

      7 최삼룡, "임진록의 영웅담에 대한 고찰, In 한국고전소설의 재조명" 아세아문화사 1996

      8 소재영, "임진록의 설화성, In 고소설통론" 이우출판사 1989

      9 최문정, "임진록연구" 박이정 2001

      10 이동근, "임진록문학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3

      1 "흑룡일기"

      2 "흑룔록"

      3 박성의, "한국고대소설사" 일지사 1950

      4 "징비록"

      5 주왕산, "조선고대소설사" 정음사 1950

      6 "임진명장기"

      7 최삼룡, "임진록의 영웅담에 대한 고찰, In 한국고전소설의 재조명" 아세아문화사 1996

      8 소재영, "임진록의 설화성, In 고소설통론" 이우출판사 1989

      9 최문정, "임진록연구" 박이정 2001

      10 이동근, "임진록문학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3

      11 임철호, "임진록, In 고전소설연구" 일지사 1993

      12 김치홍, "임진록 연구" 명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4 : 1982

      13 "임진록"

      14 "임진록"

      15 "임진록"

      16 "임진록"

      17 "임진록"

      18 "임진록"

      19 "임진록"

      20 "임진란기"

      21 소재영, "임․병 양란과 문학의식 2" 한국연구원 1980

      22 "연려실기술"

      23 임철호, "역사군담론, In 한국고전소설론" 새문사 1990

      24 "순오지"

      25 "쇄미록"

      26 "선조실록"

      27 "선조수정실록"

      28 "사명당대사집"

      29 "명사"

      30 윤경수, "단군신화의 전승적 성격, In 도해 한국신화와 고전문학의 원형 상징성" 태학사 1997

      31 윤경수, "단군신화가 일본신도 수험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일어일문학회 28 : 1996

      32 김동욱, "국문학사" 한국출판협동조합 1976

      33 이능화, "고조선 단군, In 민족문화논총 제1권" 민족문화사 1981

      34 정주동, "고대소설론" 형설출판사 1970

      35 R. V. Catskill, "Writing Fiction" New York 1963

      36 C, Brooks, "Understanding Fiction" New York 1959

      37 C. Brooks, "Theory of Literature" Penguin Book 1970

      38 C, Brooks, "Theory of Literature" Penguin Books 1596

      39 Dietrich, "The art of Fiction" New York 1967

      40 J. Ellen Harrison, "Prolegomena to the Study of Greek Religion and Tnemis" New York 1966

      41 S. E. Hyman, "Myth: A Symposium" Indiana Univ. Press 1995

      42 E. M. Forster, "A specs of the Novel" Penguin Books 1966

      43 Kenneth Burke, "A Grammar of Motives" New York 194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1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