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증례 : Dieulafoy양 병변으로 발현된 대동맥식도루 1예 = Case Reports : A case of an aortoesophageal fistula presenting as a Dieulafoy-Like Le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731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하루 동안의 토혈을 주소로 68세 여자 환자가 응급실로 전원되었다. 상부위장관 내시경상 궤양 없이 노출된 혈관이 있었고, 전산화 단층 촬영 및 혈관 조영술로 대동맥식도루로 진단되어 수...

      하루 동안의 토혈을 주소로 68세 여자 환자가 응급실로 전원되었다. 상부위장관 내시경상 궤양 없이 노출된 혈관이 있었고, 전산화 단층 촬영 및 혈관 조영술로 대동맥식도루로 진단되어 수술적 치료를 실시하였다. 수술 소견상 식도주위로 불쾌한 냄새와 괴사조직을 동반한 대동맥식도루가 발견되어 대동맥 일차봉합 및 둘러치기를 시행 후 흉관 삽관을 실시하였고, 식도는 지연봉합 예정이었다. 수술 10일째 다시 토혈과 함께 흉관으로 출혈이 있어 재수술을 고려하던 중 전신상태 악화가 진행되어 사망하였다. 대동맥식도루는 드물지만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이다. 원인으로는 대동맥류, 이물질 삼킴, 외상, 혈관수술 후, 식도암 등이 있다. 증상으로는 삼킴곤란, Chiari 징후로 불리는 흉부통증, 보초출혈, 무증상 기간을 거친 후에 발생하는 대량출혈이 있다. 치료는 혈역학 안정성을 유지하는 치료와 감염을 적극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술 치료가 궁국적인 치료이며 전신상태가 나쁜 경우는 고식적이며 일시적인 치료를 하면서 이후 개흉 수술 봉합이 가능할 때까지 기다리기도 한다. 본 증례처럼 상부식도에 궤양없이 노출된 혈관이 있으면 대동맥식도루 가능성을 의심하여 컴퓨터 단층촬영이나 혈관촬영 등이 내시경적 중재술전에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68-year-old woman visited our emergency center because of hematemesis. An emergency endoscopy showed an exposed vessel with blood flowing into the upper esophagus. Angiography revealed the presence of extravasation of contrast at the level of the ao...

      A 68-year-old woman visited our emergency center because of hematemesis. An emergency endoscopy showed an exposed vessel with blood flowing into the upper esophagus. Angiography revealed the presence of extravasation of contrast at the level of the aortic arch and a tortuous fistula between the aortic arch and esophagus. Chest computerized tomography demonstrated the presence of an aortoesophageal fistula and air bubbles inside the fistula. The patient had emergency surgery and the intraoperative findings revealed an aortoesophageal fistula and necrotic materials with a foul odor at the upper esophagus. Primary closure and wrapping of the aorta were performed, but primary closure of the esophagus was impossible because of necrosis. An aortoesophageal fistula is a rare but life-threatening disease. As shown for this patient, an exposed vessel without ulceration at the upper esophagus should raise suspicion of an aortoesophageal fistula and a CT scan or angiography should be performed before endoscopic intervention.(Korean J Med 73:539-543, 200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영철, "식도 내 금속 스텐트 삽입 후 발생한 대동맥 식도 누공 - 치험 1례 -" 대한흉부외과학회 35 (35): 479-482, 2002

      2 백일현, "대량출혈과 대동맥식도 누공을 동반한 식도 결핵 1예" 대한내과학회 63 (63): 20-595, 2002

      3 Scher RL, "Vascular injury following foreign body perforation of the esophagus: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port of a case" 99 : 698-702, 1990

      4 Reardon MJ, "Surgical management of primary aortoesophageal fistula secondary to thoracic aneurysm" 69 : 967-970, 2000

      5 D'Costa H, "Perforation of the oesophagus and aorta after eating fish: an unusual cause of chest pain" 20 : 385-386, 2003

      6 Fauci AS, "Harrison's textbook of medicine" McGraw-Hill 235-238, 2005

      7 Nandi, Ong GB, "Foreign body in the esophagus: review of 2394 cases" 65 : 5-9, 1978

      8 Contini S, "Dysphagia arotica: a neglected symptom of aortoesophageal fistula" 38 : 51-54, 2006

      9 Baron RL, "Clinical and radiographic manifestations of aortoesophageal fistulas" 141 : 599-605, 1981

      10 Heckstall RL, "Aortoesophageal fistula: recognition and dianosis in the emergent department" 32 : 502-505, 1998

      1 윤영철, "식도 내 금속 스텐트 삽입 후 발생한 대동맥 식도 누공 - 치험 1례 -" 대한흉부외과학회 35 (35): 479-482, 2002

      2 백일현, "대량출혈과 대동맥식도 누공을 동반한 식도 결핵 1예" 대한내과학회 63 (63): 20-595, 2002

      3 Scher RL, "Vascular injury following foreign body perforation of the esophagus: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port of a case" 99 : 698-702, 1990

      4 Reardon MJ, "Surgical management of primary aortoesophageal fistula secondary to thoracic aneurysm" 69 : 967-970, 2000

      5 D'Costa H, "Perforation of the oesophagus and aorta after eating fish: an unusual cause of chest pain" 20 : 385-386, 2003

      6 Fauci AS, "Harrison's textbook of medicine" McGraw-Hill 235-238, 2005

      7 Nandi, Ong GB, "Foreign body in the esophagus: review of 2394 cases" 65 : 5-9, 1978

      8 Contini S, "Dysphagia arotica: a neglected symptom of aortoesophageal fistula" 38 : 51-54, 2006

      9 Baron RL, "Clinical and radiographic manifestations of aortoesophageal fistulas" 141 : 599-605, 1981

      10 Heckstall RL, "Aortoesophageal fistula: recognition and dianosis in the emergent department" 32 : 502-505, 1998

      11 Sosnowik D, "Aortoesophageal fistula: early and late endoscopic features" 83 : 1401-1404, 1988

      12 Flores J, "Aortoesophageal fistula: alternatives of treatment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10 : 241-246, 2004

      13 Lee HS, "Aortoesophageal fistula after prosthetic patch aortoplasty for mycotic aneurysm of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33 : 839-842, 2000

      14 OkJaeLee,SungHoKim, "Aortoesophageal Fistula Associated with Tuberculous Mediastinitis, Mimicking Esophageal Dieulafoy's Disease" 대한의학회 17 (17): 266-269,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edicine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 0.1 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1 0.1 0.259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