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총수요와 장기 성장 간 관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gate Demand and Long-run Growth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우리 경제에 이전과는 상이한 성장 패턴이 관측되고 있다. 실제GDP가 잠재GDP를 하회하는 마이너스 GDP갭이 지속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잠재성장률이 실제GDP성장률과 유사한 속도로 ...

      최근 우리 경제에 이전과는 상이한 성장 패턴이 관측되고 있다. 실제GDP가 잠재GDP를 하회하는 마이너스 GDP갭이 지속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잠재성장률이 실제GDP성장률과 유사한 속도로 하락하고 있다. 그러나 장기 성장이 공급 측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주류경제학적 통념으로는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곤란하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 본고는 수요와 성장 간 장기 관계와 관련된 이론들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최근 글로벌 성장의 이례적 부진 현상을 평가해 보았으며 나아가 우리나라의 경우를 대상으로 총수요가 장기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계량 분석해 보았다. 유효수요 이론과 총수요 관점 접근법을 양 축으로 하여 발전해 온 수요 중심 성장론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최근 글로벌 경제의 성장부진이 수요 부족 문제에서 비롯되었을 소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노동소득분배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투자가 저축을 하회하는 현상도 만성화했다. 특히 잠재성장률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저물가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것은 수요 부족 시에만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다. Bashar(2011, 2012)의 방법론을 우리나라의 자료에 적용한 실증분석 결과 역시 총수요가 장기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운데 하나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수요충격은 더 이상 장기 중립적이지 않고 공급충격과 마찬가지로 실질GDP 수준에 지속적인 양(+)의 영향을 끼쳤다. 더욱이 총수요와 장기 성장 간 관계는 2012년 이후 더욱 뚜렷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economy is now showing a new growth pattern. Negative GDP gap continues for years and potential GDP growth rate is decreasing at a speed close to that of actual GDP growth rate. But these phenomena are hard to be explained by the “conventiona...

      Korean economy is now showing a new growth pattern. Negative GDP gap continues for years and potential GDP growth rate is decreasing at a speed close to that of actual GDP growth rate. But these phenomena are hard to be explained by the “conventional view” that supply factors determine long-run economic growth. On these backgrounds, this paper surveys the theoretical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and and economic growth, assesses the current low growth trend of the global economy, and conducts an econometric analysis using Korean data to see whether aggregate demand can affect long-run economic growth. The analysis focuses on changes in the link between aggregate demand and aggregate supply. Demand-led growth theory, developing with effective demand theory and aggregate demand approach as its two pillars, implies that deficiency of demand may be one of causes of recent sluggish global economic growth. The labor income share has decreased since the 1980s, a shortage of investment has been chronic, and inflation remains low despite of a decline in potential GDP. Moreover, empirical analysis, which adopts Bashar (2011, 2012)`s identification methodology, indicates that aggregate demand shocks have a permanent impact on the long-run economic growth of Korea. The result also shows that such relationship has been intensified after 201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준일, "총수요압력 추정을 통한 경기변동 분석" 한국금융연구원 7 (7): 187-235, 2001

      2 김현의, "저인플레이션 하에서 통화정책이 기업투자에 미치는 효과" 한국은행 (260) : 2006

      3 박동순, "인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 불확실성 간의 관계 분석" 한국은행 (29) : 1991

      4 이재랑, "인플레이션 변동성 확대가 통화수요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한국은행 2008 (2008): 2008

      5 윤종원, "우리나라 물가 구조의 특징과 정책 대응" 한국경제학회 4 (4): 35-58, 2011

      6 오형석, "우리나라 경제의 잠재성장 및 경기변동에 관한 분석" 한국금융연구원 21 (21): 19-54, 2007

      7 유병삼, "수요 및 공급 교란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39) : 1-28, 1992

