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실제지형연구를 통한 야회학습요소의 추출과 지도방안 =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ming Method and Learming Elements Sampling through Practical Fieldwork Surve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802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ieldwork is considered an important component that makes students enthusiastic about geography. In addition, fieldwork is recognized as an excellent instruction tool in education of physical geography. Unfortunately, fieldwork has not been practiced ...

      Fieldwork is considered an important component that makes students enthusiastic about geography. In
      addition, fieldwork is recognized as an excellent instruction tool in education of physical geography. Unfortunately,
      fieldwork has not been practiced due to a lot of reasons, such as fundamental problems i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ime, costs, safety, and organizational issues. However, the constructivistic education system
      emphasizes the practical experience learning process that requires students to choose the context and learning course in
      their own learning process. A long-term field survey for landform analysis enabled us to identify the fieldwork elements
      that are appropriate ! for geography education. Thus, here we report on the elements of landform that conforms to the
      contextual system of the 7th curriculum educational process. In addition, teaching methods are proposed for the students
      to determining and exploring the fieldwork sites according to the fieldwork elements provided. In the future, further
      geographical research for regional units should be performed to better implement the proposed fieldwork elements, and
      it is recommended to substantiate the fieldwork as a required course in geography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야외학습(Fieldwork)은 지리라는 학문에 대한 열정을 갖게 해주는 주요 구성요소이다. 또한 야외학습은 자연 지리교육의 훌륭한 수업 도구로 인정되고 있다. 하지만 입시제도, 시간과 비용, 안...

      야외학습(Fieldwork)은 지리라는 학문에 대한 열정을 갖게 해주는 주요 구성요소이다. 또한 야외학습은
      자연 지리교육의 훌륭한 수업 도구로 인정되고 있다. 하지만 입시제도, 시간과 비용, 안전, 조직 문제 등으로 실질적
      으론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학습자가 내용의 선정이나 학습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구성주의적 교육
      과정에서는 현장체험학습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오랜 답사 경험과 지형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지형요소
      들 중 제 7차 교육과정 내용체계의 분석을 통하여, 지리교육에 적합한 야외학습의 요소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
      학습요소(해안단구)를 중심으로 학생들이 직접 야외에서 관찰하고 탐구할 수 있는 야외학습 장소의 탐색과 거기에
      맞는 지도 방안을 제시했다. 앞으로의 과제는 지역단위의 세밀한 지리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아울러 지리과
      교육과정에서 야외학습의 실행이 뒷받침되면 지리과 야외학습은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욱, "체험학습에 관한 이론" 2000

      2 "중학교교육과정해설 II" 교육부 246-, 1997

      3 장 호, "의 주빙하지형”" 31-50, 1983

      4 제2집, "에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05-221, 1991

      5 지리학, "“ 화강암 풍화층의 점토조성과 풍화환경”" 31-42, 1989

      6 지리학논총, "“ 화강암 거력 퇴적물에 관한 연구- 경남 삼랑진 만어산 일대의 경우-”" 29-44, 1988

      7 박승필, "“ 한반도 후빙기 해면변동에 관한연구”" 11-22, 1981

      8 "“ 한반도 화강암 풍화층에 발달된第四紀후반의 주빙하 결빙구조에 관한연구”" 1-107, 1987

      9 송언근, "“ 한반도 중·남부지역의 감입곡류지형발달”" 121-12, 1993

      10 이은숙, "“ 한국인의 고향관 그 지리학적 요인과 정서(ethos) 의 관계”" 35 (35): 401-426, 2000

      1 김병욱, "체험학습에 관한 이론" 2000

      2 "중학교교육과정해설 II" 교육부 246-, 1997

      3 장 호, "의 주빙하지형”" 31-50, 1983

      4 제2집, "에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05-221, 1991

      5 지리학, "“ 화강암 풍화층의 점토조성과 풍화환경”" 31-42, 1989

      6 지리학논총, "“ 화강암 거력 퇴적물에 관한 연구- 경남 삼랑진 만어산 일대의 경우-”" 29-44, 1988

      7 박승필, "“ 한반도 후빙기 해면변동에 관한연구”" 11-22, 1981

      8 "“ 한반도 화강암 풍화층에 발달된第四紀후반의 주빙하 결빙구조에 관한연구”" 1-107, 1987

      9 송언근, "“ 한반도 중·남부지역의 감입곡류지형발달”" 121-12, 1993

      10 이은숙, "“ 한국인의 고향관 그 지리학적 요인과 정서(ethos) 의 관계”" 35 (35): 401-426, 2000

      11 양미경, "“ 체험학습의 의미 및 조건의 탐색과 예시자료 개발”" 39 (39): 167-195, 2001

      12 지리교육논총, "“ 질문법을 활용한 개념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산업입지개념을중심으로-”" 11-35, 1993

      13 권순식, "“ 부산시 범어사 주변의 블록필드에관하여”" 49-54, 1978

      14 지리학논총, "“ 거제도의 주빙하 퇴적물”" 151-153, 1979

      15 오경섭, "“ Bt Band의 형성 과정”" 35-45, 1989

      16 Davis, "acase study of a fluvio-periglacial landform.Z.Geomorph. N.F. 34" 213-231, 1990

      17 Kwok Chan Lai, "Understanding Student Teacher’sExperiences of geographical Fieldwork" 136-140, 1996

      18 Foskett,N,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field, Tilbury, in D. and Williams, M.(eds.), Teaching and Learning Geography" Routledge 189--200., 1997

      19 MJ.Clark, "Recent Advances in CryogeneticWeathering Advances in PeriglacialGeomorphology" Jhon Wiley & Sons Ltd. 33-47, 1988

      20 Corte, "Particle Sorting By Repeated FreezingAnd Thawing. Buil.Perigl. 75" 175-240, 1966

      21 Thomas, "New Perspectives OnGeographic Education-Putting Theory Into Practice" 163-, 197718-20.

      22 Laws, "Learning geography through fieldwork TheGeography Teacher’s Guide To The Classroom" 1984

      23 J, "Introduction to ClimateGeomorphology" 1-255, 1972

      24 J, "Geomorphology of Cold Environments.Macmillan And Co. Ltd." 28-150, 1970

      25 J, "Geomorphology of Cold Environments" 1-152, 1969

      26 Graves, "Geography in Education." n.j.1983

      27 Ben, "Field study of a reach of stream in theRoyal National Park SydneylGeography Teachers Association of N.S.W" 46-56, 1981

      28 Orion, "Development of a High School GeologyCourse Based on Field Trips" University ofLondon. 19891977

      29 Bertran, "Deformation-Induced Microstructures InSoils Affected By Mass Movements. Earth SurfaceProcesses And Landforms" 645-660, 1993

      30 M.E, "ClimaticControl of Geography of Clay MineralsGenesis. AAAG 77" 635-650, 1987

      31 Matsumoto, "Block Streams in the KitakamiMts-With Special Reference to theHimekamidake Area-" Sci. Rep. ThhokuUniv. 7th Ser. 221 174-20 241, 19711969

      32 Vandenberghe, "Advances in Periglacial geomorphology" JohnWiley & Sons Ltd. 179-198.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71 0.769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