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직간접화법으로 구성된 『三俠五義』상투적 서술의 상호침투성과 그 문화적 의의 - 說唱本 石派書『龍圖公案』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385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你道, often found in vernacular novels, is called a ‘cliche’ as a descriptive device that raises readers’ curiosity and calls their attention to it. The descriptive feature can be seen in 說唱本, the fundamental element of vernacular novels...

      你道, often found in vernacular novels, is called a ‘cliche’ as a descriptive device that raises readers’ curiosity and calls their attention to it. The descriptive feature can be seen in 說唱本, the fundamental element of vernacular novels, but most of the 說唱本 had no choice but to be currently incompletely preserved or lost as it was a script of performers. However, in the Mid-Qing Era, 說唱本-based chivalry novels were mainstream, but among them, 『三俠五義』 was welcomed by the public. In addition, 石派書 『龍圖公案』, a famous performance based on 說唱本, remains a completed version to this da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石派書 『龍圖公案』 and 『三俠五義』 to examine the creation process of cliched language 你道. It is noteworthy that the cliched language 你道 has been set as other forms in 『三俠五義』. Specifically speaking, it is developed in indirect speech at the end of the story in conjunction with the plot, unlike 你道 suddenly inserted alone in the beginning of an important plot in the story. This makes readers curious and affects the development of the story through a descriptive form tha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你道, so that it can be considered that it emerges from the general concept of cliched language. Moreover, it was intensively set in several parts from the beginning to the middle of the story, contrary to 你道, which was set up in a single form through the early and mid-one of the stories. Therefore, this paper is going to discuss around 石派書 『龍圖公案』’s 「小包村」 and 「Episode 2」 of 『三俠五義』 in order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grounds of cliched language different from 你道, while also discussing its cultural significance based on the contents identified by the form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三俠五義』 상투적 서술의 직간접화법적 특징
      • 3. 『三俠五義』 직간접 상투적 서술의 상호침투성과 그 문화적 의의
      • 4. 결론
      • 【參考文獻】
      • 1. 서론
      • 2. 『三俠五義』 상투적 서술의 직간접화법적 특징
      • 3. 『三俠五義』 직간접 상투적 서술의 상호침투성과 그 문화적 의의
      • 4. 결론
      • 【參考文獻】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미하일 바흐친,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비 2014

      2 한일섭, "소설의 화법" 한국독어독문학회 26 : 1981

      3 김천혜, "소설 구조의 이론" 한국학술정보 2010

      4 미케발, "서사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1999

      5 구인환, "문학개론" 삼영사 2008

      6 차봉희, "독자반응비평" 고려원 1993

      7 이시찬, "明代 소설의 텍스트화 과정에 대한 고찰 - 구술과 문자를 중심으로" 대한중국학회 (54) : 23-40, 2016

      8 박현곤, "從說唱到小說:「三俠五義」文本生成論" 北京師範大學文學院 2013

      9 中央研究院歷史語言研究所, "俗文學叢刊" 新文豐出版股份有限公司 2005

      10 "三俠五義" 三民書局 1998

      1 미하일 바흐친,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비 2014

      2 한일섭, "소설의 화법" 한국독어독문학회 26 : 1981

      3 김천혜, "소설 구조의 이론" 한국학술정보 2010

      4 미케발, "서사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1999

      5 구인환, "문학개론" 삼영사 2008

      6 차봉희, "독자반응비평" 고려원 1993

      7 이시찬, "明代 소설의 텍스트화 과정에 대한 고찰 - 구술과 문자를 중심으로" 대한중국학회 (54) : 23-40, 2016

      8 박현곤, "從說唱到小說:「三俠五義」文本生成論" 北京師範大學文學院 2013

      9 中央研究院歷史語言研究所, "俗文學叢刊" 新文豐出版股份有限公司 2005

      10 "三俠五義" 三民書局 1998

      11 박현곤, "『三侠五义』 삽입식 서사구조의 특징과 설정된 원인― 说唱本 石派书 『龙图公案』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연구회 (105) : 193-225, 2017

      12 박현곤, "⟪三侠五义⟫回目的编排方式探析" 한국중국문화학회 (43) : 55-72, 2014

      13 박현곤, "“산문과 현념(悬念)”을 통해 본 중요 인물 “남협(南侠)” 이미지와 그 문화적 기능 ― 说唱本 石派书 『龙图公案』과 텍스트 『三侠五义』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연구회 (110) : 251-277,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변화없음 -> 한국중어중문학회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 미등록
      KCI등재
      2013-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중어중문학회 -> 변화없음
      영문명 : The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Society Of Korea -> Korea Association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3-05-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 Korea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22 0.575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