      8 김민수, "소규모 개방경제하의 거시경제충격과 경기변동" 한국금융연구원 18 (18): 1-37, 2004

      9 이정익, "구조적 VAR 모형을 이용한 총생산 및 인플레이션의 총수요-총공급 요인 분해" 한국경제학회 60 (60): 123-174, 2012

      10 김준일, "경기변동과 GDP갭" 한국개발연구원 18 (18): 217-257, 1996

      1 김준일, "총수요압력 추정을 통한 경기변동 분석" 한국금융연구원 7 (7): 187-235, 2001

      2 김현의, "저인플레이션 하에서 통화정책이 기업투자에 미치는 효과" 한국은행 (260) : 2006

      3 박동순, "인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 불확실성 간의 관계 분석" 한국은행 (29) : 1991

      4 이재랑, "인플레이션 변동성 확대가 통화수요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한국은행 2008 (2008): 2008

      5 윤종원, "우리나라 물가 구조의 특징과 정책 대응" 한국경제학회 4 (4): 35-58, 2011

      6 오형석, "우리나라 경제의 잠재성장 및 경기변동에 관한 분석" 한국금융연구원 21 (21): 19-54, 2007

      7 유병삼, "수요 및 공급 교란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39) : 1-28, 1992

      8 김민수, "소규모 개방경제하의 거시경제충격과 경기변동" 한국금융연구원 18 (18): 1-37, 2004

      9 이정익, "구조적 VAR 모형을 이용한 총생산 및 인플레이션의 총수요-총공급 요인 분해" 한국경제학회 60 (60): 123-174, 2012

      10 김준일, "경기변동과 GDP갭" 한국개발연구원 18 (18): 217-257, 1996

      11 Blecker, R. A., "Wage-led Versus Profit-led Demand Regimes : The Long and Short of It" 4 (4): 373-390, 2016

      12 Onaran, Ö., "Wage-led Growth in the EU15 Member States: The Effects of Income Distribution on Growth, Investment, Trade Balance, and Inflation" Post Keynesian Economics Study Group 2016

      13 Caldentey, E. P., "Wage and Profit-led Growth : The Limits to Neo-Kaleckian Models and a Kaldorian Proposal" Levy Economics Institute 2013

      14 Cover, J. P., "Using the Aggregate Demand-Aggregate Supply Model to Identify Structural Demand-Side and Supply-Side Shocks : Results Using a Bivariate VAR" 38 (38): 777-790, 2006

      15 Summers, L. H., "U. S. Economic Prospects : Secular Stagnation, Hysteresis, and the Zero Lower Bound" 49 (49): 65-73, 2014

      16 Keating, J. W., "The Time-Varying Effects of Permanent and Transitory Shocks to Real Output" 19 : 477-507, 2015

      17 Thirlwall, A. P., "The Nature of Economic Growth: An Alternativ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Performance of Nations" Edward Elgar 2002

      18 Keynes, J. M.,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 Macmillan 1936

      19 Dray, M., "The Endogeneity of the Natural Rate of Growth for a Selection of Asian Countries" 33 (33): 451-468, 2011

      20 Bashar, O. H. M. N, "The Dynamics of Aggregate Demand and Supply Shocks in ASEAN Countries" 23 (23): 507-518, 2012

      21 Blanchard, O. J., "The Dynamic Effects of Aggregate Demand and Supply Disturbances" 79 (79): 655-673, 1989

      22 Stern, N., "The Determinants of Growth" 101 (101): 122-133, 1991

      23 Lanzafame, M., "The Balance of Payments Constrained Growth Rate and the Natural Rate of Growth: New Empirical Evidence" MPRA 2011

      24 Cesaratto, S., "Technical Change, Effective Demand, and Employment" 15 (15): 33-52, 2003

      25 Lo, S., "Secular Stagnation, Debt Overhang and Other Rationales for Sluggish Growth, Six Years on" BIS 2015

      26 Summers, L. H., "Secular Stagnation and Monetary Policy" 98 (98): 93-110, 2016

      27 Eichengreen, B., "Secular Stagnation : The Long View" NBER 2015

      28 Rawdanowicz, L., "Secular Stagnation : Evidence and Implications for Economic Policy" OECD 2014

      29 Martin, R., "Potential Output and Recessions : Are We Fooling Ourselves?"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2015

      30 Bashar, O. H. M. N., "On the Permanent Effect of an Aggregate Demand Shock:Evidence from the G-7 Countries" 28 (28): 1374-1382, 2011

      31 Lucas, R. E. Jr., "On the Mechanics of Development Planning" 22 (22): 3-42, 1988

      32 Chen, W., "On the Long-run Neutrality of Demand Shocks" 139 : 57-60, 2016

      33 Tobin, J., "Money and Economic Growth" 33 (33): 671-684, 1965

      34 Yellen, J. L., "Macroeconomic Research After the Crisis" 2016

      35 Girardi, D., "Long-run Effective Demand in the US Economy: An Empirical Test of the Sraffian Supermultiplier Model" 28 (28): 523-544, 2016

      36 Keating, J. W., "Interpreting Permanent Shocks to Output When Aggregate Demand May Not Be Neutral in the Long Run" 45 (45): 747-756, 2013

      37 Mundell, R., "Inflation and Real Interest" 71 (71): 280-283, 1963

      38 Blanchard, O. J., "Inflation and Activity-Two Explanations and Their Monetary Policy Implications" NBER 2015

      39 Blanchard, O. J., "Hysteresis and the European Unemployment Problem" 15-78, 1986

      40 Orphanides, A., "Handbook of Monetary Economics, 1" 223-261,

      41 Soukiazis, E., "Growth Rates Constrained by Internal and External Imbalances and the Role of Relative Prices: Empirical Evidence from Portugal" 36 (36): 275-298, 2014

      42 Cerra, V., "Growth Dynamics : The Myth of Economic Recovery" 98 (98): 439-457, 2008

      43 Baxter, M., "Fiscal Policy in General Equilibrium" 83 (83): 315-334, 1993

      44 Verdoorn, P. J., "Fattori Che Regolano lo Sviluppo Della Produttività del Lavoro" 1 : 45-53, 1949

      45 Anzoategui, D., "Endogenous Technology Adoption and R&D as Sources of Business Cycle Persistence" NBER 2016

      46 Romer, P. M., "Endogeneous Technological Change" 98 (98): S71-S102, 1990

      47 Gallardo, J. L., "Effective Demand in the Recent Evolution of the US Economy" Levy Economics Institute 2011

      48 Nell, K. S., "Demand-led Versus Supply-led Growth Transitions" 34 (34): 713-748, 2014

      49 Summers, L. H., "Demand Side Secular Stagnation" 105 (105): 60-65, 2015

      50 Alencar, D. A., "Balance-of-Payments-Constrained Growth in Brazil:1951-2008" 36 (36): 673-697, 2014

      51 Howard, G., "Are Recoveries from Banking and Financial Crises Really So Different?"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2011

      52 Kaldor, N., "Alternative Theories of Distribution" 23 (23): 83-100, 1956

      53 Reifschneider, D., "Aggregate Supply in the United States : Recent Developments and Implications for the Conduct of Monetary Policy" 63 (63): 71-109, 2015

      54 Libǎnio, G. A., "Aggregate Demand and the Endogeneity of the Natural Rate of Growth : Evidence from Latin American Economies" 33 (33): 967-984, 2009

      55 Ball, L, "Aggregate Demand and Long-run Employment" 2 : 189-251, 1999

      56 Cho, Dongchul, "Aggregate Demand Gap Based on a Simple Structural VAR Model" 114 (114): 228-234, 2012

      57 허석균, "1990년대 이후 한국경제의 성장: 수요 및 공급 측 요인의 문제" 한국개발연구원 31 (31): 169-206,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7-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YONG JE HAK YON GU -> The Korean Journal of Economic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4 1.53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